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초기 기독교 박해와 유대인의 역할

열려라 에바다 2025. 2. 25. 09:06

초기 기독교 박해와 유대인의 역할

1. 유대인들은 왜 로마에서 면제 특권을 받았을까?
📌 로마 제국은 왜 황제 숭배를 강요했나?

  • 로마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를 다스리는 제국이었다.
  • 로마 황제들은 제국의 통합을 위해 **황제 숭배(황제를 신으로 섬기는 것)**를 요구했다.
  • 로마 시민들은 신앙과 상관없이 황제 숭배 의식을 수행해야 했다.

📌 유대인들은 특별한 면제권을 받음

  • 유대교는 오직 한 분 하나님만 섬기는 엄격한 유일신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 유대인들은 황제 숭배를 거부했지만, 로마는 그들의 강한 민족 정체성과 반발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황제 숭배를 면제해주었다.
  • 즉, 유대인들은 로마에 세금만 내면 황제 숭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특권을 가졌다.

💡 결과:
✅ 유대인들은 로마에서 종교적 자유를 보장받았다.
❌ 하지만 기독교인들은 이 보호를 받지 못했다.


2. 유대인들은 왜 기독교인을 로마에 고소했을까?
초기 기독교는 유대교에서 시작되었고, 예수님의 제자들도 대부분 유대인이었다. 그러나 기독교가 점점 유대교와 분리되면서 유대인들은 기독교인을 "자신들과 다른 집단"으로 규정하기 시작했다.
📌 유대인들이 기독교를 고소한 이유
✅ 1) 기독교는 유대교가 아니라는 주장

  • 유대인들은 기독교가 유대교의 한 분파가 아니라, 완전히 다른 종교라고 주장했다.
  • 이는 기독교가 로마의 보호를 받을 수 없도록 만들려는 전략이었다.

✅ 2) 기독교인들도 황제 숭배를 거부했기 때문

  • 기독교인들은 유대인들처럼 황제 숭배를 거부했지만, 유대교처럼 면제받지 못했다.
  • 유대인들은 로마에 "저들은 우리와 다른 사람들이다"라고 주장하며 기독교를 로마법 위반자로 만들었다.

✅ 3) 기독교의 확산을 막기 위해

  • 기독교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유대교 신자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일이 많아졌다.
  • 유대교 지도자들은 이를 막기 위해 로마 정부를 이용하려 했다.

💡 결과:

  • 유대인들이 기독교인들을 로마에 고소하면서, 기독교는 본격적으로 박해를 받기 시작했다.

3. 유대인들의 고소와 초기 기독교 박해 사례
📌 (1) 사도행전에 나타난 유대인들의 기독교 박해
✅ 스데반의 순교 (사도행전 7장)

  • 유대 지도자들은 스데반이 성전과 율법을 모독했다고 고소했다.
  • 스데반은 돌에 맞아 순교했다.

✅ 사도 바울(바울로 개명 전, 사울)이 기독교 박해에 앞장섬

  • 바울은 원래 바리새인으로, 기독교인들을 체포하고 박해했다(사도행전 8장).

✅ 유대인들이 바울을 로마에 고소 (사도행전 24:5-9)

  • 유대인들은 바울을 "로마 질서를 어지럽히는 자"라고 고소하며 투옥시켰다.

📌 (2) 로마의 본격적인 기독교 박해
✅ 로마 황제 네로(64년) – 기독교 박해 시작

  • 네로 황제는 로마 대화재(64년)의 책임을 기독교인들에게 돌렸다.
  • 기독교인들은 로마 시민들에게 보호받지 못하고 처형당했다.
  • 이때 사도 베드로와 바울이 순교했다.

✅ 도미티아누스 황제(81-96년) – 기독교는 불법 종교가 됨

  • 유대교는 계속해서 보호받았지만, 기독교는 불법으로 간주되었다.
  • 로마 제국은 기독교를 박해하며, 기독교 신자들에게 황제 숭배를 강요했다.

✅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 최악의 기독교 박해

  • 기독교인들은 고문당하고, 성경이 불태워졌으며, 수천 명이 처형되었다.
  • 유대교는 여전히 로마의 보호를 받았다.

4. 기독교가 로마 국교가 된 후, 유대인들은 박해를 받게 됨
기독교가 로마에서 박해를 받았지만,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하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
✅ 313년 – 밀라노 칙령 (기독교 합법화)

  • 기독교가 로마에서 합법적인 종교로 인정받음.

✅ 392년 – 테오도시우스 황제 (기독교를 국교로 지정)

  • 기독교가 로마 제국의 공식 국교가 되었다.
  • 유대인들은 더 이상 특별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오히려 기독교인들에게 박해를 받기 시작했다.

💡 결과:

  • 기독교가 힘을 가지면서, 유대인들은 과거 자신들이 했던 것처럼 기독교인들에게 반격을 당했다.
  • "예수를 죽인 민족"이라는 이유로 유대인들은 기독교 사회에서 차별받기 시작했다.

결론 – 유대인과 기독교의 애증 관계
✅ 1) 유대인들은 처음에는 로마에서 종교적 특권을 받았다.
✅ 2)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이런 보호를 받지 못했고, 유대인들이 로마에 고소하면서 박해를 받았다.
✅ 3) 기독교가 로마 국교가 된 후, 유대인들은 기독교 사회에서 차별받게 되었다.
기독교와 유대교는 역사적으로 서로를 미워하고 박해해 온 복잡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예수님은 "원수를 사랑하라"(마태복음 5:44)고 가르치셨지만, 인간의 역사 속에서는 오히려 서로를 미워하고 공격하는 일이 반복되었다.
오늘날 우리는 이러한 역사를 이해하고, 진정한 사랑과 화해를 실천해야 한다. 기독교인은 유대인들을 단순한 "예수를 배척한 민족"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여전히 사랑하시는 백성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이제는 증오가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과 복음을 통해 유대인들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