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유대인의 독특한 풍습들

열려라 에바다 2024. 2. 21. 08:22

유대인의 독특한 풍습들

1. 도장의 사용

동양권에서 도장을 사용하는 것은 일반화된 풍습이다. 유대인들 역시 도장 사용에는 익숙하였는데 그들의 도장은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반지도장이었고, 또 하나는 나무도장이었다. 반지도장은 권위의 상징으로 문서나 계약서에 날인할 경우에만 사용하였다(학2:23참고).
나무도장은 우리와는 달리 그 길이가 최소 50cm, 보통은 그 이상이었는데, 시장에 나가서 곡식을 대규모로 구입할 때 주로 이 도장을 사용하였다. 대금을 치른 곡식은 그 자루에 대금을 치른 자의 도장을 여러 군데 찍어놓아서 누가 주인임을 알 수 있게 했고, 집으로 운반해 올 때까지 다른 것들과 섞이지 않게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장은 부자들의 전유물이었다.

"그 안에서 너희도 진리의 말씀 곧 너희의 구원의 복음을 듣고 그 안에서 또한 믿어 약속의 성령으로 인치심을 받았으니"(엡1:13)에서 사도 바울이 사용한 "인치심"은 유대인들의 이런 풍습을 염두에 둔 것이다.


2. 짐을 지고 갈 때의 습관

팔레스탄인 지역의 사람들은 짐을 지고 갈 때에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짐을 내려놓는 법이 없다. 짊어진 짐이 너무 무거워서 운반 도중에 쉬어야만 한다면 그들은 짐을 땅에 내려놓지 않고 짊어진 채로 쉰다. 이럴 때 지나가는 사람이 있어서 도움을 청하면 도와주는 사람이 함께 짐을 함께 져줌으로 짐 진 사람이 좀 더 가볍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너희가 서로 짐을 지라"(갈6:2)는 말씀은 이러한 유대인들의 관습을 염두에 둔 것이다. 




3. 눈물을 귀중하게(성스럽게까지) 여김

고대 유대인들은 눈물을 매우 귀중하게 여겼다. 그래서 그들은 따로 눈물을 담아두는 용기를 집안에 비치하였다. 이 눈물 병은 가족들 각자 하나씩 따로 가지고 있었는데 부유한 사람들은 얇은 유리로 만든 병을 사용하였으며, 가난한 사람들은 토기로 만든 병을 사용하였다. 병의 모양은 보통 바닥은 평평하고 몸통은 호리하며 입구는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눈물 병에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자신들의 가슴 아픈 고통과 사별의 슬픔 등이 담겨 있었으므로(시56:8) 귀중하다 못해 성스럽게까지 여겼다. 그래서 사람이 죽으면 그의 눈물 병도 죽은 사람과 함께 장사지내 주었다. 

누가복음 7장 38절에 나오는 사건도, 한 여인이 자신이 모아 놓은 귀중한 눈물로 예수님의 발을 씻기고 자신의 머리털로 그 분의 발을 닦아 준 것이다.


4. 길에서 아무하고도 인사하지 말라(?).

예수께서는 70명의 제자들을 둘 씩 짝지어 보내시면서 길에서 누구를 만나도 '문안'하지 말라고 명령하셨다(눅10:4). 예수님은 왜 이런 예의 없는 명령을 제자들에게 하신 것일까? 유대인들의 인사 습관을 이해한다면 예수님의 이런 명령의 귀중한 의미를 쉽게 간파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수님 당시에 유대인들이 길에서 서로 인사를 나누는 일에 많은 시간을 쓰는 것은 전혀 어색한 것이 아니며 오히려 아름다운 미덕이었다. 유대인들은 길을 가다가 아는 사람을 만나면 보통 서로 목을 안고 입을 맞추고, '당신을 진심으로 사랑한다'는 의미로 오른손을 가슴 위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그 손을 입술에 갖다대면서 '우정의 입맞춤을 나누고 싶다'는 의미의 마음을 표현한다. 그리고 나서 손을 천천히 이마 높이까지 올린 뒤에 '존경과 경의를 표한다'는 의미로 서로의 손을 굳게 움켜쥔다. 그런 뒤에 비로소 서로의 안부를 묻고, 서로 칭찬하며 담소를 하다가 끝으로 다시 한번 서로 포옹을 한 뒤 이별을 고하는데, 보통 이렇게 인사를 나누는 데 소비되는 시간은 최소한 30분 이상이 넘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길에서 문안하지 말라는 명령은 인사도 할 줄 모르는 무례한 자가 되라는 것이 아니라, 지금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주신 명령은 '문안'도 포기해야 할 정도로 긴급한 일임을 강조한 것이다. 
 
 




드라빔(household gods=히브리어의 '테라핌' teraphim)의 문자적인 뜻은 '수호신(gods)'을 의미한다.
드라빔은 족장의 권위와 재산의 상속권을 보증하는 표시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