기독교자료

유대인에 대한 이해

열려라 에바다 2024. 5. 31. 08:29

유대인에 대한 이해     

 

1. 유대인의 정의(定義)
유대인(:Yehudi, :Jews),
종교적인 의미에서는 유대교를 신봉하는 사람,
민족적인 의미에서는 혈연 또는 개종을 통해 고대 히브리 민족의 후예가 된 유대 민족을 가리킨다.
 
2. 유대인의 명칭(名稱)
유대인은 지금의 이스라엘인을 일컫는 말이다.
유대인과 유태인’(猶太人)은 같은 말로 표기법이나 발음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유대'는 'Judea'를 소리 나는 대로 한글로 옮긴 것이고, '유태'(猶太)는 'Judea'를 한자어로 음역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혼용해 써온 데서도 알 수 있듯이 유대인’ 혹은 유태인은 동의어이다.
유대인이라는 용어는 라틴어의 유다이우스(Judaeus)와 히브리어의 예후디(Yehudi)에서 비롯된 그리스어 이우다이오스(Ioudaios)에서 나온 말이다.
예후디(Yehudi)라는 말은 구약성경의 뒷부분에만 나오는 형용사로서 이복형제인 베냐민의 자손과 함께 유다 왕국을 이루고 있던 야곱의 넷째 아들 예후다(유다)의 후손을 가리킨다.
 
3. 유대인의 어원(語原)
유대인’(Jews)은 본래는 야곱과 레아의 아들인 유다(:예후다)와 그의 이름을 딴 지파 이름이며유다 왕국에서 유래 된 민족 명칭이다유다 사람 또는 유다인(Judahite)이라는 히브리 용어는 남 유다 왕국의 멸망을 전후해서 그 나라의 백성들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으며(왕하25:25;1:2;34:9), 그들이 사용한 언어는 '유다 방언'(:예후디트왕하18:26;13:24), 곧 히브리어였다.
포로 후는 히브리 민족에 속한 모든 사람을 가리키게 되었다(2:5;2:2).
바벨론에서 포로 생활을 하다가 바벨론을 멸망시킨 페르시아의 고래스 왕에 의해서 다시 유다 도’(유대 도, province of Judah)로 돌아오게 된다(2:1,5:8). 그래서 유대인(Jews) 으로 불리어지게 된 것이다.
신약성경에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가리키는 일반적 명칭으로서 이 말이 씌어지고특히 그들의 종교적인 면에 관련하여 인용되어 있다이 명칭은 차츰 그리스도교에 대하여 적의를 가지고반대하는 유대인(Jews)을 가리키게 되었다(살전2:14,15).
 
4. 디아스포라 유대인
디아스포라(diaspora)는 분산이란 뜻인데고향에서 타지로 이주한 자들로 흩어진 나그네’(벧전1:1)로 불린다.
첫 번째 디아스포라는 북 이스라엘과 남 유다가 앗수르와 바벨론에 각각 멸망당했을 때 생겼다.
본격적인 디아스포라는 헬라의 알렉산더 대제가 주전 332년경 애굽에 알렉산드리아 시를 건설하고 유대인 100만을 이주시켰다(Josephus, Philo). 그리고 주전 170년경 수리아의 안티오쿠스 3세는 유대인 2천 세대를 소아시아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켰다고 한다(Josephus).
예루살렘을 점령한 로마의 폼페이 장군은 주전 63년경 수많은 유대인 포로를 로마로 이주시켰다.
사도행전 2장에는 당시 흩어진 유대인들이 거주하던 나라들이 소개되었다.
이들 디아스포라 유대인을 살펴보면 로마 10로마제국 전역 400팔레스타인 300소아시아바벨론 지역알렉산드리아 각각 100구레네 10만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적으로 유대 민족의 4대 분파는 다음과 같다오늘날 유대인의 80%가 아슈케나짐(Ashkenazim)이다.
1) 아슈케나짐(Ashkenazim) : 독일과 프랑스에서 살다가 동유럽으로 이주하였다일부는 프랑스와 독일에 살고 있지만 인근의 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헝가리라트비아러시아리투아니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몰도바루마니아불가리아크로아티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슬로베니아에도 살고 있다.
2) 세파르딤(Sephardim) :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살았다스페인과 포르투갈 쪽에 소수가 있고네덜란드터키등지로 이주했다.
3) 동방 유대인(Oriental Jews) :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살다가 중앙아시아남아시아 등지에도 퍼졌다이들은 세파르딤 유대인들과 종교 의례가 거의 같아 보통 세파르딤이라 부르기도 한다.
4) 예멘 유대인(Yemenite Jews) : 테이마님(Teimanim)이라고도 한다동방 유대인이었는데 지리적·사회적으로 다른 유대인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있다.
 
5. 유대 민족과 종교에 관한 다양한 해석
현대 이스라엘의 히브리어는 이디시(Yiddish)어의 파생어이며,
성경 히브리어의 어휘만 일부 사용하고 있을 뿐으로 문장과 음운체계에서 슬라브어족(Slavic family)에 속하는 것으로,
아랍어와 같은 계통즉 셈어족에 속하지 않는다는 언어학자들의 주장이 있다.
또한 유전학 연구 결과 유대인들의 혈통이 아랍인들보다는 쿠르드투르크아르메니아인들과 더 가깝고,
현대 아쉬케나지 유대인들의 50% 이상은 중앙아시아 혈통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대인들과 아랍인들이 혈통적으로 형제라는 인식이다.
이러한 다양한 주장들은 유대인이 유전되며 특별히 선택된 민족이라는 견해를 부정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유대인들은 이를 쉽게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왜냐면이를 인정하면 2차 대전 후에 현재 이스라엘 땅에 국가를 세운 시오니즘(유대선민사상)이 앞뒤가 안 맞는 이론(주의)가 되기 때문이다.
 
6. 성경에서의 유대인의 조건(條件)
 1) 구약성경
  (1) 아버지가 이방인이고 어머니가 유대인일 경우 그 자녀는 유대인이 된다(24:10,11).
  (2) 아버지가 유대인이면 어머니가 이방인이라도  그 자녀는  유대인이 된다(1:4,4:13). 
 2) 신약성경
  (1) 표면적 유대인(육신의 할례만 한 사람)은 유대인이 아니다(2:28).
  (2) 이면적 유대인(마음의 할례를 한 사람)이 유대인이다(2:29;2:11).
  (3) 오직 새로 지으심을 받은 자 뿐이다(6:15,16).
  (4)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두 하나이다(3:28;10:12)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죽임을 당하시고 유대인의 운명이 결정된 이후에는 혈통적 유대인들만이 하나님의 자녀들로 인정받는다는 말씀이 신약 성경에 단 한군데도 나오지 않는다오히려 그들은 자신들의 특권을 잃어버렸다고 성경은 말하고 있다(21:43).
 
7. 미 유대인 위원회(American Jewish Committee)
유대인은 모계 혈통을 중요시한다.
어머니나 할머니가 유대인이면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유대인이 아니더라도 100% 유대인이 된다.
어머니가 유대인이면 자격이 주어지지만 어머니가 유대인이 아니면 아버지가 유대인이라 하더라도 유대인으로 끼워 주지 않는다.
그 이유는 자녀가 태어나도 어머니가 유대인일 때는 유대민족의 유아교육을 받아 유대인이 되지만
어머니가 다른 민족이면 유대인의 교육을 받을 기회가 없어지기 때문에 유대인이 될 수 없다는 이유이다 .
 
8. 오늘날의 유대인
1948년 5월 14일 설립된 이스라엘 공화국은 유대인이면 누구나 시민권을 발급할 수 있게 허용한다.
이는 귀환법 또는 귀향법(the Law of Return)이라고 한다.
이 법률상 조부모 중 유대인이 있거나 유대교로 개종한 이들 모두 유대인으로 간주된다.
또 유대인 이민자들과 가족관계인 비()유대인들에게도 이스라엘 이민을 허용한다.
이스라엘의 귀환법이 유대교에서 전통적으로 따르는 유대인의 정의보다 일부러 더 광범위하게 정의한 이유는
유대인의 친척들도 외부에서는 유대인으로 여겨 반유대주의의 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현재의 유대인이란 정체성은민족이 아니라 종교이다.
즉 유대교를 믿으면 유대인이다민족의 유래나 혈통은 별로 상관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