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겔(Ezekiel, יְחֶזְקֵאל)
(1) 명칭
선지자이며 제사장이었던 에스겔은 유다 역사상 가장 암흑기였던 바벨론 포로 70년동안 활동하였습니다 예루살렘 함락전에 바벨론으로 끌려간 에스겔은 포로가 된 유다 백성들을 향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며 예언, 비유, 표적, 상징적인 단어들을 사용하였습니다 히브리명인 에스겔(Ezekiel, יְחֶזְקֵאל)은 "하나님께서 강하게 하신다", "하나님께서 힘 주신다", "하나님에 의해 힘을 얻는다"라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3:8~9) 에스겔이라는 이름은 에스겔서에만 2회 등장할 뿐(1:3,24:24) 다른 구약성경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70인역 성경(LXX)에는 "Iexekiel"(에스겔)로 되어 있고, 라틴어 성경인 벌게이트에는 "Ezechiel"(에스겔)로 사용하며, 오늘날에도 벌게이트 성경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저자
에스겔(BC. 622~560년)은 사독계열의 제사장 부시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1:3,40:46) BC.597년, 느부갓네살왕의 제2차 침공때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습니다 에스겔의 아내도 이 와중에 처형을 당하였는데 그녀의 죽음은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 대한 마지막 침락때 유다에 대한 하나의 표적이었습니다(24:16~24) 에스겔은 느부갓네살의 대수로(大水路)인 그발 강가에 위치한 유대 포로민의 정착지였던 델 아비브에 터전을 잡았습니다(1:1,3:15,23) 에스겔은 바벨론에서 받은 하나님의 계시에 의해(1:4~28) 하나님의 대변자(Spokesman), 유대인 포로의 파수군(Watchman)으로 소명을 받았습니다(2~3장) 그의 사역은 여호야긴이 포로가 된 후 BC. 592~570년까지 계속되었습니다(1:2,29:17) 예루살렘 함락(BC.586년)이전에 에스겔은 회개와 심판을 선포하였습니다(1~24장) 에스겔은 이방풍습을 쫓아 우상숭배에 빠진 배역한 백성들을 향하여 지속적으로 경고하였습니다(2:3,3:4~11,14:1,18:2,25:5,20:1) 그러나 예루살렘 함락후에는 절망한 백성들을 향하여 위로와 구원을 선포하며 소망과 기대를 주었습니다 그는 곡과 마곡이 이끄는 악한 민족들 위에 임할 심판을 묘사하고 있지만(38~39장) 한편 다른 이방민족들의 회개와 개종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에스겔서는 이중적(Doublets)인 기록들이 여러차례 발견되고 있습니다 3:17~21과 33:7~9이 그러하고, 18:25~29과 33:17~20이 그러한 예에 속하였습니다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실어증(失語症)과 같은 질병을 주었습니다(3:26,24:27,33:22) 실어증이란 입이나 발성기관 또는 귀의 외상 없이, 뇌의 병소나 손상으로 인해서 언어를 이해하거나 관념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는 의학용어입니다 포로생활속에서 실어증까지 걸린 선지자의 외침은 너무나 고독한 부르짖음이었슴이 자명한 것이었습니다
에스겔은 에스겔서에서 1:3과 24:24에 두번만 언급하고 있으며 다른 성경에는 전혀 언급이 없었습니다 기록의 일관성으로 볼때 에스겔서는 에스겔의 저자임을 의심할 그 어떤 의문도 없었습니다 히브리성경은 대부분 성경의 첫절을 제목으로 사용하거나 저자의 이름을 제목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에스겔서는 자신의 사역기간이었던 BC. 593~570년 가운데 BC. 565년경 완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3) 기록목적
바벨론 포로들에게 그들 자신이 지은 죄로 인하여 재양이 임했다는 교훈을 가르쳐 주는 일은 쉬운일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유다백성에게 전하는 하나님의 강력한 경고의 메세지인 동시에 소망을 주는 퇴로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고 다시 회복하기 위하여 절망적인 환경속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자성의 기회속에서 희망을 잃지 않도록 에스겔 선지자를 보낸 것이었습니다 에스겔서는 다른 구약의 서신들과 같이 유다에 대한 예언과 열방들에 대한 예언, 그리고 유다에 대한 위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①그리스도의 모형
㉮ 인자(2:1) : 인간으로 오신 중보자(디모데전서2:5)
㉯ 성육신(1:26) : 성육신하신 그리스도(빌립보서2:6~7)
㉰ 목자(34:11~31) : 누가복음19:10
㉱ 왕(21:26~27)
㉲ 가지(19:11)
(4) 주제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심판, 하나님의 성전, 그리고 환상"(38:23)을 주제로 에스겔서는 열방중에서 살아 역사하시는 하나님 여호와를 선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여호와를 상기시키기 위해 에스겔을 부르셨습니다 하나님의 영광이 성전을 떠나고 예루살렘은 심판을 면하지 못하였습니다 그와 함께 유다의 지도자들과 유다의 백성들의 죄 또한 고통속에서 자성하도록 하였습니다(4~24장) 열방들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과 예루살렘의 심판후에 오는 회복, 곡과 마곡의 멸망속에서 예루살렘은 회복의 소망을 갖게 됩니다(25~39장) 새성전 재건과 새 영광속에서 살아있는 예배와 거룩한 성전, 새로운 땅, 하나님의 견고한 도성의 회복을 통하여 이스라엘은 새롭게 회복되는 기회가 오는 것입니다(40~48장) 그러나 이러한 모든 소망과 기대는 반복되지 않는 참된 회개와 함께 여호와 하나님이 유다와 열방들의 하나님인 줄 알고 믿을 때 일어나는 것입니다
(5) 내용
바벨론 포로의 유대인을 대상으로 선포된 에스겔서의 예언은 예레미야서의 예언과 일맥상통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두 예언서는 하나님에 대하여 신실하지 못한 유다에 임할 심판과 장래의 회복을 선포하였습니다 에스겔서의 예언은 풍유적 상징이 있어서 생동감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하나님의 계시가 환상을 통하여 전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1,8,40장) 그리고 비유법과 비교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애가를 사용한 비유가 많았습니다
에스겔의 사역기간은 바벨론 포수 초기였던 BC. 593~570년경이었습니다 그는 바벨론에서 유다의 함락과 회복을 예언하였습니다 에스겔과 동시대인으로 연장자였던 예레미야는 유다왕국의 최후를 예루살렘에서 맞이하고 있었습니다(예레미야1:1~3) 바로 느고가 지휘하는 애굽군은 BC. 605년, 유프라테스강변의 갈그미스에서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에게 대패하였습니다(예레미야46:2) 갈대아족이 세계의 새로운 주인이 되었고(열왕기하24:7) 유다는 식민지가 되었습니다 애굽의 봉신이었다가 BC. 605년 갈그미스 전투이후 바벨론의 봉신이 된 여호야김(BC. 608~597년)은 선지자들을 학대하고(예레미야7:26), 유다의 영적 타락을 조장하는 등(예레미야7:1~15) 무기력한 폭군으로 생명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예레미야22:13~19) BC. 602년, 여호야김은 느부갓네살을 반역하였고 주변국들의 침입에 내내 시달렸으며(열왕기하24:1), 부끄러운 최후를 맞이한 불운의 왕이었습니다 그의 아들 여호야긴은 3개월만에 폐위당하는 수모를 겪어야 했습니다(열왕기하24:8~17,예레미야22:24~30,에스겔19:5~9), 느부갓네살은 예루살렘을 약탈하고 여호야긴을 포함하는 유다의 상류층 수천명을 바벨론으로 끌고 갔습니다
에스겔은 여호야긴과 함께 포로로 잡혀 갔으며 그로부터 5년후부터 예언을 시작하였습니다 에스겔이 도착한 곳은 느부갓네살의 대수로(大水路)인 그발 강가에 위치한 유대 포로민의 정착지였던 델 아비브였습니다(1:1,3:15,23) 하나님은 에스겔에게 하나님의 신적 영광에 대한 환상을 계시하고자 선지자직을 맡겼습니다 이로서 에스겔은 바벨론에서 받은 하나님의 계시에 의해(1:4~28) 하나님의 대변자(Spokesman), 유대인 포로의 파수군(Watchman)으로 소명을 받았습니다(2~3장)
유다를 향한 에스겔의 모든 예언의 초점은 유다에 분명히 하나님의 심판이 임할 것이라는 경고였습니다 8~11장에는 환상을 통하여 그러한 심판을 초래할 수 밖에 없는 유다의 죄악상과 운명이 시사되고 있었습니다 유다의 인접한 국가들도 방관하거나 냉소적이었으며, 멸망에 동조한 댓가로 심판을 면키 어려웠습니다 심판의 대상국들은 암몬, 모압, 애돔, 블레셋, 두로, 시돈, 애굽 등 유다를 경계로 하고 있는 크고 작은 국가들이었습니다
예루살렘의 파괴후 에스겔 선지자의 예언은 다시 회복과 소망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타락한 유다에는 거짓 목자들이 나타나 백성들을 미혹에 빠뜨리게 하였으나 이제는 한 진실한 목자가 나타나 유다 백성들을 진리로 인도할 것이라는 소망을 선포하였습니다 골짜기의 마른 뼈 환상은 성령에 의한 민족의 소생을 생생하게 밝혀주고 있습니다 분단된 이후로 멸망한 왕국은 다시 통일의 기반위에 세워 질것을 예언하였습니다 성전 재건과 성읍수축의 환상속에서 언약 백성의 부흥과 하나님의 영광의 재현을 분명하게 목도하게 합니다
Ⅰ. 구약성경에 나오는 여호와의 이름
■ 히브리어
① 엘 엘룐(창세기14:18~20) : 지극히 높은 자
② 사팟(창세기18:25) : 재판자
③ 엘 올람(창세기21:33) : 영원하신 하나님
④ 여호와 이레(창세기22:14) : 하나님이 준비하신다
⑤ 엘 엘로헤 이스라엘(창세기33:20) : 하나님, 이스라엘의 하나님 : 야곱의 하나님
⑥ 엘 샤다이(창세기49:25) : 전능하신 하나님
⑦ 여호와 닛시(출애굽기17:15) : 주는 나의 깃발
⑧ 여호와 샬롬(사사기6:24) : 주는 평화이시다
⑨ 엘 브릿(사사기9:46) : 언약의 하나님
⑩ 여호와 츠바웃(사무엘상17:45) : 만군의 하나님
⑪ 아도나이(시편2:4) : 주님, 주인
⑫ 케도시 이스라엘(이사야1:4) :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자
⑬ 여호와 치드케누(예레미야23:6) : 우리의 의로운 주
⑭ 여호와 삼마(에스겔48:35) : 주는 거기에 계신다
■ 아람어
① 아티끄 요임(다니엘7:9) : 옛날부터 항상 계신 이
② 일라야(다니엘7:18) : 지극히 높으신 자
■ 헬라어
① 로고스(요한복음1:1) : 말씀
② 소테르(요한복음4:42) : 구주
③ 데오스 호 파테르(에베소서3:15) : 하나님 아버지
④ 퀴리로스(빌립보서2:9~11) : 주님
⑤ 알파 카이 오메가(요한계시록1:8) : 처음과 나중
Ⅱ. 예언(프로페테이아, 나바)
예언이라는 단어는 헬라어로 "프로페테이아"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이것은 "앞에", "~을 위하여"라는 의미의 "프로" 와 "말하다" 라는 의미의 "페미" 란 단어의 합성어 입니다 선지자란 장차 발생할 일을 미리 말하는 자를 가르키거나 하나님을 대신하여 말하는 자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구약성경에서 예언의 의미를 가장 잘 나타내는 히브리어는 "나바"라는 단어인데 "대언하다", "대변하다"라는 의미로 성경에서 사용되었습니다(출애굽기4:10~16) 즉, 예언이란 미래의 일을 알아맞추는 점쟁이와 같은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모두 포함하여 하나님의 경고와 뜻을 사람들에게 예언자가 대신하여 전달하는 일을 말하는 것입니다
(6) 개요
# 에스겔서는 48장, 1273절로 신약성경에 151회 인용되었으며, BC. 593~559년의 기록입니다
Ⅰ. 에스겔의 소명과 파송(1:1~3:27)
① 에스겔의 환경(1:1~3),
② 에스겔이 본 하나님 환상(1:4~28) ; 네생물과 병거(4~14), 네바퀴들(15~21), 빛나는 궁창(22~28)③ 에스겔의 소명(2:1~10)과 파송(3:1~27)
Ⅱ.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예언들(4:1~24:27)
① 상징(4:1~5:17) : ㉮ 박석-예루살렘함락(4:1~3), ㉯ 자세-포로기간(4:4~8), ㉰ 떡-궁핍(4:9`17)
㉱ 머리털을 깎음-예루살렘 거민들의 멸망(5:1~17)
② 설교를 통한 예언들(6:1~7:27) ; 임박한심판원인-우상(6:1~14), 임박한심판성질-심함(7:1~27)
③ 환상을 통한 예언들(8:1~11~25)
㉮ 타락한 성전의 환상(8:1~18), ㉯ 예루살렘 주민학살의 환상(9:1~11),
㉰ 불타는 예루살렘의 환상(10:1~22), ㉱ 악한 방백들과 떠나버린 영광의 환상(11:1~25)
④ 심판의 확실성(12:1~24:27)
㉮ 선지자의 행구의 표적(12:1~16)과 떨림의 표적(12:17~28),
㉯ 거짓선지자들에 대한 경고(13:1~23)와 우상을 섬기는 장로들에 대한 경고(14:1~23)
㉰ 열매없는 포도나무의 비유(15:1~8)
㉱ 간음하는 여인의 비유(16:1~63) : 젊음(1~14), 죄악(15~34), 정죄(35~52), 회복(53~63)
㉲ 두 독수리의 비유(17:1~24)와 거절된 신 포도의 교훈(18:1~32)
㉳ 이스라엘 방백들에 대한 애곡(19:1~14)과 불성실한 이스라엘에 대한 메시지(20:1~32)
㉴ 앞날의 회복에 대한 약속(20:33~44)과 불 붙는 삼림(20:45~49)과 칼(21:1~32)
㉵ 심판의 풀무(22:1~31) :
㉠ 죄의 목록(22:1~12), ㉡ 심판의 확실성(22:13~22), ㉢ 죄인들의 계층(22:23~31)
㉶ 두 여인의 비유(23:1~49) : ㉠ 정체(1~4), ㉡ 음행(5~21), ㉢ 징벌(22~49)
㉷ 끓는 가마의 비유(24:1~14)
㉸ 에스겔 부인이 죽은 표적(24:15~27)
Ⅲ. 열방들에 대한 예언(25:1~32:32)
① 암몬에 대한 심판(25:1~7), ② 모압에 대한 심판(25:8~11), ③ 에돔에 대한 심판(25:12~14)
④ 블레셋에 대한 심판(25:15~17)
⑤ 두로에 대한 심판(26:1~28:19) : ㉮ 두로의 멸망(26:1~21), ㉯ 두로에 대한 애곡(27:1~36),
㉰ 두로왕의 멸망(28:1~10), ㉱ 두로왕에 대한 애곡(28:11~19)
⑥ 시돈에 대한 심판(28:20~26)
⑦ 애굽에 대한 심판(29:1~32:32) : ㉮ 심판의 확실성(29:1~21), ㉯ 심판의 묘사(30:1~26),
㉰ 앗수르와 애굽의 비교(31:1~18), ㉱ 애굽에 대한 애곡(32:1~32)
Ⅳ. 이스라엘 회복에 대한 예언들(33:1~39:29)
① 파수군으로 임명된 에스겔(33:1~33)
② 이스라엘의 목자들(34:1~31) : ㉮ 거짓목자들(1~10), ㉯ 참목자들(11~31)
③ 이스라엘의 재건(35:1~36:38) : ㉮ 에돔의 멸망(35:1~15), ㉯ 이스라엘과 맺은 새언약(36:1~38)
④ 이스라엘의 부흥(37:1~14)
⑤ 이스라엘과 유다의 재통일(37:15~28)
⑥ 곡과 마곡에 대한 이스라엘의 승리(38:1~39:29)
㉮ 곡의 침입(38:1~16), ㉯ 곡에 대한 승리(38:17~39:29)
Ⅴ. 메시야 왕국에서 성취될 이스라엘에 관한 예언들(40:1~48:35)
① 새 성전(40:1~43:27)
㉮ 밖의 뜰과 세 문들(40:1~27), ㉯ 안뜰과 세 문들(40:28~47), ㉰ 성전 건물(40:48~41:26),
㉱ 안뜰내의 방들(42:1~20), ㉲ 하나님 영광의 재현(43:1~12), ㉳ 번제단(43:13~27)
② 새 예배(44:1~46:24)
㉮ 수종드는 자들(44:1~31), ㉯ 수종드는 자들에 대한 지원(45:1~17),
㉰ 제물들(45:18~46:24) : ㉠ 절기에 드리는 제물들(45:18~25),
㉡ 안식일과 월삭과 아침마다 드리는 제물들(46:1~15), ㉢ 왕이 지킬 규정들(46:16~18),
㉣ 재물을 준비하는 장소들(46:19~24)
③ 거룩한 새 땅(47:1~48:35)
㉮ 땅에 생명을 주는 강(47:1~12), ㉯ 땅의 경계선(47:13~23), ㉰ 땅의 구획(48:1~35)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마리아인들은 누구? (0) | 2025.02.03 |
---|---|
디도서 (0) | 2025.02.03 |
거짓선지자의 분별 (0) | 2025.02.03 |
오바댜(Obadiah) (0) | 2025.01.31 |
방언(方言)에 대한 이해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