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 별칭
* 10대 : 沖年(충년) * 15세 : 志學(지학) * 20세 : 弱冠(약관)
* 30세 : 而立(이립) * 40세 : 不惑(불혹) * 50세 : 知天命(지천명)
* 60세 : 耳順(이순) * 70세 : 從心(종심)/古稀(고희)
▣ 십년 단위 별칭
* 10세 : 유(幼沖) * 20세 : 弱冠(약관) * 30세 : 장(壯)
* 40세 : 강(强) * 50세 : 효(爻) * 60세 : 기(耆)
* 70세 : 노(老) * 80/90세 : 모(芼) * 100세 : 기(期)
▣ 각 별칭의 유래
○ 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에서 연유한 것들.
지학(志學:15세) 이립(而立:30세) 불혹(不惑:40세) 지천명(知天命:50세)
이순(耳順:60세) 종심(從心:70세)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나는 열다섯 나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하였다. 마흔 살이 되어서는 미혹되지 않았고, 오십에는 하늘의 명을 알았다. 예순 살이 되자 귀에 거슬리는 이야기가 없었고,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 살아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 중국 당(唐)나라 시인 두보(杜甫)의 《곡강이수(曲江二首)》에서 연유한 것.
古稀(고희)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穿花蛺蝶深深見 點水蜻蜓款款飛 傳語風光共流轉 暫時相賞莫相違.
(조회일일전춘의 매일강두진취귀 주채심상행처유 인생칠십고래희
천화협접심심현 점수청정관관비 전어풍광공유전 잠시상상막상위)
<조정에서 돌아올 때는 날마다 봄옷을 전당 잡혀, 매일 곡강 가에서 한껏 취해 돌아오네. 가는 곳마다 술빚은 으레 있고, 인생이 일흔 살기는 예부터 드물거니.
꽃을 찾는 나비는 날아가 숨었다가는 또 나타나고, 물을 차는 잠자리는 즐거이 날고 있네. 전해 오는 말이 봄 경치나 사람이나 쉴 새 없이 변해 간다고 하나니, 잠시나마 우리 서로 서로 봄놀이를 어기지 말았으면 하네>.
○ 기타 별칭들.
방년(芳年) : 스무 살을 전후한 여성의 나이.
과년(瓜年) : 요약혼기에 이른 여자의 나이(16세). 첫 월경이 시작되는 나이.
‘오이 과(瓜)를 파자하면 八八이 되며 이를 합하면 16이 됨.
남자의 경우 88을 곱하여 64세로 봄.
망구(望九) : 나이 81세의 별칭. 90세를 바라본다는 뜻.
어른의 장수(長壽)를 경축함과 장수 기원의 뜻.
망륙(51세)·망칠(61세)·망팔(71세)·망백(91세)도 사용됨.
상수(上壽) : 100세 나이를 일컫는 한자용어.
期願之壽(기원지수)라고도 함.
동리(凍梨) : 언(凍) 배(梨)라는 뜻으로, 90세를 뜻하는 한자 표현.
90이 되면 얼굴에 반점이나 검버섯이 생겨 마치
언 배 껍질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표현이 붙었음.
▣ 전거(典據)가 없는 억지로 만든 일본식 조어(造語)
미수(美壽:66세) : ‘미’를 세로로 파자(破字)하면 六六.
희수(喜壽:77세) : 초서(草書) '희(喜)'를 세로로 쓰면 七七.
산수(傘壽:80세) : ‘산’을 세로로 파자(破字)하면 八十.
미수(米壽:88세) : 초서(草書) '미(米)'를 세로로 쓰면 八八.
졸수(卒壽:90세) : 초서(草書) '졸(卒)'을 세로로 쓰면 九十.
백수(白壽:99세) : 백(百)에서 하나가 모자라는 나이.
※ 전거가 없는 일본식 조어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필요할 경우, 팔순(八旬) 구순(九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올바름.
▣ 나이를 나타내는 한자어 모음(다른 곳에서 퍼옴)
* 출생(出生)
농장(弄璋) : 득남(得男), 아들을 낳으면 구슬(璋) 장남감(弄)을 주는데서 유래. 아들을 낳은 경사-농장지경(弄璋之慶)
농와(弄瓦) : 득녀(得女), 딸을 낳으면 실패(瓦) 장난감을 주는데서 유래, 딸을 낳은 경사-농와지경(弄瓦之慶)
* 2-3세
제해(提孩) : 提는 손으로 안음, 孩는 어린아이, 유아가 처음 웃을 무렵(2-3세) * 해아(孩兒)도 같은 의미로 사용
* 10세
충년(沖年) : 충(沖)은 어리다는 뜻. 사극(史劇)에 보면 ‘세자께서 아직 유충(幼沖)이란 대개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의 나이를 말한다. 유년기를 지나 청소년의 첫 고비를 맞게 되는 나이 열 살을 의미함.
* 15세 : 남(성동 成童) 여(계년 笄年)
지학(志學) : 공자가 15세 학문(學問)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 논어 (爲政篇)의 十有五而志干學에서 유래하며 열다섯 살이 된 나이를 뜻함.
* 육척(六尺) : 주(周)나라의 척도에 1척(尺)은 두 살반(二歲半) 나이의 아이 키를 의미-6척은 15세. ex) 삼척동자(三尺童子)는 10살이 채 못된 아이.
* 16세
과년(瓜年) :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므로 여자 나이 16세를 나타내고 결혼 정년기를 의미함. 파과(破瓜)
* 20세
약관(弱冠) : 20세. 또는 스무 살 전후한 남자. 弱年(약년)이라고도 함. 원복(元服:어른 되는 성례 때 쓰던 관)식을 행한데서 유래. 禮記,`곡례편(曲禮編)'에 "二十日 弱하니,冠이라"하여 `20세는 약(弱)이라 해서 갓을 쓴다'는 뜻인데, 그 이미는 갓을 쓰는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은 약하다는 뜻.
묘령(妙齡) : 20세 안쪽의 젊은 나이로서 妙年(묘년) 즉 남자 나이 스무 살을 뜻함.
방년(芳年) : 20세를 전후한 왕성한 나이의 여자, 꽃다운(芳) 나이(年)를 의미. 방령(芳齡)
* 30세
이립(而立) : 공자(孔子)가 30세에 자립(自立)했다는 데서 유래. 논어의 三十而立에서 나이 서른 살을 이르는 말이며 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라는 뜻임.
* 32세
이모(二毛) : 이모란 머리털의 빛깔이 두 가지라는 뜻이다. 흰 머리와 검은 머리가 반반 인 것을 말한다. 중국 진(晋)나라 때 반악(潘岳)이란 시인이 서른두 살 때 머리가 반백(半白)이 된 것을 두고 쓴 글에서 유래
* 40세
불혹(不惑) : 공자(孔子)가 공자가 40세에 이르러 세상일에 미혹되지 아니하였다는 데서 유래. 마흔 살을 이르며 동시에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을 나이임을 뜻함
* 강사(强仕) : (예기)에 “四十日强 而仕-40세를 强이라 하는데, 이에 벼슬길에 나아감(仕)”에서 유래. * 강(强) 마흔살
*48세
상년(桑年) : 상(桑)의 속자(俗字)는 ‘十’자 세 개 밑에 나무 목(木)을 쓰는데, 이를 破字하면 ‘十’자 4개와 ‘八’가 되기 때문
* 50세
지명(知命) : 공자(孔子)가 50세에 天命(천명:인생의 의미)을 알았다는 데서 유래. 논어(爲政篇) “지천명(知天命)”의 준말
애년(艾年) 애로(艾老) 애복(艾服)
* 60세
이순(耳順) : 공자(孔子)가 60세가 되어 어떤 내용에 대해서도 순화시켜 받아들였다는 데서 유래. 육순(六旬) 논어 六十而耳順에서 나온 말로서 나이 예순 살을 이르는 말로서 인생에 경륜이 쌓이고 사려(思慮)와 판단(判斷)이 성숙하여 남의 말을 받아들이는 나이임.
* 61세
회갑(回甲), 환갑(還甲) : 회(回)나 환(還)은 한 바퀴 돌아 원래자리로 돌아왔다는 뜻이다. 갑(甲)은 육십갑자의 뜻이니, 새롭게 시작하는 의미
화갑(華甲) : 화(華)자는 십(十)이 여섯 개이고 일(一)이 하나라고 해석하여 61세.
주갑(周甲)
* 62세
진갑(進甲) : 우리나라에서 환갑 다음해의 생일날. 새로운 갑자(甲子)로 나아간다(進)는 뜻.
* 64세
파과(破瓜) : 과(瓜)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八`이 되는데 여자는 8+8해서 16세를 과년이라 함. 그런데 남자는 8×8로 64세를 말하고 벼슬에서 물러날 때를 뜻하는 말.
* 70세
종심(從心) : 공자(孔子)께서 70세에 마음먹은 대로 행동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 '從心所欲 不踰矩'(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았으되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에서 준말
고희(古稀) : 두보(杜甫)의 詩 ‘곡강(曲江)’의 구절 “人生七十古來稀(사람이 태어나 70세가 되기는 예로부터 드물었다”에서 유래
희수(稀壽)
* 70-80세
모질(耄耋) : 모(耄)는 70세 노인을, 질(耋)은 80세 노인을 뜻 한다
* 71세
망팔(望八) : 팔십 살을 바라본다는 의미. 70세를 넘어 71세가 되면 이제 80세까지 바라는 데서 유래
* 77세
희수(喜壽) : 희(喜)자를 초서(草書)로 쓸 때 “七十七”처럼 쓰는 데서 유래 일종의 파자(破字)의 의미
* 80세
산수(傘壽) : 산(傘)자의 약자(略字)가 팔(八)을 위에 쓰고 십(十)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
* 81세
반수(半壽) : 반(半)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十一”이 되는 데서 유래
망구(望九) : 구십 살을 바라본다는 의미, 81세에서 90세까지를 기원하는 장수(長壽)의 의미를 내포함. * ‘할망구’로의 변천
* 88세
미수(米壽) : 미(米)자를 파자(破字)하면 “八十八”이 되는 데서 유래, 혹은 농부가 모를 심어 추수 때까지 88번의 손질이 필요하다는 데서 유래
* 90세
졸수(卒壽) : 졸(卒)의 속자(俗字)가 아홉 구(九)자 밑에 열 십(十)자로 사용하는 데서 유래
동리(凍梨) : 언(凍) 배(梨)의 뜻, 90세가 되면 얼굴에 반점이 생겨 언 배 껍질 같다는 데서 유래
* 91세
망백(望百) : 백 살을 바라본다는 의미, 역시 장수(長壽)의 축복, 기원
* 99세
백수(白壽) : 백(百)에서 一을 빼면 白자가 되므로 99세를 나타냄. 파자(破字)의 뜻
* 100세
기수(期壽). 기이지수(期頤之壽). 백수(百壽).
상수(上壽) : 사람의 수명을 상중하로 나누어 볼 때 이 가운데서 최상의 수명이라는 뜻이 있으나 좌전(左傳)에서는 120살을 상수(上壽)로 보고 있기도 하다.
모수(耄壽)
예수(齯壽)
* 108세 : 다수(茶壽)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상식과교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사고 합의금 이거하나만 알고가면 `갑`이될수 있다 금액정리 완벽가이드 최신판! (꿀팁) (0) | 2018.12.12 |
---|---|
전문가들이 알려준 보험사도 꼼짝못할 교통사고 합의요령 (0) | 2018.10.16 |
드릴로 54 가지 유용한 아이디어 (최고의 편집) (0) | 2018.03.15 |
예쁜 글쓰기 (0) | 2018.01.08 |
촌수호칭(외가) (0) | 2017.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