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사울’을 ‘바울’로 지칭함은 성화론적 오해

열려라 에바다 2023. 6. 13. 10:47

‘사울’을 ‘바울’로 지칭함은 성화론적 오해

흔히 사도 바울을 말할 때 그의 본명은 ‘사울’인데 ‘다메섹’ 도상 회심 후 ‘바울’로 지칭된 것을 성화론(聖化論)적 변화의 결과로 이해하고 기도와 설교에서 중생의 교훈으로 인용하거나 복음송에 “사울이 변하여 바울이 됐네”로 작사된 것 등은 잘못이다.

 

성경에는 사울이라는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이 있는데 ‘에돔 왕 사울’(창 36:37), ‘시므온의 아들 사울’(창 46:10), ‘이스라엘 왕 기스의 아들 사울’(삼상 9:1-2), 그리고 ‘사도 바울’이다. 

 

이 바울은 ‘길리기아 다소’에서 히브리인으로 태어나 벤냐민 지파에 속한 자로 유대교적 교육을 받은 정통 유대인이다. 따라서 그는 다메섹 회심 전까지는 그의 이름은 히브리식으로 사울이었다(행 7:58, 8:1, 9:1, 13:9). 이 사울이 회심 이후에 헬라어 발음으로 파울로스(바울)로 지칭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울이 바울로 지칭된 것을, 회심을 계기로 새롭게 바꾸어진 성화론적 변화의 표징으로 이해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 이유는 

 

첫째, 원래 사울이라는 이름은 ‘셈어’ 계열인 히브리어의 고유한 언어 체계에서 작명된 본명으로 다메섹 회심 이후에도 성령 충만한 바울을 사울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됐고(행 13:9), 성경 기사의 논리적 배열에서 보면 바울의 회심은 이미 행 9:1-15에서 사울이 주의 쓰실 그릇이 된 이후인데 계속 지칭된 이름이었다. 

 

둘째, 바울이라는 이름은 회심으로 바꾸어진 이름이 아니라 ‘사울’이라는 히브리식 이름을 그리스어  ‘파울로스’(바울)로 같은 이름을 헬라식 발음체계로 지칭된 것이므로 성화론적인 영적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것이 상식이다. 

 

셋째, 사울과 바울 두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경계 밖으로 흩어진 디아스포라들의 특징인 헬라문화와 유대문화 두 문화의 배경에서 병용한 결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행 13:9에 바울이 등장하는 것은 1차 전도여행이 시작되면서 당대에 고대 유대인에서 기독교가 계승하여 순화시킨 문화와 종교 사상 양식인 ‘헤브라이즘’적 사상 배경으로부터 사상적 관점의 전환이 필요했다. 즉, 나면서부터 로마 시민권을 가진(행 22:26-28) 사울이 그리스 고유의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된 사상 체계를 지닌 그리스의 문화, 사상, 정신을 중심한 유럽의 문화사상인 ‘헬레니즘’적 배경을 가진 이방지역 선교를 위해서는 사울이라는 히브리식 이름보다는 헬라(로마)식 이름인 바울로 지칭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바울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다섯째, 사울이 바울로 지칭된 것은 성화론적 변화가 아니라 병용이며 성경에는 변화된 이름이라는 정황적 기록이 없을 뿐 아니라 두 이름의 뜻이 회심 이후의 중생의 뜻을 담은 의미 부여가 없고 히브리식 ‘크다’와 헬라식 ‘작은 자’라는 이름의 본래의 뜻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오늘날에도 바울을 히브리식으로 지칭할 때는 사울, 헬라식(로마)으로 지칭할 때는 바울인 것이다. 다만 그가 회심 후 이방인의 사도로 나타날 때 이방인의 문화에 적응된 전도자 바울이 교회사적 사도의 이름으로 지칭된 것은 사실이되 영적으로 중생의 회심을 확증하여 바꾸어진 새로운 이름 바울로 이해하는 것은 계시의 역사성을 왜곡하는 것이 된다. 

 

김석한교수(천안대신대원 실천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