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자료

히브리어 인명 지명 / 애굽- 미쯔라임, 규빗-암마, 나일-예오르

열려라 에바다 2025. 2. 3. 10:54

히브리어 인명 지명 / 애굽- 미쯔라임, 규빗-암마, 나일-예오르

 

히브리어를 처음 배워 알파벳과 발음을 알고 용기를 내어 성경을 읽어보다가 당황하는 일이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했던 인명이나 지명의 발음이 알파벳대로 발음하면 이상한 발음이 되는 것입니다.

내가 히브리어 알파벳을 뭔가 잘못 알았던가 모음부호도 없는 이상한?^^ 언어 히브리어가 이렇게 어려운 것이로구나 생각하며 어떻게 된 건가 고민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성경이 히브리 원어식으로 발음하지 않고 고유명사를 영어에서 번역해왔기 때문에 눈에 익지 않고 귀에 익지 않아서 그렇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애굽-애급이 히브리어 원어 성경에는 계속 미쯔라임으로 나타납니다. ​

우리 성경은 출애굽기라고 하는데 한문 성경은 출애급기出埃及記 입니다. 즉 한문은 '애굽'이 아니라 '애급'입니다. 중국식의 표기이고 이집트라는 발음을 중국식으로 쓴 것을 우리가 따온 것입니다. 그런데 그 애굽-애급-이집트가 히브리 원어에는 미쯔라임으로 나타나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하!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애급이 미쯔라임인데 우리 말로 번역되는 과정, 중국 한문의 영향등으로 애급으로 된 것이로구나, 이해하면 됩니다. 즉 영어나 한문으로 익숙해져 있기에 히브리어 원어발음을 들으면 오히려 생소해지고 낯설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미리 공부하는 것도 좋다는 생각입니다.  

​그것도 역시 한글로 표기해서 눈에 익으면 히브리 원어는 이렇게 발음되는구나 하면서 히브리원어 성경을 읽기가 쉬워진다는 생각입니다.

 

​* 그런데 이스라엘 백성들이 이집트를 미츠라임이라고 부른 것을 정현진구약학 박사님께서 덧글로 실어놓아서 이곳으로 옮깁니다.

​미츠라임은 [미 + 챠르 + 임 으로 되어 있습니다.
1) 미는 명사형을 나타내는 접두어이고,
2) '좁다'는 뜻의 동사 챠라르에서 온 '챠르'는 본디 좁은 곳, 협곡을 가리키는데, 그 뜻이 발전하여 원수, 적대자, 시련 등을 뜻합니다.
3) 임은 복수(plural)을 표시하는 어미입니다.
아주 작은(좁은)땅에 사는 히브리인이 아주 큰(넓은) 영토를 가진 이집트를 '좁은 곳'이라 부르는 뜻은?
 

아하! 그러니까 이 미츠라임은 이스라엘 백성들의 '마음'이 담겨있는 '의도적' 호칭이군요, 감사, 감사!!

 

 

​<한글성경> <히브리원어 성경 발음>

아담 - 아담

하와 - 하봐

노아 - 노아흐

가인 - 카인 

​아벨 - 헤벨

셋    -  쉩​

에녹 - 에노쉬

셈(쉠) 함(함) 야벳(예펱)​

​규빗(창 6:15) - 암마 אמה 규빗은 라틴어에서 온 말 - 암마는 '팔의 어머니', 즉 팔뚝을 뜻함

규빗(삿3:16) 고메드=암마​

가나안-크나안

​이삭- 이쯔핰

애굽- 미쯔라임

여호와 이레- 여호와 이르에

여호와의 산에서 준비되리라(창세기22:14) - 여호와의 산에서 나타날 것이다.​

​에서-에싸브

야곱-야아콥​

유다-예후다​

​레위-레뷔

요셉-요셒

베냐민- 빈야민

바로- 파르오

히브리-이브리

나일 강-예오르 강 ​

사브넷 바네아-짜프낫 파네아흐-이집트어 ' 삶의 창조자'

메시야-마쉬아흐

* 한글 개역,개정 구약성경에는 메시야라고 번역된 단어는 없습니다. 그리스도-구원자라는 의미의 마쉬아흐-메시야는 다니엘서에 있습니다. (단 9:25,26)

그리고 단순히 기름부음을 받은 사람이라는 의미의 마쉬아흐는 구약성경에 많이 나타납니다. 삼상24:6 등

신약성경에는 요한복음에 나타납니다. 나머지 경우는 헬라어인 그리스도로 나타납니다.

[요1:41]그가 먼저 자기의 형제 시몬을 찾아 말하되 우리가 메시야를 만났다 하고 (메시야는 번역하면 그리스도라)

[요4:25]여자가 이르되 메시야 곧 그리스도라 하는 이가 오실 줄을 내가 아노니 그가 오시면 모든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시리이다

​입다- 잎타흐

삼손- 쉼숀​

블레셋- 플레쉩​

사무엘-쉬무엘​

사울-샤울​

​다윗-다뷛( דָּוִד)

솔로몬- 쉴로모​

이사야-예샤야​

예레미야-이르메야

에스겔-에헤즈켈

호세아-호쉐아

에스더-에스테르

여호와 삼마 - 여호와 샴마(여호와께서 거기 계심)​

 

개신교 표기 로마자 표기 가톨릭 표기 직역성경 표기[5]
비고
가이사 Caesar 카이사르 황제
황제의 호칭. 실제 로마 황제도 카이사르로 통칭되었다.
가이오 Gaius 가이오 가이오
가인 Cain 카인 카인
고레스 Cyrus 키루스 코레쉬
고린도 Corinthos/Corinth 코린토 코린토
원어인 그리스어는 코린토스(Κόρινθος).
구스 Kush 에티오피아 쿠쉬
에티오피아 지역의 옛 왕국 중 하나.
그레데 Creta 크레타 크렡
기독(그리스도) Christ 그리스도[6] 마쉬아흐[7]
기독교의 어원이다. 예수 그리스도도 Iesus Christos(예수스 크리스토스)의 음차. 절대 '지져스 크라이스트'의 음차가 아니다.
누가 Lucas 루카 루카
니느웨 Nineveh 니네베 니느붸
'니느웨'는 히브리식으로 읽은 것이고 '니네베'는 라틴식으로 읽은 것이다. V 발음을 어떻게 표기하느냐와 모음을 어떻게 읽느냐의 차이이다.
니므롯 Nimrod 니므롯 니므롣
느부갓네살 Nebuchadnezzar 네부카드네자르 느부칻네짜르
다메섹 Damascus 다마스쿠스 다메쉨
다마스쿠스는 라틴어이며 현재는 아랍식으로 디마시크(Dimashq)가 되었다.
다소 Tarsus 타르수스 타르소
데살로니가 Thessalonica 테살로니카 테살로니카
원어인 그리스어는 테살로니키(Θεσσαλονίκη)이나, 테살로니카라고도 한다.
도마 Thomas 토마스 토마
두아디라 Thyatira 티아티라 씨아테라
디도 Titus 티투스(구약)/티토(신약) 티토
디베료 Tiberius 티베리우스 티베리우스
라오디게아 Laodicea 라오디케이아 라오디케아
리브가 Rebecca 레베카 리브카
마태 Matthaios 마태오 마타이
히브리어 Mattathyah('신의 선물'이라는 뜻)→그리스어로 축약된 Matthaios(마타이오스)→후기 라틴어 Matthaeus(마태우스)→고대 프랑스어 Mathieu→영어 Matthew로 변형.
마가 Marcus 마르코 마르코
마르코(Marco)는 고대 라틴어 Mart-kos에서 왔으며, "마르스로부터 신성하게 된 자"라는 뜻이다. 마르쿠스는 고대 로마에서 쓰인 가장 흔한 이름 셋 중 하나였다. 영어의 Mark는 원어의 끝부분 모음이 탈락된 형태.
미가엘 Michael 미카엘 미카엘
바로 Pharaoh 파라오 파르오
한자의 음차를 그대로 음역한 것.
바보 Paphos 파포스 파포
Πάφος. 그 바보(...)가 아니라 키프로스의 도시 이름. 신화에서 아프로디테의 출생지이다.
바사 Persia 페르시아 파라스
이란 등지의 페르시아어 발음으로는 파르사에 가깝다. 이 경우는 한글 성서가 더 정확한 편.
바울 Paul 바오로[8] 파울
원어인 그리스어는 사울/사울루스/파울로스, 라틴어는 파울루스(Paulus).
버가모 Pergamos 페르가몬 페르가모
베니게 Phoenicia 페니키아 페니키아
베드로 Petrus/Peter 베드로 페트로
아람어로는 케파(Cephas). 그리스어로 옮겨질 때 음이 아닌 뜻을 살려 페트로스로 옮겨졌다.
본디오 빌라도 Pontius Pilatus 본시오 빌라도 폰티오 필라토
빌라델비아 Philadelphia 필라델피아 필라델피아
사단/사탄[구분] Satan 사탄 사탄
사데 Sardis 사르디스 사르디스
산헤립 Sennacherib 산헤립 산헤립
서머나 Smyrna 스미르나 스미르나
터키에 위치한 도시로 현재는 '이즈미르(Izmir)'이다.
스가랴 Zechariah 즈카르야 즈카르야
스도이고/스토아[구분] Stoa 스토아 스토아
스토아 학파. 라틴어의 Stoicus에서.
승냥이 jackalhyena[10] 승냥이 승냥이
시내 Sinai 시나이 시나이
시몬 Simon 시몬 쉼온
쓰스/제우스[구분] Zeus 제우스 제우스
아구스도 Augustus 아우구스투스 아우구스투스
아덴 Athene[11] 아테네 아테네
아데미 Artemis 아르테미스 아르테미
아하수에로 Xerxes 크세르크세스 아하쉬붸로쉬
애초에 히브리어로는 아하수에로에 가까운 발음('아하슈에로시'나 '아하쉬붸로쉬'처럼 들린다)인데다가 크세르크세스는 그리스식 번안이라 원래 이름이라 하기도 뭐한 실정. 고대 페르시아어 발음으론 흐샤야르샤(خشایارشا) 이다. 뜻은 "모든 왕 위에 군림하는 영웅."
안드레 Andreas 안드레아 안드레
안디옥 Antiochia 안티오키아 안티옼
원어인 그리스어는 안티오케이아(Αντιόχεια), 라틴어로는 안티오키아(Antiochia). 옛날 영어는 그리스어나 라틴어에서 받아들인 '외래어'는 격어미는 잘라먹고 어간만 표기하는 경향이 많았다. 현재 명칭은 안타키아(Antakya).
앗수르 Assyria 아시리아 앗슈르
야고보 Jacobus 야고보 야아콥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라틴어 야코부스(Jacobus)의 발음 중 순자음 b가 m으로 변하면서 야코무스(Jacomus)가 되었고, 이게 프랑스어로 옮겨오는 과정에서 또 k자음이 탈락하여 James로 최종진화한 것. 격어미를 빼고 어간만 표기하면 Jacob(제이커브)가 되는데, 이는 Jacob은 구약의 '야곱'이다.
애굽 Egypt 이집트 미쯔라임[12]
원래 한자로 이집트를 음역한 것은 애급(埃及)이다. 발음 편이를 위해 한글에서 변형된 것. Aegyptus(아이깁투스).
에베소 Ephesus 에페소 에페소
원어인 그리스어는 에페소스(Έφεσος), 라틴어로는 에페수스(Ephesus), 터키어로는 에페스(Efes).
에비구레오 Epicouros 에피쿠로스 에피큐로스
에서 Esau 에사우 에싸브
에스더 Esther 에스테르 에스테르
한글성서판이 뭐냐에 따라 표기가 다르다. 개신교는 영어식 표기인 에스더를 쓴다. 자세한 건 에스텔 항목 참고.
여호수아 Joshua 여호수아 예호슈아
사실 여호수아나 호세아나 예수나 다 동일계열의 이름이다. 히브리어에서는 원래 모음기호를 잘 표기하지 않는다.
올응(兀鷹) Gier eagle[13] 물수리 까치
요셉 Josephus/Joseph 요셉 요셒
요한 Johannes 요한 요하난
유브라데 Euphrates 유프라테스 프랕
이달리/이달리야 Italy 이탈리아 이탈리아
이삭 Isaac 이사악 이쯔핰
히브리어 원어로는 이츠하크. 이쯔핰으로도 들린다.
이스라엘 Israel 이스라엘 이스라엘
허메/헤르메스[구분] Hermes 헤르메스 헤르메
개역개정판에서는 헤르메스로 표기했다. 이미 그리스·로마 신화를 많이 아는 독자들이 늘어났음을 반영한 것.
힛데겔 Tigris 티그리스 힏데켈

 

 




 ​

 (히브리 노래)

   

출처ⓒ†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