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긴과 보아스
[왕상 7:13] 솔로몬왕은 사람을 보내어 두로에서 히람을 데려왔다.
[왕상 7:14] 히람은 납달리 지파에 속한 한 과부의 아들이었으며, 그의 아버지는 두로 사람으로 놋 기술자였다. 히람은 놋을 다루는 온갖 일에 지혜와 총명과 기술을 두루 갖추고 있었다. 그가 솔로몬왕에게 와서 자신의 모든 일을 하였다.
[왕상 7:15] 그는 두 놋 기둥을 만들었는데, 각 기둥의 높이가 십팔 규빗이었고 각 기둥의 둘레가 십이 규빗이었다.
[왕상 7:16] 또 그는 놋을 부어 만든 기둥머리 두 개를 기둥들 꼭대기에 올려놓았다. 한 기둥머리의 높이가 오 규빗이고 다른 기둥머리의 높이도 오 규빗이었다.
[왕상 7:17] 기둥 꼭대기의 기둥머리에는 격자무늬 그물과 사슬 모양 고리가 있었는데, 한 기둥머리에 일곱 개가 있고 다른 기둥머리에도 일곱 개가 있었다.
[왕상 7:18] 그는 이렇게 기둥을 만들었다. 그물 주위에 있는 석류 두 줄은 기둥 꼭대기의 기둥머리를 덮었다. 그리고 다른 기둥머리에도 같은 식으로 하였다.
[왕상 7:19] 주랑에 있는 기둥 꼭대기의 기둥머리는 백합 모양으로, 직경이 사 규빗이었다.
[왕상 7:20] 두 기둥의 기둥머리는 그물 옆의 불룩한 부분 위 가까운 곳에 놓였다. 그리고 석류 이백 개가 줄지어 두 기둥머리를 두르고 있었다.
[왕상 7:21] 그는 성전 주랑에 기둥들을 세웠다. 그는 오른쪽 기둥을 세우고 그 이름을 야긴이라 하고, 왼쪽 기둥을 세우고 그 이름을 보아스라 하였다.
[왕상 7:22] 기둥 꼭대기에는 백합 모양으로 만든 것이 있었다. 이렇게 하여 기둥 만드는 일이 마무리되었다.
[왕하 25:17] 기둥 하나의 높이는 십팔 규빗이었는데, 그 위에는 놋으로 만든 기둥머리가 있었다. 기둥머리의 높이는 삼 규빗이고, 모두 놋으로 만든 그물과 석류들이 그 기둥머리를 감싸고 있었다. 둘째 기둥에도 마찬가지로 그물이 있었다.
[대하 3:15] 그는 집 앞에 두 기둥을 만들었는데, 높이가 삼십오 규빗이었으며, 각 기둥 꼭대기의 기둥머리는 높이가 오 규빗이었다.
[대하 4:12] 그가 만든 것은 기둥 둘, 공들, 기둥 꼭대기의 기둥머리 둘, 기둥 꼭대기에 있는 기둥머리인 공 두 개를 감싸고 있는 그물 둘,
[대하 4:13] 그물 두 개에 단 석류 사백 개 곧 기둥 꼭대기에 있는 기둥머리인 두 공을 감싸고 있는 각 그물에 두 줄씩 단 석류들이었다.
[렘 52:12] 다섯째 달 곧 그달 초열흘날에(그때는 바빌론 왕 느부갓레살 제십구 년이었다), 바빌론 왕 앞에 서 있는 호위 대장 느부사라단이 예루살렘에 와서
[렘 52:13] 여호와의 집과 왕궁과 예루살렘의 모든 집을 태웠는데, 큰 집은 모두 불로 태웠다.
[렘 52:20] 솔로몬왕이 여호와의 집을 위하여 만든 기둥 둘과 바다 하나와 그 받침들 아래 놋 소 열둘과 같은 이 모든 기물의 놋은 그 무게를 달 수 없을 만큼 많았다.
[렘 52:21] 그 기둥들은 기둥 하나의 높이가 십팔 규빗이었고, 둘레가 십이 규빗이었으며, 두께가 손가락 네 개의 두께였는데, 그 속은 비어 있었다.
[렘 52:22] 그 위에는 놋으로 만든 기둥머리가 있었고, 각 기둥머리의 높이는 오 규빗이었으며, 모두 놋으로 만든 그물과 석류들이 그 기둥머리를 감싸고 있었다. 둘째 기둥과 그 석류들도 이와 마찬가지였다.
[렘 52:23] 밖으로 향한 것은 구십육 개의 석류였는데, 그물에 둘려 있는 석류는 모두 백 개였다.
이 기둥의 내재적인 의미를 요약하면, "기둥머리의 두 공은 증거(숫자 2)를 의미하며, 또한 이것은 자신을 하나님의 심판(놋) 아래 두고 자신을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자신에 의해 살지 않고 하나님에 의해 살기 때문에(백합화들), 부활의 과정으로 말미암아(높이가 삼 규빗인 기둥머리의 받침) 복잡하고 얽혀있는 상황의 한가운데서(격자무늬와 사슬 모양) 완전하게(숫자 10) 책임(숫자 5)을 질 수 있으며, 신성한 생명의 풍성(석류들)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열왕기상 7장 15절 각주
[1] 솔로몬이 성전 앞에 세운 두 개의 큰 기둥은 성전 외부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성경에서 기둥은 하나님의 건축물에 대한 표징, 곧 증거이다(창 28:18-19상, 22상, 왕상 7:15-22, 갈 2:9, 딤전 3:15, 계 3:12). 여기에 두 기둥이 있었다는 것은 (숫자 2가 증거의 수이기 때문에) 이 기둥들이 하나의 표지판과 같이 하나님의 건축물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증거로서 세워졌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 두 기둥의 이름(왕상 7:21과 각주들)은 주님께서 그분의 건축물을 세우시리라는 것(비교 마 16:18)과, 참된 능력이 건축물 안에 있다는 것(비교 엡 3:17-18)을 증언한다. 예표에서 놋은 하나님의 심판을 상징한다(출 27:1-8, 민 21:8-9, 요 3:14). 성전의 두 놋 기둥은 하나님께 심판을 받으시고 이 땅에 있는 하나님의 거처를 지탱하는 능력이 되시는 그리스도를 상징한다(비교 계 1:15과 각주 15, 각주 15). 이러한 그리스도는, 교회생활 안에서 믿는 이들에게 체험되셔야 하며 또한 그들이 하나님의 건축물을 지탱하는 기둥들로 조성되도록 그들 안에 일해 넣어지셔야 한다.
열왕기상 7장 15절 각주
[3] 한 기둥의 높이인 십팔 규빗(왕상 7:15, 왕하 25:17)은 (기둥의 둘레인) 십이 규빗의 세 배의 절반이다. 숫자 3은 삼일 하나님을 상징하고, 숫자 12는 삼일 하나님(3)과 그분의 피조물인 사람(4)의 연합(곱하기)을 상징한다. 더 나아가 숫자 12는 이러한 연합이 하나님의 영원한 행정 안에서 완전하고 온전하다는 것을 상징한다(비교 계 21장 각주 12와 계 22장 각주 2). 그러므로 우리가 하나님의 건축물의 증거인 기둥들이 되려면, 우리는 반드시 먼저 하나님의 심판 아래서 우리 자신을 심판해야 하고(놋―마 16:24, 갈 2:20), 그런 다음 삼일 하나님으로 충만되고 적셔지고 침투되어야 한다. 각 기둥이 절반의 길이라는 것은 우리가 비록 완전하게 삼일 하나님과 연합되었다 하더라도 자신 안에서는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는 우리와 짝을 이룰 다른 이들이 필요하다(비교 출 26장 각주 16).
놋기둥 |
•놋(하나님의 심판, 내가 아니요. 교만, 자기 자랑, 자기 변호, 자기 정당화, 자화자찬, 자기 변명은 끝나야 함.) •기둥 높이 18규빗(3X12/2, 삼일 하나님이 필요, 왕상 7:15) •기둥 높이 18규빗(2X18, 또다른 반쪽이 필요함, 넓판지, 출 26:15-16) •두 기둥 높이 35규빗 (36 빼기 1) : 하나님의 집에는 가리워진 부분이 존재하게 해야 함(대하 3:15). 두 형제 중 하나는 가려져야 함. •기둥 둘레 12규빗(3X4, 삼일 하나님과 사람의 연합, 직경은 12/3.14=3.8규빗. 왕상 7:15) •기둥 두께 4 손가락 두께(32센치 정도), 속이 비어있음(영으로 충만한 창조물인 사람, 렘 52:21) 기둥에서 3이라는 숫자가 감추어져 있음. |
백합화 모양 기둥 머리 |
•머리 백합화(믿음의 생활, 왕상 7:19) •공 모양 머리 5규빗(1+4, 사람 안에 유일한 하나님이 더해지고 넘침. 그후 5+5 =10 이 됨. 충만이 됨. 왕상 7:16). 둥근 모양은 정치적이지는 않지만 융통성이 있음. •머리 직경 4규빗(사람, 왕상 7:19) •머리 아랫부분 기초 3규빗(부활의 과정, 왕하 25:17) •머리 윗부분 2규빗(대하 4:12, 왕하 25:17). 바둑판 모양의 얽은 격자 그물과 사슬 모양의 땋은 것(얽히고 꼬이고 제한받는 복잡한 생활, 왕상 7:17) •격자모양의 그물과 사슬 모양의 땋은 것 7개(모든 복잡한 상황은 일시적이지만 완전함, 왕상 7:17) |
석류 화관 |
•머리 위에 200개 석류(100X2, 생명의 부요함의 2배가됨, 왕상 7:20). 두 머리 윗부분 그물 무늬 세공 위에 총 400개 석류들(생명의 부요함은 4 즉 사람에 달려있음, 대하 4:13) •100개 석류 중에 드러난 96개 석류(12X8, 영원하고 완전한 부활, 렘 52:23). 400개 석류 중에 16개가 가려져 있음(4X4, 사람은가려져야 함) |
기둥 이름 |
•야긴(저가 세우리라), •보아스(그 안에 능력이 있다). (왕상 7:21) |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상수훈 (0) | 2025.05.03 |
---|---|
남부 아라비아의 옛왕국 /콥틱 (0) | 2025.04.26 |
하나님과 및 사람들과 겨루어 이겼음이니라 (0) | 2025.04.26 |
소선지서의 기록 목적 (0) | 2025.04.26 |
창세기는 어떤 책인가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