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식

대상포진

열려라 에바다 2024. 3. 11. 08:29

  대상포진        

대상포진 놔뒀을 때 생기는 '무시무시한' 합병증은?


대상포진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신경통이 생길 수 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몸의 면역력이 크게 떨어졌을 때 잘 나타나는 질환이 있다. 바로 '대상포진'이다. 대상포진은 어렸을 때 몸에 침투해 숨어있던 수두 바이러스가 다시 활동해 물집·발진(피부 붉어지며 염
증 생기는 것)·근육통 등을 유발하는 병이다. 수두 바이러스는 수십 년 이상 증상 없이 조용히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진 때를 틈타 갑자기 활동한다.
대상포진이 잘 생기는 연령대는 50대 이상이다. 나이가 들수록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고혈압이 있으면 심장이나 혈관 등에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당뇨병이 있는 경우 몸이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에너지를 다량으로 소비한다. 이로 인해 면역세포에 할당되는 에너지가 줄면서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은퇴로 인한 상실감과 노후 걱정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역시 노인들의 면역력을 떨어뜨려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높인다.
노인들은 대상포진으로 인한 합병증 발생률도 젊은층에 비해 높다. 대상포진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다. 이는 바이러스로 인해 신경절(신경을 통해 전달되는 감각들이 통합되는 곳)이 파괴돼 생기는 통증이 수 주~수 년 간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 이 통증은 60세 이상 환자의 40~70%가 겪는다. ▲수십 개의 바늘로 찌르는 느낌 ▲쿡쿡 쑤시는 느낌 ▲타는 느낌 ▲간지러운 느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에 물집(수포)이나 붉은 띠가 생긴 뒤 72시간 내에 약물치료를 하면 대상포진 증상은 대부분 2주 안에 사라진다. 약물요법은 바이러스의 개수를 줄이는 항바이러스제나 진통제, 신경의 흥분도를 떨어뜨리는 항우울제·항경련제 등을 쓴다. 생긴 후 72시간이 지나면 이러한 약을 써도 치료 효과가 크지 않다. 증상을 2주까지 지켜보다가, 완화되지 않으면 마약성 진통제를 쓰거나 반복적인 신경블록(신경이 바이러스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흥분하는 것을 막는 주사치료), 척수신경자극술 등을 고려해야 한다. 척수신경자극술은 척수 속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덜 느끼게 하는 
것인데, 단순 약물치료나 주사치료보다 통증이 크고 회복 기간도 길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