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스크랩 창세기 개관정리

열려라 에바다 2025. 4. 18. 17:04

 

창세기 개관정리

①창조 - ②타락 - ③홍수 - ④바벨탑 - ⑤족장시대 - ⑥출애굽/광야 - ⑦가나안 정복 - ⑧사사시대 - ⑨통일왕국시대 - ⑩분열왕국시대 - ⑪포로 /포로귀환 - ⑫침묵기 - ⑬복음시대 - ⑭교회시대

 

 

1. 창조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1:1)

배 경 완 성
첫째 날 우주, 빛(1:1~5) 넷째 날 해, 달, 별(1:14~19)
둘째 날 궁창(1:6~8) 다섯째 날 새, 물고기(1:20~23)
셋째 날 바다, 땅, 식물(1:9~13) 여섯째 날 짐승, 사람(1:24~31)
일곱째 날 안식하심(2:1~3)

 

 

(참고) ‘창세기’(Genesis)
저자: 모세 / 기록연대: B.C.1446~1406. 이스라엘 민족이 출(出)애굽한 B.C.1446 이후, 모세가 느보 산상에서 죽은 B.C.1406년 이전의 어느 시기 / 기록장소: 시내 광야

 

 

*에덴동산

‘에덴’을 뜻하는 헬라어는 ‘파라데이소스’(낙원)로 ‘기쁨’ ‘환희’ ‘아름다움’을 뜻하는 히브리어 ‘에덴’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동산 중앙에는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가 있었고 동산 주변에는 네 강이 흐르고 있었다. 에덴동산을 적신 네 강은 다음과 같다.

이름 특징 추정위치
비손 풍성하게 흐름 금, 은, 보석의 다산지 아라비아 -인도지역(창10:7,29;25:18)
기혼 차고 넘치도록 흐름 나일강(?) 아라비아지역
(페르시아만과 홍해 사이)
힛데겔 화살처럼 빠르게 흐름 티그리스 강의 옛 이름 앗수르 동편 지역
유브라데 물맛이 달고 상쾌함 큰 강, 바다, 하수 등으로도 불림. 고대 바벨로니아지역
(메소포타미아)

   

2. 타락 여자가 그 열매를 따먹고 자기와 함께 있는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창3:6)

개요 인류 최초의 범죄 및 그 치명적인 결과(창세기 3장)
범죄 하나님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는 먹지 말라 네가 먹는 날에는 반드시 죽으리라’(2:17)고 하셨으나, 아담과 하와는 뱀(사탄)의 유혹에 넘어가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한 채 선악과를 따먹는 불순종을 저질렀다.
결과 사람은 죽음과 삶의 고통과 고난이란 형벌을 죄의 대가로 받음. 곧 여자는 임신과 해산의 고통, 남편을 사모하고 그 권위 밑에 놓이는 형벌, 남자는 생계를 위해 노동을 해야 했음.
약속 하나님은 장차 예수님을 보내셔서 인류를 구원하실 것을 약속하였다(창3:15). 이는 장차 오실 예수 그리스도(여자의 후손)께서 십자가 죽음(발꿈치 상함)으로 인한 사단에 대한 그리스도의 최후 승리(머리를 치심)를 뜻함.

 

 

3. 홍수

초기 인류사는 창세기 1:28의 말씀대로 사람들이 장수하고 많은 자녀를 출산하였으므로 인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으나 동시에 빠른 속도로 부패하게 됨으로써 결국 하나님의 심판을 자초하고 말았다.

“하나님의 아들들이 사람의 딸들의 아름다움을 보고(육감적인 외모만으로) 자기들이 좋아하는 모든 여자를 아내로 삼는지라.”(창6:2)
하나님의 아들들 셋 계통의 경건한 자녀들 그러나 하나님을 아는 자든 모르는 자든 모두가 타락하고 말았다.
사람들의 딸들 가인 계통의 경건치 못한 자들

 

하나님은 홍수 심판을 예고하시고, 노아로 하여금 방주를 짓도록 하셨다.

방주(히, 테바)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홍수 심판에 대비하여 만든 배로, 노나 키 등의 방향 조절 기능이 없고 단지 물에 뜨도록 제작되었다. 즉 항해용 배가 아닌 단지 물 위에 떠 있을 있는 상자 모양이었던 것임.
재료(6:14) 고페르나무(잣나무), 역청(송진으로 만든 일종의 아스팔트, 방수재 역할)
크기(6:15) 높이 30규빗, 길이 300규빗, 너비 50규빗
바닥 면적이 10,359㎡로 1만5천 톤급 선박에 해당.
방법(6:14,16) 고페르나무로 방주를 짓되 그 안에 칸들을 막고 역청으로 그 안팎을 칠하며, 상중하 삼층으로 하되 위에서부터 한 규빗에 창을 냄

 

 

<홍수 심판>

대홍수는 노아 600세 되던 해 2월 17일 시작해 40일 동안 비가 내리고 150일간 물이 땅에 넘침. 큰 깊음의 샘들이 터지며 하늘의 창문이 열렸으며(7:11 폭우와 함께 급격한 지각변동으로 인한 해일, 지하수의 범람), 홍수로 인해 지상에 모든 동물과 인간이 죽었음. 270여 가지에 달하는 각국의 홍수 설화의 산재 및 그 내용상 주요 부분의 일치는 분명 노아의 홍수 사건이 보편적이며 전 지구적인 사건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하늘의
창문
‘궁창 위의 물’(창1:7)을 의미함.
이는 온실 내부처럼 응집된 수증기의 따뜻함과 습기의 촉촉함을 지닌 원시의 대기권 상태를 가리키는데, 홍수 이전까지 자외선 등 온갖 해로운 태양광선으로부터 지상 위의 생물들을 보호해왔지만, 노아의 홍수 때 전부 유실되었다(이로 말미암아 인간의 수명은 급격히 단축되어 갔던 것이다).
큰 깊음의 샘 홍수 때 전 지구적인 지각변동과 함께 지하수의 범람, 해일 등이 일시적으로 발생했다. 이 같은 해일과 지하수의 범람이 함께 동반되지 않았다면 하늘에서 아무리 폭우가 쏟아진들 온 세상을 물로 뒤덮는다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석탄과 석유 역시 당시의 생물들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석탄은 식물로부터 생성되었고 석유는 동물/미생물의 죽음과 연관되는데 이와 같은 퇴적지층 속에 존재하는 거대한 양의 석탄과 석유는 노아홍수 이전의 환경과 노아홍수 중의 격변이 아니고는 그 기원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홍수 이전 인간과 동물들의 먹을거리는 ‘채소와 열매, 모든 푸른 풀’뿐이었으나, 홍수 이후 공식적으로 육식이 허용되었다(창9:3).

 

홍수 이후 하나님은 노아와 무지개 언약을 세우시면서 다시는 홍수로 땅을 멸하지 않겠다고 약속하셨다(창9:11,13).

 

4. 바벨탑 건축과 민족분산(11장)

아라랏 산
(창8:14)
노아의 방주는 아라랏 산에 머물렀는데 이는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 계곡 상단에 위치한 아르메니아(Armenia)의 고지대로 노아의 후손들은 이곳에서부터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던 것이다(창8:4).
인구증가(창10장) 홍수 이후 인류는 노아의 아들 셈과 함, 야벳을 좇아 온 땅으로 퍼져나갔다
시날 평지
(창11:2)
대홍수 이후 사람들은 아라랏 산지를 떠나 생활에 편리한 장소를 찾아 유랑하다가 넓게 펼쳐진 비옥한 평야지대이자 고대의 종려나무 생산지로 유명한 시날 평지에 모이게 되었다. 이때 니므롯 왕조로 추측되는 당시 대제국의 군주는 자신의 이름을 내고 흩어짐을 면하기 위해, 즉 자신의 명예를 떨칠 엄청난 기념비를 세우고자 바벨탑 건설이라는 방대한 건축공사를 실시했는데 이때는 홍수가 일어난 지 그렇게 많은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던 벨렉 시대였다.
민족분산
(창11:7-9)
하나님은 민족의 언어를 혼잡하게 하심으로써,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셨다.

 

<홍수 이후 민족의 분산>

 

 

5. 족장시대 언약백성의 형성사(12~50장)

노아 홍수 이후에도 하나님에 대한 불신앙을 계속 되었다. 하나님은 바벨탑을 쌓는 사람을 흩으시면서 셈의 후손을 구별하였다. 셈의 후손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보내시기 위함이었다.

12장 이후는 이스라엘 민족 형성사와 관련된 족장시대에 해당한다.
아브라함
(12~25장)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갈대아 우르를 떠나 가나안 땅에 이름.
하나님은 그의 자손에게 가나안 땅을 주실 것이며, 땅의 모든 족속이 그로 말미암아 복을 얻게 될 것을 약속하셨다.
이삭
(26~28장)
그는 대망 가운데 태어난 인물로써, ‘언약의 첫 열매’로서 ‘부활의 첫 열매인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 하는 삶을 살았음(모리아 산 사건).
야곱
(29~28장)
이스라엘 민족의 12지파의 근간을 이루는 자녀들을 낳았음.
또한 얍복 강의 사건을 통해 ‘이스라엘’이라는 민족의 이름 역시 물려줌.
요셉
(37~50장)
묵묵히 고난의 삶을 인내함으로써, 장차 닥쳐올 대기근으로부터 이스라엘 민족을 보호, 큰 민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발판을 놓았음.
한편, 욥 역시 족장시대의 인물로써, 뜻밖의 연이은 고난 가운데서도 인내했으며 주께서 주신 그 결말을 통해 후진들에게 많은 교훈을 주었음.

 

 

<아브라함의 생애>

사건 관련구절
아브라함의 출생 창 11:26
아브라함의 소명 창12:1~3; 히11:8
가나안 땅으로 이주 창12:4~9
이집트로의 이주 창12:10~20
롯이 아브라함과 헤어짐 창13:1~18
아브라함이 롯을 구함 창14:1~17
아브라함이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침 창14:18~24, 히7:1~10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심 창15:1~21, 갈3:6~25, 히6:13~20, 롬4:1~25
이스마엘의 출생 창16:1~16
사라를 통해 아들을 얻을 것이라고 약속하심 창17:1~27, 히11:11,12
아브라함이 소돔을 위해 중보 기도함. 창18:16~33
롯이 생명을 구하고 소돔 성이 멸망함 창19:1~38
이삭의 출생 창21:1~7
하갈과 이스마엘을 집에서 내보냄 창21:8~21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며 아브라함을 시험하심 창22:1~19, 히11:17~19, 약2:20~24
사라의 죽음 창23:1~20
아브라함의 죽음 창25:1~11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