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월 칠석
견우와 직녀 이야기
하늘나라 목동인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가 결혼하였다. 그들은 결혼하고도 놀고 먹으며 게으름을 피우자 옥황상제는 크게 노하여 견우는 은하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 서쪽에 떨어져 살게하였다.

그래서 이 두 부부는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건널 수 없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태우면서 지내야했다.
이러한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전해들은 까마귀와 까치들은 해마다 칠석날에 이들을 만나게 해주기 위하여 하늘로 올라가 다리를 놓아 주었으니 그것이 곧 오작교(烏鵲橋)이다.

그래서 견우와 직녀는 칠석날이 되면 이 오작교를 건너 서로 그리던 임을 만나 1년 동안 쌓였던 회포를 풀고 다시 헤어진다.
그래서 칠석날 세상에는 까치와 까마귀는 한 마리도 없으며, 어쩌다 있는 것은 병이 들어 하늘로 올라갈 수 없는 것 들이라고 한다. 또 까마귀와 까치는 이날 다리를 놓느라고 머리가 모두 벗겨지게 된다고 한다.

칠석날 전후에는 부슬비가 내리는 일도 많은데, 이는 견우와 직녀가 서로 타고 갈 수레 준비를 하느라고 먼지 앉은 수레를 씻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 물이 인간 세상에서는 비가 되어 내리므로, 이 비를 '수레 씻는 비' 즉 '세차우(洗車雨)'라고 한다.

뿐만 아니라 칠석날 저녁에 비가 내리면 견우와 직녀가 상봉하여 흘리는 기쁨의 눈물이라고 하며, 이튿날 새벽에 비가 내리면 이별의 슬픈 눈물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때의 비를 '눈물 흘리는 비', 곧 '쇄루 우(灑淚雨)'라고도 한다.

농촌진흥청은
토종 발렌타인 데이인 음력 7월7일에
선조들은 증편(위)과
복숭아 화채(가운데),
밀애 호박부꾸미 등을 즐겼다고 밝혔습니다.

8월24일이 칠석날
오늘은 견우와 직녀가 일년에 한번 만나는 칠월칠석입니다 칠월칠석에 비가오면 견우직녀가 만남을 기뻐하며 흘리는 눈물이고, 칠월칠석 다음날 비가오면 견우직녀가 헤어짐을 아쉬워하며 흘리는 눈물이래요 칠월칠석 견우직녀처럼 지금 애타게 그리운 사람있으시면 꼭 만나서 사랑 나누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