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천과 경제] 크리스천의 성경적 십일조 헌금(3)
성도님이 만약 450만원의 소득에서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매달 은행에 정기적금을 50만원씩 불입한다고 합시다. 그 경우 50만원을 뺀 400만원의 10분의 1이 십일조가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정기적금 50만원은 자신이 임의대로 처분할 수 있으므로 십일조헌금 산정 시 이것을 제외할 수는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반면에 만약 A 성도님이 운영하던 사업체에서 사업이 잘 안 돼 적자가 났다고 한다면 어떻게 십일조헌금을 책정할 수 있을까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 교회마다 ‘월정헌금’이라는 별도의 헌금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월정헌금의 본질적 성격은 교회라는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당연히 부담해야 할 거룩한 재정적 부담의 성격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필자가 제 나름대로 성경에 근거한 회계학적 원리에 따라 십일조헌금 산정기준을 제시해 보았습니다만 무엇보다 우리 마음속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께 즐겁고 또 당당하게 십일조를 드리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판매업이나 제조업, 건설업이 아닌 1차 산업인 농업이나 축산업 종사자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성경이 쓰여진 당시에는 십일조헌금의 기준이 되는 소득의 개념이 명쾌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입이 바로 소득이 되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습니다.
즉, 농사짓는 땅이 넓고 또 씨를 뿌리고 나면 큰 비용 없이 추수기에 농작물을 거둘 수 있었고, 자연적으로 잘 조성된 벌판에 옮겨 다니며 소나 양들을 방목하던 시대여서 특별한 비용(원가)이 그다지 들지 않았습니다. 반면 오늘날의 농업이나 목축업의 운영 형태는 그때와는 전혀 다르다고 봐야지요.
따라서 농사나 축산업을 하는 성도님께서는 다른 자영업자와 마찬가지로 농산물이나 축산물 생산으로 인해 거둬들인 총생산금액(총수입금액)에서 비용이라고 할 수 있는 농약대금을 비롯하여 비료, 품삯, 탈곡, 장비사용료, 물 사용료, 전기료, 운반비, 사료비, 종자구입비 등 모든 생산비용을 빼고, 여기서 다시 세금을 비롯한 공적부담금을 제하고 난 순수한 가처분소득에 대하여 10분의 1을 십일조헌금으로 책정하면 되겠습니다.
조용근 장로 세무법인 ‘석성’ 회장 ykcho@seoksung.co.kr
반면에 만약 A 성도님이 운영하던 사업체에서 사업이 잘 안 돼 적자가 났다고 한다면 어떻게 십일조헌금을 책정할 수 있을까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 교회마다 ‘월정헌금’이라는 별도의 헌금제도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월정헌금의 본질적 성격은 교회라는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당연히 부담해야 할 거룩한 재정적 부담의 성격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필자가 제 나름대로 성경에 근거한 회계학적 원리에 따라 십일조헌금 산정기준을 제시해 보았습니다만 무엇보다 우리 마음속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께 즐겁고 또 당당하게 십일조를 드리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판매업이나 제조업, 건설업이 아닌 1차 산업인 농업이나 축산업 종사자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성경이 쓰여진 당시에는 십일조헌금의 기준이 되는 소득의 개념이 명쾌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입이 바로 소득이 되는 것으로 착각할 수도 있습니다.
즉, 농사짓는 땅이 넓고 또 씨를 뿌리고 나면 큰 비용 없이 추수기에 농작물을 거둘 수 있었고, 자연적으로 잘 조성된 벌판에 옮겨 다니며 소나 양들을 방목하던 시대여서 특별한 비용(원가)이 그다지 들지 않았습니다. 반면 오늘날의 농업이나 목축업의 운영 형태는 그때와는 전혀 다르다고 봐야지요.
따라서 농사나 축산업을 하는 성도님께서는 다른 자영업자와 마찬가지로 농산물이나 축산물 생산으로 인해 거둬들인 총생산금액(총수입금액)에서 비용이라고 할 수 있는 농약대금을 비롯하여 비료, 품삯, 탈곡, 장비사용료, 물 사용료, 전기료, 운반비, 사료비, 종자구입비 등 모든 생산비용을 빼고, 여기서 다시 세금을 비롯한 공적부담금을 제하고 난 순수한 가처분소득에 대하여 10분의 1을 십일조헌금으로 책정하면 되겠습니다.
조용근 장로 세무법인 ‘석성’ 회장 ykcho@seoksung.co.kr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고학으로 읽는 성서-(2) 예루살렘을 향하여] 실로 (0) | 2013.08.13 |
---|---|
한국교회, 조선인 학살 진상규명 나선다. (0) | 2013.08.13 |
[역경의 열매] 김소엽 (12) 미국서의 당찬 포부 “하나님 나라 한국을 알리자” (0) | 2013.08.13 |
[열방우체국-조성수 남아共 선교사] 엄마·아빠의 심장을 가졌던 바울 선생님 (0) | 2013.08.12 |
“기독인 2020년엔 세계 종교인구 1/3 오순절·은사주의 교단 성장 가장 빨라” (0) | 201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