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과 결혼하면 어떨까?
당신은 멋진 동반자로서 당신의 모든 필요를 채워주고
당신을 온전히 완성시켜줄 특별한 사람을 찾고 있다.
하지만 그런 사람은 없다.
찾지 못할 것이다!
_
불안정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배우자를 이상화하려는 욕구가 더 크다.
그것이 두려운 이유는 그 이상화가 첫해에 사라져버리기 때문이다.
_
내가 아는 가장 슬픈 사실 중 하나는 미혼자들이 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어떤 사람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살려고 하는 것이다.
_
그들은 불확실한 상태에서
마법 같은 날이 찾아오기를 기다리며 사는 것처럼 행동한다.
물론 그들은 대체로 실망한다.
_
더 자주 일어나는 일은 그들이 결혼하고 나서
삶의 열쇠를 받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_
즉 그들이 결혼 전에 길렀어야 하는
진취성과 인격이 바로 결혼생활에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여전히 외롭고 좌절감을 느낀다.
_
그래서 결혼 전, 성공하거나 실패하는 결혼생활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Why Marriages Succeed or Fail》(결혼의 성공과 실패의 이유)책에서는
그 사람과 함께하는 동안 긍정적일 때가 부정적일 때보다 ‘5배’ 많으면
당신의 결혼생활은 만족스러울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한다
_
어떤가?
지금 당신이 어떤 관계 속에 있다면
부정적인 면에 비해 긍정적인 면이 어느 정도인가?
_
결핍된 상태보다는
유리한 입장에서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것이 훨씬 더 좋다.
_
계속 찾되, 당신이 최선의 상대를 발견하더라도
실제로 처음부터 100퍼센트 잘 맞지는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명심하라.
그렇지만 당신들은 서로 맞춰갈 수 있다.
_
예를 들어 서로 대화할 때
배우자의 대화 스타일에 맞춘다면
더 잘 반응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것에 대해 나중에 좀 더 이야기해볼 것이다.
_
노력하지 않으면
서로 맞춰가는 법을 결코 배우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두려운 일이다. 그렇지 않은가?
_
당신은 자신과 똑같이 생각하고 행동하며 생활하는
복제인간과 결혼하는 것이 아니다.
_
결혼 전에 갈등을 해결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면
더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_
조화를 이루는 법을 배우지 못하고
서로의 관계가 부정적인데, 왜 계속 나아가는가?
_
이것은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기술이지만,
그 기술을 연마할 시기는 결혼 서약을 하기 전이다.
_
두 사람 모두 자신이 누구인지 확실히 알고,
배우자가 자신의 정체성이나 자존감 문제의
해답이 되어주기를 기대하지 않는 부부들이
관계 속에서 훨씬 더 행복하다.
_
다른 사람이 당신을 채워줄 수 없다.
_
현재 당신의 삶에 결핍된 것이나
어릴 때 당신과 부모와의 관계에 결여되어 있었던 것을 대신 채워줄 수 없다.
_
당신이 먼저 당신 자신과 행복한 결혼을 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과 행복한 결혼생활을 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라.
_
당신의 배우자는 당신이 자신에 대한
올바른 자아상이나 정체성을 갖게 해줄 책임이 없다.
그것은 당신과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에서
얻어야 하는 것이다.
_
책 <내게 꼭 맞는 배우자 찾기_ H. 노먼 라이트> 중에서
_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이 물을 마시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
- 요한복음 4:13,14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은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
– 예레미야 33:3
너희 중에 누구든지 지혜가 부족하거든
모든 사람에게 후히 주시고
꾸짖지 아니하시는 하나님께 구하라
그리하면 주시리라
– 야고보서 1:5
그러나 너희도 각각 자기의 아내 사랑하기를
자신 같이 하고 아내도 자기 남편을 존경하라
– 에베소서 5:33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가정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음 가정을 위한 부부관계 (0) | 2025.01.20 |
---|---|
어느 어머니가 아들에게 주는 말과 삶의 원칙 (0) | 2025.01.20 |
결혼의 본질, 성경적 근거, 결혼의 목적 (0) | 2025.01.20 |
스크랩 기독교 가정의 바람직한 설 보내기 (0) | 2025.01.17 |
성경적 부부의 회복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