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바리새인] 외식하는 자들의 대명사

열려라 에바다 2023. 5. 30. 09:45

[바리새인] 외식하는 자들의 대명사        

 

1. 바리새인의 기원
바리새인(파리사이온)은 요세푸스(Josephus)에 의하면 바리새파는 사두개파와 함께 마카비 독립 운동시대 초기(B.C. 167)에서 대제사장 요나단(B.C. 159-143)치하 사이에 기원(起源)된 경건주의자(하시딤- 경건한 사람들)들로 보여지며, '바리새'라는 이름으로 공식적으로 나타난 것은 요한 힐카너스 당시(B.C. 135-105)로 보인다.

*에세네파와 같은 그룹들은 안티오커스 IV 에피파네스에 반대한 반헬라주의에서 나왔다.


2. 바리새인이라는 이름의 유래
'바리새인'이라는 단어는 다음중 하나의 기원을 가졌다:

가. “분리한” 이 그룹은 마카비안 기간 동안 발전되었다.

나. “나누다”, “구별하다”의 의미를 가진 히브리어 [파라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어떤 사람은 이것이 해석가를 의미한다고 말한다(참조, 딤후 2:15).

바리새인은 '성별된 자'로서 율법과 구전(口傳)된 조상들의 모든 전통을 엄격히 지키고 영혼 불멸, 부활과 내세, 천사의 존재 등을 신앙하며 배타성이 강한 일단의 무리들을 가리킨다(행 23:8). 그러나 그들의 분리주의는 율법의 순수한 정신과 내면적 경건을 무시하고 형식주의적인 위선과 의모를 중시하는 외식주의로 전락하여 그리스도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멀었다(눅 11:43,44;12:1). 그렇다고해서 그들의 표리부동(表裏不同)한 신앙으로 인하여 편견을 가지고 그들을 바라보기만 해서도 안 된다. 그들의 본래의 모습은 율법의 수호자(守護者)로 자처할 만큼 율법 준수에 철저했고 의로운 이스라엘을 고대하며, 장차 도래할 메시야 왕국에 대한 소망으로 가득차 있는 것이다.

다. “페르시아 의” 이것은 같은 아람어 어원의 또 다른 의미이다. 바리새파의 어떤 교리는 페르시아 조로아스터교의 이원론과 매우 공통적이다.


2. 바리새인의 중요한 교리들
가. 오실 구세주에 대한 믿음
이것은 에녹 I 서와 같은 신구약 중간시대의 유대 묵시 문학의 영향을 받았다.

세례요한이 요단강에서 회개의 세례를 베풀 때 많은 바리새인이 그 현장을 찾았다. 바리새인들이 요한에게 온 것은 메시야에 대한 그들의 지대한 관심을 겉으로 나타내기 위함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회개의 메시지가 선포되는 현장에 회개에는 유념치않고 외식의 옷만을 걸치고 거만하게 나타난 것이다.

*그들이 세례를 받으러 왔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혤라어 본문에서는 그들이 세례를 받으러 왔다는 사실을 의미하는지 새례 장소에 왔다는 사실을 강조하는지 분명한 구별을 짓지 않고 있다. 그러나 뒤이어 나오는 세례 요한의 질책(叱責)으로 보아 그들은 세례 모습을 관찰하러 나온 것으로 이해된다(Bruce).

마태는 세례요한을 찾은 그들이 많다고 증언한다. 요세푸스(Josephus)에 따르면 대헤롯이 죽을 때 바리새인들은 6천명 이상이나 되었다 한다.


나.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일하심을 믿음
이것은 사두개인의 주장과 완전히 다르다. 바리새인의 교리의 많은 부분은 사두개인들의 것과 신학적으로 대조를 이룬다.

다. 지상에서의 삶에 기초한 신체를 가진 사후세계의 삶을 믿음
이것에는 상과 벌이 연관된다(참조, 단 12:2). 사두개인들은 부활을 믿지 않았다. 이것은 두 종파간의 논쟁의 큰 쟁점이 되었다(막 12:23이하).

이 점을 잘 알았던 바리새인출신 바울은 자신이 불리한 지경에 있을 때 이용하여 위기를 모면하기도 했다.

"바울이 그 한 부분은 사두개인이요 한 부분은 바리새인인줄 알고 공회에서 외쳐 가로되 여러분 형제들아 나는 바리새인이요 또 바리새인의 아들이라 죽은 자의 소망 곧 부활을 인하여 내가 심문을 받노라"(행 23:6)

라. 구약과 구전 전통(탈무드)에 둔 권위를 둔 믿음
그들은 랍비(보수적인 샴마이 학파, 자유적인 힐렐 학파)들이 해석하고 적용한 구약에 있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했다. 랍비들의 해석은 보수적이고 자유적인 서로 다른 철학을 가진 랍비들 사이의 대화에 기초를 둔다. 성경의 의미에 대한 구두로 된 토론은 결국 두 가지 형태로 기록되었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와 팔레스타인 탈무드.

그들은 모세가 이와 같은 구전 해석을 시내산에서 받았다고 믿었다. 이러한 토론의 역사적 시작은 에스라와 “대 회당”(후에 산헤드린이라 불려짐)의 사람들과 함께 출발했다.

마. 잘 발전된 천사론을 믿음
이것은 선하고 악한 영적 존재를 모두 포함한다. 이것은 페르시아의 이원론과 신구약 중간시대의 유대문학에서 발전되었다.



3. 외식하는 자
"외식하는 자(호이 휘포크리노마이)'란 '가면을 쓰다', '위선적 태도를 취하다', '...인 체하다'는 등의 뜻인 '휘포크리노마이'에서 유래한 말로서 '타인의 흉내를 내는 사람', '배우'등으로 이해된다. 문맥에서 이 단어는 종교적으로 연극함을 나타낸다.

겉과 속이 판이하게 다른 바리새인들의 거짓되고 위선적인 형태와 연관되어 마태복음서에서는 자주 사용되고 있다(5, 16절;7:5;15:7;23:13-15;24:51).

'외식'은 타인과 자신을 동시에 속이는 악행으로서 전지(全知)하신 하나님 앞에 반드시 단죄될 것이다(고후 5:10).

그들의 종교적인 행위의 동기는 "사람에게 영광을 얻으려고' 한 것이라고 복음서 기자와 예수님은 지적한다. "의'와 '기도' 그리고 '금식'으로 삼대별(三大別)되는 유대인의 종교적 의무 중에서 아마 '의'의 일부에 속한 이 구제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겨셨던 것 같다. 그러나 외식자들은 '사람에게 영광'을 얻으려는 동기(動機)에서 사람들의 눈에 띄기 쉬운 회당과 거리에서 이러한 종교 의무를 했던 것이다. 실로 그들은 인간의 본분인 하나님께 '오직 영광'(Sola Gratia, 전 12:13;롬 11:36)을 돌리는 데는 전혀 무신경했던 것이다.

한편 외식하는 자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겠다. (1) 악하면서도 선을 가장(pretence)하는 유형, 이런 사람은 자신이 남을 속이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마 22:15-18). (2) 자기 만족에 도취하여 자기도 모르게 자신을 속이면서 또 타인을 속이는 유형, 이런 유형의 의식자들은 보통 스스로 경건한 체하지만, 타인을 속이지는 못하고 곧 발각된다(마9:1-5). 아마 예수의 책망을 들었던 이 당시의 바리새인들이 이 유형에 속했던 것 같다. (3) 외식을 하면서도 하나님과 사람을 위해 스스로 가장 훌륭한 일을 하고 있다고 믿는 유형, 이는 가장 완벽한 위선자이다. 따라 이들은 타인들로부터 존경을 받으며, 그 행위를 보는 모든 사람을 속일 수 있다.


요약하면, 바리새인들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 종교적 예식이나 의식을 행했다.


4. 바리새인들의 외식거리들
그들이 행한 외식적인(가식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1) 가난한 자를 돕기 위함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칭찬받으려고 하는 구제, 마 6:2

2) 사람에게 보이려고 회당에서 기도함, 마 6:5

3) 그들은 금식할 때에 사람들이 그들의 영성에 감명받도록 하기 위해 옷차림을 단정치 않게 했다, 마 6:16

4) 그들은 부식재료의 십일조는 드렸으나 율법의 더 중요한 부분은 놓쳤다, 마 23:23

5) 그들은 그릇의 안쪽이 아니라 바깥 쪽을 깨끗이했다, 마 23:25(참조, 막 7:1-8)

6) 그들은 자기 의를 자랑했다, 마 23:29-30

7) 그들은 다른 이들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 마 23:13-15

8) 그들은 참된 지혜를 찾기 위함이 아니라 교묘한 질문으로써 예수를 함정에 빠트리려 했다, 마 22:15-22

9) 그들은 지옥에서 따로 구별된 자리를 차지한다, 마 24:51

10) 그들은 완전히 부정한 무덤을 회반죽칠을 하였다, 마 23:27


5. 바리새인에 대한 성경의 평가
•독사의 자식
바리새인에 대한 평가는 한마디로 '독사의 자식'이다.

요한은 광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독사들을 보며 인류의 조상 아담과 하와를 유혹한 간교한 뱀을 연상하였을 것이다. 현대처럼 저속한 욕설이없던 시대에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였던 그들에게 저주받은 뱀(창 3:14)의 후예라고 욕한 것은 위선과 변절, 기만 등으로 길들여진 그들을 향한 신적 권위에 의거한 화(禍)의 선포였다. 예수께서도 서기관과 바리새인을 향해 같은 책망을 하신 적이 있다(23:33). 이 욕설은 '아브라함의 자손'(9절)으로 자랑하던 그들에게 사단의 도구인 뱀의 후예라고 말함으로써 그들의 사악한 실체를 여지없이 드러낸다.


•이미 상을 다 받음
바리새인들은 하나님보다는 사람들의 눈을 더 염려했으며, 또 그들에게서 이미 위대하며 경건하다는 칭찬을 상(賞)으로 받았기 때문에 더 이상 그 사람의 행위 전체를 바라보고 계셨던 하나님께는 받을 상이 없는 것이다.

그들은 이미 상을 받은 자들로서 천국에서 받을 상이 없다.

*외식자들은 관례에 따라기도 시간(오전 9시, 정오, 오후 3시)에 맞추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 장소에 나아가 수려하고 장엄한 언어로 기도한 것 같다. 그렇게해서 사람들의 영광을 받았기 때문에 하나님은 그들의 기도를 들어주실 여지(margin)가 없었던 것이다. 하나님의 인정보다 사람의 칭찬에 더 관심있는사람, 곧 경건보다 경건으로 인한 명성에 더 관심이 있는 사람이 사적인 기도는 무시한채 공적인 기도만을 추구한 그들은 종교꾼이요 위선자였다. 이러한 외식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다음에 이어지는 '골방 기도'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