回族(회족) |
- 인구 860,297명
- 지역 주요거주지는 宇夏(우하) 자치구이고, 甘肅(감숙), 新疆(신강), 靑海(청해), 河北(하북) 그리고 河南(하남), 云南(운남), 山東(산둥)에도 적지 않은 거주지가 있다.
|
|
- 언어 및 문자 한어는 회족의 공용언어이고 일상생활과 종교활동 중에서도 통용된다. 또한 회족은 알바니어와 페르시아어의 어휘를 보존하고 있으며 변방지대에서의 회족민족은 아직 그 지방 소수민족의 어휘를 늘 사용하고 있다.
- 역사 회족은 回回民族(회회민족)의 약칭이다. 이들의 선조는 대부분 13세기 몽고족의 세차례 서방정벌 이후 대량으로 동쪽으로 돌아서 이동한 回回族이고, 당·송시대에 외국에서 거주하뎐 중국 동남쪽 연해의 모슬렘(회교도)인인 蕃客(번객) 역시 이들의 선조 중 하나이다. 그리고, 이들은 긴 역사의 과정중에서 혼인관계를 맺는 방법을 통해 늘어난 종의 구성인들인 漢(한), 蒙古(몽고), 維吾爾(유오이)족등의 생활습관과 풍속을 받아들여 통합했다. 그리하여 점차 回回(회회)민족이 형성되었다.
- 생산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목축업과 수공업도 겸한다. 회족은 아직까지 독단적으로 장사를 하는데, 특히 요식업 경영에 뛰어나다.
- 문화 및 전통 회족은 소집중 다분산의 거주특징이 있다. 그 지역내에서의 회족은 대부분 한족과 집거하고, 변방지역에서의 회족은 대부분 그지방 소수민족과 함께 거주하고 있다.(대부분 수륙교통노선위에 분포한다.) 회족인의 종교는 이슬람교이다. |
|
이(Yi)족 |
인 구
- 윈난성(雲南省): 4,446,100명 (1997년 통계)으로 운남성 소수민족중 인구수가 가장 많다. - 중국전체 : 6,578,524명
분 포
윈난성(云南省)의 대부분의 현에 이족이 분포되어 있다. 특히 윈난성의 중남부인 츄숑(楚雄)이족자치주, 홍허(紅河)하니(哈尼)이족자치주와 서북부인 량샨(凉山)일대에 집중하여 거주하고 있다. 이밖에 쓰촨성(四川省)에 1,525,713명, 꾸이조우성(貴州省)에 563,747명, 꽝시성(廣西省)에 4,676명등이 살고 있으며, 기타 동남아시아와 중국과 국경을 두고 있는 인접국가에도 소수의 이족이 살고 있다.
언 어
이족은 고유한 민족언어를 가지고 있다. 이족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장면어족(藏緬語族)이어지(Yi語支)에 속하며, 크게 6개의 방언지역으로 나눈다.
1. 동북부방언지역 : 3개의 제2방언과 9개의 土語가 있으며, 츄숑(楚雄)이족자치주의 우딩(武定), 위엔모우(元謀), 뤼펑(祿豊)등지에서 약 10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2. 동남부방언지역 : 4개의 토속어(土語)가 있으며, 루난(路南), 미러(彌勒), 화닝(華寧), 원샨(文山)등지에서 약 68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3. 서부방언지역 : 2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웨이샨(巍山), 미뚜(彌渡), 잉핑(永平), 바오샨(保山)등지에서 약 67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4. 남부방언지역 : 3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지엔슈이(建水),꺼지우(各舊), 신핑(新平), 어샨(峨山)등지에서 약 10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5. 북부방언지역 : 2개의 제2방언과 5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화핑(華平), 용셩(YongSheng),닝랑(NingLang)등지에서 약 80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6. 중부방언지역 : 2개의 토속어가 있으며, 츄숑(楚雄), 모우딩(牟定), 따야오(大姚), 용런(永仁)등지에서 약 55만의 인구가 사용하고 있다.
6개의 방언 사이에는 차이가 크며, 서로 의사소통하는데에도 어려움이 많다. 일부 지역에서 지역간의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소통이 불가능하며, 간혹 漢語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 자
이족은 약 1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지닌 일종의 표의(表意)문자형식의 고유문자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루워루워(羅羅)문(文)이라 불리웠으며, 현재는 일반적으로 라오이원(老Yi文)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이 언어를 이용하여 역사, 철학, 문예, 의약, 천문지리, 언어, 문자, 종교경전등 다방면에서 문헌자료를 남겼으며, 이 가운데 많은 자료들이 현재 정리 출판되고 있다.
민족 역사
이족은 유구한 역사를 지닌 민족으로 그 기원은 고대 서남북부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구챵인(古羌人;gu qiang ren)과 관련있는 쿤밍인(昆明人;kun ming ren)이다.
기원전 4세기초 이들은 지금의 四川省 서북부와 서남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본토인 이(夷;yi)부족과 융합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다. 진(秦)한(漢)시대에는 각각 "쿤밍인", "쏘우(sou)족"으로 불리우면서 이족이라는 초기 민족으로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8세기 중엽에는 白族과 함께 이족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가인 남조국(南詔國;nan zhao guo)를 세우게 된다. 원(元)나라 시대에는 "루워루워(羅羅)"로 불리웠고, 이때부터 세습족장제도인 土司제도(黑骨,白骨,家奴 3개등급)를 형성한다. 이후 중국건국 전까지 노예제도와 봉건제도가 이족사회안에 병존하였고, 현재까지 경제적 불균형과 사회발전을 크게 하지 못하고 있다.
이족은 오래된 역사 발전 과정속에서 다양한 지계(支系)들을 형성해 왔는데, 서로 다른 이름만 해도 무려 100여종이 넘고 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이름으로는 "누어쑤(諾蘇)", "나쑤(納蘇)", "루워루워(羅羅)", "이(Yi)", "헤이이(黑Yi)", "바이이(白Yi)", "사니(撒尼)"등이 있으며, 현재는 "이족"으로 통일되어 부르고 있다.
의 복
중국의 소수민족 가운데 이족만큼 전통적 민족복장이 다양한 민족은 없다. 종류와 양식면에서 뿐만아니라 도안 역시 복잡하다. 여자의 경우 현재 약 100여종이 넘는 복장이 있는데, 이는 성별, 연령별, 평상복, 혼인복, 장례복, 제사복, 전쟁복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족의 복장은 지역마다 크게 차이가 있는데, 치마를 위주로 입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어떤 지역은 바지를, 그리고 어떤 지역은 두루마기를 위주로 입는다.
복장의 표현 역시 다르다. 예를들면, 자수, 십자수, 염색등 그 방법이 변화무궁하며, 색깔 역시 풍부하다. 이들은 검은색을 숭상하며, 옷감으로 주로 검은색, 청색, 남색등을 사용하는데 이는 장엄하고 정중한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云南 남부의 광대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이족의 복장을 가리켜 "홍허씽(紅河型)"복장이라고 통칭하여 부른다.
남자의 경우, 각지역마다 기본적으로 같은데, 옷섶이 짧고 깃이 바로 선 상의에 폭이 넓은 바지를 입는다. 색깔은 검은색 혹은 남색을 사용한다. 여자의 경우,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가지고 있으며, 긴 홑옷, 중간 홑옷, 바지와 웃옷만을 입는 간단한 모양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외투로 조끼를 입고 긴바지를 입거나 앞치마를 두른다.
장식 역시 화려하고 다양하다. 머리장식은 주로 옥이나 은, 털실로 만든 모자를 쓴다.
예를들면, 쿤밍(昆明)근처의 사메이(撒梅)支系와 홍허하니족이족(紅河哈尼族Yi族)自治州 남부지역에 있는 여러支系 처녀들은 일종의 닭의 볏모양의 "지꽌마어(鷄冠帽)"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단단한 천을 잘라 만든 닭의 볏모양에 다시 크고 작은 1,200여개의 은 알을 박아넣어 만든 것으로 마치 우는 수탉의 모양과 같다. 이것은 처녀들의 길흉과 행복을 의미한다. 이외에 루난(路南)의 사니(撒尼)支系의 여자들은 "워얼지에(窩耳結)"이라고 부르는 옥과 화려한 무늬로 만든 모자를 사용하고 있다.
음 식
이족은 대부분 산지나 산 중간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음식은 추위에 강한 종류의 농작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메밀, 옥수수, 감자가 주식이고, 귀리, 벼, 보리, 밀, 콩 종류가 그 다음이다. 일부 평지에 거주하는 사람들 가운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이들도 있다. 부식품으로는 소, 양, 돼지, 닭고기등을 먹으며, 특히 날고기와 날간을 먹는 관습이 있다.
이족은 각 가정마다 독특한 방법으로 만든 음식이 있다. 예를들면, 야채나 무우줄기를 원료로 만든 채소에 돼지나 양고기, 혹은 벼를 넣어 만든 국은 그 맛이 독특하다. 특히 콩으로 만든 "뚜워나바(多拿巴)"는 특색있는 음식으로, 콩을 갈아 걸쭉하게 만든 뒤 더운물에 데쳐서 시큼하게 발효시킨 채소를 넣어 함께 끓인 뒤 먹는 방법으로 이 맛 역시 일품이다.
그밖에 이들은 술과 차를 좋아한다. 특히 술은 이족의 음식 중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족 속담중에 "漢人貴在茶, Yi人貴在酒"이라는 말이 있다. 이는 漢族사람들은 차를 중히 여기지만, 이족사람들은 술을 중히 여긴다는 뜻으로, 이들이 술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는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들은 개, 말, 그리고 곰 등의 동물들은 먹지 않는다. 이러한 동물들은 민족의 기원과 연관되어 있다는 원시종교의 영향 때문에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주 택
이족은 농경 위주의 민족으로 대부분 산지나 계곡 근처의 평지에 거주하고 있는 관계로 다양한 가옥형태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면, 비가 적은 곳은 "투쟝팡(土掌房)", 비가 많은 곳은 "챠오띵(草頂)", 나무가 많은 곳은 "무렁팡(木楞房)" 형식의 가옥들을 사용하고 있다. 투쟝팡(土掌房)은 이족의 전통가옥으로서, 추쑝(楚雄)이족자치주와 남부지역인 어샨(峨山), 신핑(新平), 위엔쟝(元江), 진핑(金平)일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土掌房은 본채(正房)와 곂채(廂房)로 구분되는데, 본채는 3개의 방으로 구분된 2층 형식의 가옥으로 되어있다. 1층은 소나 돼지등 가축을 가두는 우리로 사용하고, 2층은 주로 사람들이 거주하는 생활공간으로 사용한다. 마루나 지붕은 흙으로 사람의 키와 같은 높이로 만들어 베란다 등으로 사용한다. 본채의 3개방 가운데 중앙은 대청과 주방으로 사용한다. 방안으로 들어가면 오른쪽에 "鍋庄"(guo zhuang)이라고 부르는 火塘(huo tang)이 있다. 다른 소수민족과 마찬가지로 이족에게 있어서 火塘은 가정생활의 상징이며, 각종활동의 중심지이다. 예를들면 손님을 맞이하거나, 식사를 할 때, 그리고 각종 종교의식을 거행할 때, 모두 火塘 주위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火塘은 가족의 운명, 축복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불이 꺼져서는 안된다. 그래서 이른바 "완니엔훠(萬年火)"라고도 부른다. 土掌房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밖에 三合院('ㄷ'모양), 四合院('ㅁ'모양)형식의 가옥들이 있다.
|
바이(白)족 |
인 구
- 윈난성(雲南省):1,482,000 명 (1997년 통계)
지 계(支系) 1. 민쟈(民家) : 대부분 따리(大理)에 거주 2. 나마(那馬) : 윈난(云南)의 란핑(蘭平), 웨이시(維西)일대에 거주 3. 러모(勒墨) : 누쟝(怒江)주의 삐쟝(碧江)대에 거주 4. 치싱밍(七姓名) : 꾸이조우성(貴州省)에 거주
분 포
윈난성 따리바이(大理白族)족자치주에 80%가 거주하고 있으며, 쿤밍(昆明), 리쟝(麗江), 누쟝(怒江), 원샨(文山), 띠칭(迪慶), 츄숑(楚雄)등 윈난성의 서북쪽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쓰촨성(四川省), 꾸이조우성(貴州省), 후난성(湖南省) 등지에도 거주하고 있다.
언 어
고유의 언어가 있고, 따리(大理)주에서는 자기들만의 대화를 할 때는 민족언어로만 이야기하는데, 이 지역의 바이(白)족은 95%이상이 자기민족의 언어를 할 줄 안다. 일부 지역(도시중심)에서는 한어(漢語)를 통용하고 있다.
바이족의 언어는 크게 세 가지 방언이 있다. 1. 중부방언 - 지엔츄안(劍川)지역 중심
- 약 51만 정도가 사용 2. 남부방언 - 따리(大理)지역 중심 - 약 102만 정도가 사용 3. 북부방언 - 삐쟝(碧江)지역 중심 - 약 6만 정도가 사용
북부방언은 다른 두 지역의 방언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으나 남부와 중부방언은 서로 대화하는데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문 자
이전에 있었던 문자는 지금은 없어졌고, 漢字를 주로 사용한다. 널리 전파되지는 않았지만 자기민족의 언어를 漢字를 빌려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白文"이라고 부르며 "漢字白讀(글은 漢字를 사용하면서 白族의 언어로 읽는다는 뜻)"이라고 하기도 한다.
한편 1958년 남부방언을 기초로 해서 <白族文字方案>을 작성해서 白族문자를 다시 만들려고 했었으나 중부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고려하지 못해 잠시 보류되었다가 1982년부터 다시 문자를 만들기 위한 운동이 전개되는데, 이때부터는 남부와 중부의 방언을 모두 고려해서 서로 언어가 다를지라도 한가지 문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후 10여 년간의 연구와 실험단계를 거쳐서 한가지 방안을 확정한 뒤 민족문자로 사용하기 위해 국무원의 승인을 신청해놓은 상태에 있다.
민족 역사
바이(白)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에 오래된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갖고 있는 민족 중의 하나이다. 전국(戰國)시대에 초(楚)나라의 군사들이 운남지역으로 들어와서 교통이 편리하고 자연 환경이 좋은 곳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본래 있던 민족들과 통혼을 했다. 한(漢)나라 시대에도 윈난(云南)으로 군사를 파견했는데, 이때 많은 수가 윈난에 머무르게 되었고, 또한 전쟁을 피해서 도망 온 사람들도 있었다. 이 사람들이 전국시대 이주해 왔던 사람들과 함께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쏘우(sou)인"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이 "쏘우"중에서 일부분이 나중에 변화의 과정에서 白族의 선조가 되는 "바이만(白蠻)"을 형성했다. 8세기 중엽에는 남조국(南詔國;nan zhao guo)이 따리얼하이(大理Er海)지역을 통일하였고, 따리국(大理國;da li guo)을 거치는 500년의 통치가 있은 후 이 지역의 민족들은 점차적으로 한 언어와 풍속을 지닌 안정된 민족공동체가 되어 가면서 "바이런(白人)"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하나의 독립된 민족이 되었다. 이후 바이쯔(白子),바이니(白尼)등 여러가지 이름이 있었으나 그 모든 이름의 의미가 한결같이 백인이라는 의미여서 1956년 바이(白)족으로 통일하기로 결정하였다.
의 복
다른 민족과 함께 거주하는 곳에 있는 바이(白)족은 다른 민족의 영향을 받아 전통복장에 변화가 있거나 전통복장을 입지 않는 경향이 있다. 바이족만 모여 사는 따리(大理)의 시죠우(喜州)나 죠우쳥(周城), 지엔츄안(劍川)등지에서는 전통복장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남자의 전통 복장은 지역에 따라 있는 곳이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보기가 어렵다. 관광객들을 위한 공연장소나 민족절기의 행사 때에나 볼 수 있다.
여자는 비교적 전통복장을 지켜오고 있는 편이다. 얼하이(Er海)의 주변이나 동쪽의 젊은 여자는 머리를 길게 길러서 하나로 땋은 다음 빠오토우(包頭)를 한바퀴 두른다. 상의는 소매가 짧은 흰색 옷을 입고, 검은 색 옷깃이 있는 겉옷을 입는다(어떤 사람은 소매에 넓고 좁은 장식된 천을 두르기도 한다). 그리고 화려하게 수놓은 앞치마를 하고, 하의는 바지를 입는데, 대부분 바짓가랑이에 흰색, 옅은 녹색, 남색 등의 천으로 둘러 장식을 한다. 신발은 꽃으로 수놓은 뾰족한 신을 신는다(지금은 이런 신발을 신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나이들은 여자들은 검은 색 천으로 머리에 두르고, 흰색 내의를 입고, 남색 저고리를 입는다. 남색이나 검은 색 바지에 꽃신을 신는다. 얼하이(Er海)의 서쪽지역의 여자들은 머리를 틀어 올려 은장식품을 꽂고 검은 천으로 두른다(한국 여인의 쪽을 지은 모습과 비슷하나 비녀의 모양은 각양각색으로 종류가 많다). 상의는 앞이 짧고, 뒤가 길며, 목의 모양은 둥글고, 오른쪽 옷깃이 위로 가도록 된 옷을 입는다. 허리에는 허리띠를 두르는데, 양 앞섶에 그림이 있거나 꽃수를 놓은 색이 있는 긴 천을 이용한다. 바지는 비교적 짧고, 신발은 짚신을 신는다.
장 식으로는, 손에는 은팔찌를, 귀에는 금이나 은으로 만든 귀걸이를, 그리고 은목걸이를 하는데, 이들은 은을 매우 좋아한다. 지금도 大理에 가면 은으로 만든 여러 가지 장식품을 만들어서 자기들도 사용하고 팔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음 식
바이(白)족은 다른 소수민족에 비해 비교적 평지에 살고 있는데 평지에 사는 사람들의 주식은 쌀과 밀이며, 산지에서는 옥수수와 감자를 주식으로 한다. 음식의 특징은 쌀로 만든 것이 많다는 것이다. 따리(大理)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얼콰이(餌kuai), 얼씨(餌絲) 등이 모두 쌀로 만든 것이다. 한국의 가래떡 맛을 연상하면 좋을 것이다. 바이(白)족은 시고, 차갑고, 매운 것을 좋아하는데, 한국의 김치종류를 좋아한다. 이들도 모양이 긴 한국의 깍두기 같은 김치를 만들어서 먹고 팔기도 하는데 따리(大理)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리고 중국의 漢族이나 다른 민족들과 달리 차갑게 무쳐서 먹는 것을 즐긴다. 음식을 해먹는 면에서는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다.
가장 특징적인 음식은 샤궈위(砂鍋魚)이다. 돌로 만든 냄비에다 얼하이(Er海)에서 잡은 싱싱한 생선을 넣고 끓여 탕을 만드는 요리인데, 돌냄비를 이용한다고 해서 砂鍋魚라고 부른다.
주 택
바이(白)족의 가옥은 구조나 장식하는 모든 면에서 한국의 전통가옥과 많은 점에서 비슷하다. 대부분의 가옥은 목재를 사용한 건축물이며, 2층으로 되어있다. 중앙부분의 1층은 중앙에 손님을 접대하는 거실이고, 양쪽의 방은 침실이며, 2층은 대부분 작업실과 창고형태로 사용된다. 가옥은 평면으로 볼 때 ㄷ자형태로 되었다. ㄷ자의 양쪽부분은 주방과 창고, 짐승을 기르는 곳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건축형태의 변화를 보면 이전에는 큰 가옥이었으나 지금은 작은 가옥들이 중심이 되고 있는데, 이는 대가족제도에서 소가족제도로의 변화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흰색을 무척 좋아한다. 그래서 옷도 흰색을 즐겨 입고, 가옥이나 담장도 하얀색으로 칠한다.
|
하니(哈尼)족 |
인 구
- 윈난성(雲南省): 1,363,300명(1997년 통계)
- 거의 모든 인구가 윈난성에 집중해서 산다
분 포
윈난성(云南省)의 남부 일대인 홍허(紅河)자치주, 위시(玉溪), 시쐉반나(西雙版納)자치주, 쓰마오(思茅)등에 분포되어 살고 있다. 주로 집거하는 형태로 대부분이 산지(해발 800-2,000m)에 거주한다.
중국 이외의 국가 - 월남(10,000명)에서도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다가 1945년 이후에 중국과 마찬가지로 哈尼族으로 통일해서 부르고 있다. - 라오스(10,000명)에서는 각 지파별로 부르는 이름이 많은데, 다른 사람들로부터 불리는 이름은 아카(阿ka)이다. - 미얀마(60,000명)에서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불리는 이름이 까오(高)족, 이까오(依高)족이고 자신들이 부르는 이름이 아카(阿ka)이다. - 태국(35,000명)에서도 자신들이 스스로 부르는 이름은 '아카(阿ka)이고 다른 사람들이 부르는 이름은 카꺼(Ka戈), 이꺼(依戈), 꺼(戈) 등이다.
지계(支系) 각 지계(支系)마다 자기들 스스로가 부르는 이름이 달랐으나 1950년대 이후에 정부의 관리하에 가장 많은 수가 사용하는 "하니(哈尼)"로 통일했다. 1. 하니(哈尼) : 紅河州의 남쪽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2. 야니(雅尼) : 14%, 아이니(Ai尼)라고도 부르며,시쐉반나(西雙版納) 또는 란창(瀾滄)현 등에 분포되어 있다. 3. 카뚜어(Ka多) : 15.5%, 쓰마오(思茅)에 분포되어 있다. 4. 하오니(豪尼Ni) : 8%, 쓰마오(思茅)에 분포되어 있다. 5. 삐위에(碧約) : 6.8%, 쓰마오(思茅)에 분포되어 있다. 6. 빠이홍(白宏) : 5.5%, 쓰마오(思茅)에 분포되어 있다. 자신들이 부르는 이름에 따르자면 이 외에도 더 있는데, 그 수가 10,000명도 되지 않아 지계로 분류하기는 어렵다.
언 어
한어(漢語)와 하니(哈尼)어를 동시에 사용하는데, 하니어는 3가지 방언이 있고, 또 10여종의 토속어들이 있다. 한장어계(漢藏語系) 장면어족(藏緬語族) 이어(彛語支)에 속한다. 방언은 그 차이가 커서 서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시지역을 제외하고는 漢語를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방 언 하니(哈尼)족의 방언은 지계(支系)를 구분하는 분명한 기준이 된다. 1. 하야(哈雅) 제일 많은 수가 사용하는 방언으로 다시 하니(哈尼), 야니(雅尼) 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다. - 하니(哈尼)는 홍허하니(紅河哈尼)족 자치주의 뤼츈(綠春), 홍허(紅河), 위엔양(元陽), 진핑(金平) 등지에서 사용한다. - 야니(雅尼)는 시쐉반나(西雙版納)주의 꺼랑(格朗)과 쓰마오(思茅)의 란창(瀾滄)현 등지에서 사용한다. 2. 삐카(碧ka) - 쓰마오(思茅)의 모장(墨江), 푸얼(普Er), 장쳥(江城), 젼위엔(鎭沅), 징동(景東) 등지에서 사용한다. 3. 하오바이(豪白) - 모장(墨江), 위엔장(元江) 등지에서 사용한다.
문 자
본래는 없었으나, 현재는 1957년에 정부에서 라틴어 표기를 이용해서 만들어 준 문자가 있다. 기독교 선교사가 만들어 준 문자도 있으나 많이 보급되지 못해 자기들의 문자가 있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민족 역사
하니(哈尼)족은 오래된 역사를 지닌 민족으로 이(Yi)족, 라후(拉祜)족 등과 함께 자신들의 선조를 치앙(羌)족이라고 한다. 쓰촨(四川)성 일대에서 유목을 하던 이들은 당나라 초기에서부터 중원지역과 관계를 갖기 시작했으며, 7, 8세기에 이동을 시작하여 10세기 중엽에 현재의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하니(哈尼)족은 지금까지 다른 민족을 지배하기보다는 지배를 받으며 살아왔는데, 청나라시절에 이(Yi)족과 함께 反淸운동에 참여한 적이 있으나 실패로 끝났다.
의 복
남자들은 절기를 지낼 때를 제외하고는 전통복을 잘 입지 않는다. 여자들은 입는 양식이 비교적 복잡하고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며 전통복장을 잘 보존해온 편이다. 하니(哈尼)족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염색한 청색옷감으로 옷을 지어 입는데 남자는 주로 앞섶이 갈라진 상의에 긴 바지를 입고 검은색, 혹은 흰색의 두건을 두르며 부녀자들은 주로 옷깃이 없고 오른쪽에 섶이 있는 상의와 긴바지를 입으며 가슴에는 은으로 만든 장신구 달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복장으로 미혼과 기혼을 구분하도록 되어 있는데, 쉽게는 머리에서 구분 할 수 있다. 미혼일 경우는 머리를 길게 땋고, 기혼일 경우는 머리를 올린다. 또 바지의 길이로 구분하기도 하고, 허리에 두르는 띠의 색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음 식
주식은 쌀과 옥수수이고, 새해를 맞이할 때에는 찹쌀밥과 빠빠(ba ba-쌀로 만든 떡의 종류)를 먹는다. 홍허(紅河)강의 남쪽으로는 노란콩을 발효시켜 말린 또우구(豆鼓 -매우 특유한 맛을 지니고 있다)를 먹는데, 거의 매끼마다 먹는다. 운남의 다른 많은 소수민족들과 마찬가지로 이들도 시고 매운 음식을 즐겨먹는다. 대부분이 술(옥수수로 담은 白酒), 담배, 차를 기호식품으로 즐기는데, 시쐉반나(西雙版納)지역의 哈尼族은 삔랑(檳lang)을 즐겨 씹기도 한다.
음식에 관계된 문화중에 특이한 것은 홍허(紅河)강 일대에 사는 하니족들은 손님을 접대할 때 제일 고귀한 손님에게 존경의 표시로 닭의 머리를 대접한다. 손님에게 밥을 퍼줄 때에 일반적인 밥의 양보다 한 주걱 더 퍼서 주는데, 의미는 내년에는 더 많은 수확을 거두게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주 택
하니(哈尼)족이 거주하는 지역은 산지이며 물이 있고 숲이 있는 곳이다. 그래서 이들은 지역과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서 주로 흙과 나무를 엮어 집을 짓는다. 주로는 2층으로 지붕을 평면으로 하는 "투쟝팡(土掌房)"을 짓는다. 이들은 평면으로 만든 지붕을 곡식을 말리는 등 다용도로 사용한다. 때로는 1층으로 된 가옥도 있고, 지붕도 양면 경사지붕과 사면 경사지붕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시쐉반나(西雙版納)과 란창(瀾滄)현 지역에 있는 하니족은 더운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대나무와 나무로 용꽈(擁戈)라고도 불리는 干欄을 지어 거주한다. 지붕은 나무로 만들고 위에 짚 등으로 덮는다. 1층은 짐승을 기르거나 나무 등을 쌓아두는 창고용으로 쓰이며 2층에 침실과 주방 등이 있다.
|
다이족(Dai族) |
인 구 1,025,402명(1990년 통계)
분 포
윈난성의 서남부인 시쐉판나(西雙版納)따이(Dai)족자치주, 더홍(德宏)따이족-징포(景頗)족자치주, 껑마(耿馬)따이족-와(Wa)족자치현, 멍리엔(孟連)따이족-라후(拉祜)족-와(Wa)족자치현등 4개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기타 린창(臨滄), 란창(瀾滄), 신핑(新平), 위안쟝(元江), 위안양(元陽), 진핑(金平), 징동(景東), 징구(景谷), 진샤(金沙)강 주변의 화핑(華平), 뤼취엔(祿勸), 그리고 스촨(四川)성의 후이리(會理), 옌벤(鹽邊)등지에도 적은 수의 따이족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따이족은 적은 수만이 윈난성 내지(內地)에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변방지역(미얀마, 라오스, 월남과 국경을 두고 있음)에 걸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하천과 계곡 사이의 평지에, 그리고 평균해발 500m-1300m사이에 걸쳐 생활하고 있다.
언 어
따이족은 자기 고유한 언어를 가지고 있다. 언어는 한장어계(漢藏語系)장동어족(壯Dong語族)장태어(壯Tai語支)에 속하며, 쥬앙(壯)어, 뿌이(布依)어, 쉐이(水)아, 마오난(毛南)어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이어는 크게 두 개의 방언(일반적으로는 4종)으로 나눈다.
* 더홍(德宏)방언 : 더홍(德宏)따이족-징포(景頗)족자치주와 껑마(耿馬), 쐉쟝(雙江), 젼쟝(鎭江), 창위안(滄源), 징구(景谷), 징동(景東), 바오샨(保山), 창닝(昌寧)등지에서 사용되는 '망스화(芒市話)로써, 약 43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 시쐉빤나(西雙版納)방언 : 시쐉빤나 따이족자치주와 멍리엔(孟連), 진핑(金平), 란창(瀾滄), 푸얼(普Er), 위안쟝(元江), 모쟝(墨江), 쟝셩(江城)등지에서 사용되는 징홍화(景洪話)로써, 약 25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시쐉빤나방언과 더홍방언 사이의 교류는 많고 매우 가깝지만, 실제로 언어소통하는데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문 자
따이문자는 본래 고대 인도자모(印度字母)계통의 병음문자로써, 태국, 미얀마, 월남 문자와 동일한 계통에 속한다. 1954년 이전에는 4종의 문자를 사용했다.
* 따이나(Dai那)문(文) : 더홍(德宏)따이족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문자(사각형 자모형식).
* 따이러(DaiLe)문(文) : 시쐉빤나(西雙版納)와 멍리엔(孟連)지역에서 사용되는 문자(원형 자모형식).
* 따이뻥(Dai繃)문(文) : 더홍루이리(德宏瑞麗)현과 란창(瀾滄), 껑마(耿馬)지역에서 사용되는 문자(원형 자모형식).
* 진핑따이(金平Dai)문(文) : 진핑(金平)지역에서 사용되는 문자(사각과 원형형식).
이 중 더홍(德宏)의 따이나(Dai那)문과 시쐉빤나의 따이러(DaiLe)문이 역사적으로 가장 오래 사용되어 왔으며, 동시에 族에게 가장 영향을 깊게 주었다. 그러나 이 두 방언사이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 1953년에 따이나문을, 1954년에 따이러문 변형해 새로운 따이(Dai)문을 만들었다. 그러나 현재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원래의 따이(Dai)문을 좋아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민족 역사
따이족은 유구한 역사를 지닌 독특한 민족으로, 문헌에 의하면, 고대 남방의 '위에(越)'인이 선조이다. 이는 고대 장쟝(長江)일대(지금의 장쑤(江蘇), 후뻬이(湖北), 스촨(四川), 윈난(云南)성과 동남연해근처(지금의 저쟝(浙江), 푸지엔(福建), 광동(廣東), 광시(廣西)성의 광대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던 '바이위에(百越)'인과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바이위에(百越) 민족그룹은 많은 씨족집단으로 구성된 형태로서, 그 중에 당시 지금의 윈난과 미얀마 경계지역인 더홍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던 '띠엔위에(Dian越)'가 오늘날 따이족의 조상이 된 것이다. 따이족은은 당(唐),송(宋)시대에 사회의 빠른 발전을 가져왔고, 한동안 난쟈오궈(南詔國)와 따리궈(大理國)의 통치를 받게 된다. 그러나 10세기말 따이족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국가를 형성한다. 이른바 '징롱진디엔궈(景Long金殿國)이다. 이후 원(元)시대에 '쓰투(土司; 세습족장)제도가 사회에 출현하였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기 전까지 약 38代를 이어오면서 오늘에 이르게 된다. 따이족은 진,한시대에는 '띠엔위에(Dian越)", 당, 송시대에는 '진츠(金齒)', '헤이츠(黑齒), 원, 명시대에는 '바이이(百夷), 청시대에는 '바이이(擺夷)'로 불리우다가 1950년 이후 지금의 따이족으로 통일되어 부른다.
의 복
따이의 복장과 장식은 독특한 민족의 예술적상징을 나타내고 있다.
남자의 복장은 일반적으로 단추로 채우게 되어 있는 오른쪽 앞섶에, 하의는 좁게 단을 접은 길고 넓은 통의 바지를 입는다. 의복은 대체적으로 백색이나 청색면으로 만들며, 청색으로 만든 허리띠를, 백색이나 청색으로 만든 머리수건을 두른다. 여자의 경우 지역마다 다르나 일반적으로 결혼전에는 큰 옷섶의 짧은 샤쓰에 긴 바지를, 그리고 허리에 끈을 두른다. 그러나 결혼이후에는 짧은 샤쓰의 옷섶에 바지를 입지 않으며, 대신 청색면으로 만든 통치마를 입는다.
장 식
남자는 일반적으로 착용하지 않으며, 단지 흙이나 나무로 만든 인형이나 은으로 만든 팔찌를 끼고 다닌다.
반면 여자의 경우는 다르다. 여자는 장식을 좋아하는데, 금이나 은, 동으로 만든 팔찌나 귀걸이, 목걸이 등을 달고 다닌다. 그리고 허리에는 금, 은으로 만든 허리띠를, 머리에는 금, 꽃, 비취색진주 등을 늘어뜨리고 다닌다.
음 식
따이족은 옛날부터 쌀을 주식으로 해 왔으며, 일일 3식의 쌀밥을 먹는다. 더홍(德宏)지역의 따이족은 멥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고, 시쐉빤나(西雙版納), 멍리엔(孟連), 위안쟝(元江), 신핑(新平)지역의 따이족은 찹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다.
특히 찹쌀을 이용해서 만든 음식만 40여종에 이르고 있다. 예를들면 '샹쥬판(香竹飯)', '황미판(黃米飯)', '미깐(米干)'등이다. 부식은 주로 돼지, 소, 닭, 오리고기 등이며, 독특하고특색있게 먹는 방법으로 고기를 신맛이 나게 하거나 날고기를 잘게 썰어서 먹는다.
따이족이 특히 좋아하는 것은 술과 담배, 차(茶)등이다. 술은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만들며, 특히 쌀로 만든 술을 좋아하는데, 맛은 달며, 술 온도가 높지 않다. 그러나 술 온도가 60。이상되는 것도 있다(시쐉빤나지역에서 찹쌀로 만든 술).
따이족의 음식 중 가장 특이한 것은 곤충을 먹는 풍습이다. 이것은 일종의 특색있는 식품으로써, 가장 귀한 손님에게 대접하는 음식이다. 예를들면 구더기 일종의 종빠오취(棕包Qu),샤취(沙Qu), 쥬취(竹Qu)등이 있다.
주 거
따이족의 주택 구조는 각지역마다 다르나, '깐란(干欄)'식과 '무로우(木樓)'가 가장 많으며 흙으로 만든 집도 있다. 주로 물이 있는 근처에 거주하는 관습이 있으며, 촌락을 구성할 때 크게는 200-300가구, 적을때는 10가구이상 모여서 촌락을 구성한다. 이들의 방은 모두가 하나로 되어있고, 사방에 토지가 있으며 각 집마다 뜰을 가지고 있다.
따이족의 전통적인 주택은 깐란(干欄)식방법의 '쥬로우(竹樓)'이다. 시쐉빤나(西雙版納), 더홍(德宏), 멍리엔(孟連)등지에서 유행하며, 특히 시쐉빤나의 '쥬로우(竹樓)'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따이족 '쥬로우'의 상징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쥬로우(竹樓)'는 상, 하 2층으로 되어 있는데, 상층에는 주로 사람이 거주하고, 하층에는 가축이나 농기구, 직물기 등을 놓는다. 그리고 집을 새로 건축할 때는 반드시 좋은 날짜를 선택해서 집을 짓는 풍습이 있다.
혼 례
결혼제도는 1부 1처제이고, 남녀간의 교제는 매우 자유스러운 편이다. 일반적으로 13살부터 마을 사회활동에 참석하며, 17살 이후부터 정식으로 결혼을 위한 교제를 한다.
연애이후 정식으로 결혼을 하려면 반드시 사전에 예물을 보내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지역마다 다르나 시쐉빤나(西雙版納)의 경우, 먼저 결혼의사를 양쪽 부모에게 알리고난 후 남자의 부모가 결혼에 동의하면 친지중 한 사람을 여자집에 보내 정식으로 청혼을 한다.
이때 남자쪽에서는 노래로 청혼을 알리고 동의를 기다리며, 여자쪽에서도 역시 노래로 대답한다. 동의가 이루어지면 이어 남녀 서로간의 궁합을 맞춰본다. 만약 궁합이 맞으면 계속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맞지 않으면 도중에 중단된다.
최종적으로 여자쪽의 동의가 이루어지면 남자쪽에서는 미리 준비한 예물을 여자 부모에게 주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사탕이나 파초, 담배, 술등을 준다. 특히 사탕을 주는 의미는 사탕을 먹고 기분이 좋으라는 뜻을 내포한 것이다.
따이족의 결혼의식은 민족적 특색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열기 또한 대단하다. 결혼식이 있기전 신랑과 신부는 먼저 사원에 가서 불상에게 절을 한다. 그리고 난 후 집으로 돌아와 결혼의식을 행한다. 결혼식은 먼저 신부집에서 거행된다.
신랑이 신부집앞에 도착할때가 되면 신부측에서는 미리 통로를 막고 문을 닫는다. 이때 신랑측에서는 돈을 주며 그때야 비로서 여기저기에서 폭죽이 터지며 문이 열린다. 신랑이 집안으로 들어 갔을때 신부측에서는 다시한번 길을 막는다. 이때 신랑측에서는 또한번 돈을 주면서 길을 비켜줄 것을 요구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비로서 신랑은 신방에 들어가게 된다.
장 례
일반적으로 3종류(土葬, 火葬, 水葬)의 장례방식이 있다. 이 가운데 화장과 토장은 일반 평민들이 행하고, 수장은 특별하게 죽은자가 행한다. 현재는 일부 화장을 하는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토장을 행한다.
장례절차를 보면, 사람이 죽으면 바로 염을 하여 입관을 한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으나, 시쐉빤나(西雙版納)의 경우, 먼저 시체를 씻고 옷을 갈아 입힌다.
이때 상의는 거꾸로 입히고 백색 무명의 천으로 시체를 감아 관안에 집어 넣는다. 이후 관을 자녀나 친지가 집의 중심 기둥앞에 놓는데 이때 시체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놓는다. 이유는 만약 시체가 움직이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는 관습 때문이다.
토장의 경우를 보면, 일반적으로 봉이 있는 묘지형식이 아니라 평면이다. 그리고 관 그대로 땅에 묻는 것이 아니라 시체만 꺼내 땅에 묻는다. 그리고 난 후 묘지 주변에 사방으로 대나무를 이용하여 원을 그리며 꼽는다. 이때 시체의 머리와 발은 집들이 있는 촌락을 향하면 안되며, 반드시 촌락과 묘지 사이를 수직선상으로 볼 때 가로로 눕혀야 한다.
불 교
따이족은 대부분이 불교(소승불교)를 믿고 있으며 동시에 원시종교신앙형태도 가지고 있다. 불교는 원시종교보다 광범위하게 퍼져있으며 일종의 전민족의 신앙으로 따이족만이 갖는 민족특색의 종교이다. 따이족은 일생동안 불교와 분리되어 살 수 없다. 출생시부터 불교신도가 될 뿐만아니라, 이름 역시 불교로부터 받는다. 특히 어려서부터 부모에게 불교에 관한 이야기를 들으며 자라나며 일정기간 집을 떠나 수행을 한다.
예를들면 시쐉빤나(西雙版納), 껑마(耿馬), 멍리엔(孟連)의 경우 남자는 어려서부터 집을 떠나 일정기간(수개월 혹은 10년)동안 승려생활을 한다. 만약 이러한 과정을 거치지않고 사회에 진출하면 경시와 천대를 받는 풍습이 있다. 이처럼 불교는 이들의 삶 전체에 있어서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렇듯 불교는 따이족의 민족종교이며 삶이다.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마치 불교사원안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착각하게 할 정도이다. 이밖에 귀신을 섬기는 일종의 원시신앙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농업생산과 생활에 연관된 것이다. 자연만물에는 모두 영혼이 있고 그래서 각양각색의 신과 귀신이 있다는 것이다(太陽神, 山神, 水神, 家神등). 이들이 사람에게 행복도 주고 재난도 주기 때문에 이들에게 제사를 드려야 한다는 것이다.
기독교
기독교는 19세기 초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선교사들에 의해 들어왔다. 신핑(新平)이족-따이족자치현과 위안쟝(元江)하니(哈尼)족-이족-따이족자지현에 기독교인이 분포하고 있다고 한다.
1922년 마태복음이 번역되었고, 1993년 중국 정부에 의해 신약성경 전체가 공식적으로 출판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금 기
따이족의 금기는 다른 소수민족보다 많은 편이며 동시에 규정 역시 염격하다. 만약 손님으로 집 안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신발을 문밖에 벗고 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집 안에 들어가 앉을때에도 문난간에 앉아서는 안되며, 특히 방 가운데에 있는 화로 주위를 마음대로 앉아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화로 주위는 본래 집 주인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만약 집 안에서 자기의 물건을 잃어 버렸을 때에도 말을 해서도 안된다. 왜냐하면 이는 주인을 향한 모욕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그 집에서 혹 잠을 잘 경우 안채의 한 가운데 방에서만 잘 수 있으며 머리부분은 주인의 방쪽을 향하여 잘 수 없다. 그리고 집 주인 허락없이 안방을 보거나 들어갈 수 없다.
포쉐이지에(潑水節)(따이력6월 6일-7월 6일 : 양력 4월)
포쉐이지에(潑水節)는 따이족의 절기 중 가장 민족적 특색을 지닌 3대 절기중 하나이다.
전설에 의하면 옛날 아주 흉악한 마왕이 있었는데, 그는 강력한 마법을 지니고 있어서 몸이 불 속에서도 타지 않고, 칼로 찔러도 들어가지 않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하늘의 16충 가운데 1층을 다스리고 있는 제왕으로써, 사람들로부터 약탈을 일삼았고 아름다운 처녀들을 빼앗아 자기의 아내로 삼았는데, 그에게는 이미 6명의 아내가 있었다. 그러나 그는 만족하지 않았고 결국 또다시 7번째 처녀를 빼앗아 온다. 그런데 7번째 처녀는 다른 처녀들보다 더 아름다웠기 때문에 마왕이 특별히 좋아한다.
어느해 6월 마왕이 궁중에서 잔치를 베풀었는데 이때 마왕은 술에 만취가 되어 자기의 약점을 사랑하는 7번째 처녀에게 알려준다. 즉 자기의 머리카락을 목에 감으면 죽는다는 것이다. 이 비밀을 들은 그녀는 마왕이 완전히 술에 만취되어 누워있는 틈을 타 그의 머리카락을 목에 감았고, 마왕의 머리는 곧 땅에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마왕의 머리로부터 흘러 나오는 피가 갑자기 불로 변하여 타기 시작한다.
그녀가 머리를 들자 불꽃이 꺼졌고 내려놓자 불꽃이 다시 일어났다. 이 광경을 본 다른 6명의 처녀들이 달려와 함께 마왕의 머리를 들었고 그러자 불꽃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후 7번째 처녀가 집으로 돌아 왔는데 그의 몸이 피로 더렵혀진 모습을 마을 사람들이 보고 그를 향해 물을 뿌리면서 몸을 깨끗하게 해 주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사람들은 7번째 처녀를 기념하여 매년 새해를 맞이 할 때마다 서로가 물을 뿌려 주는데 이는 행복한 한해가 되기를 바라는 의미인 것이다.
포쉐이지에(潑水節) 첫날 새벽, 남녀 모두 목욕을 하고 옷을 갈아 입는데 청년들은 화려한 옷차림과 화장을 하며 특히 여자들은 가장 아름다운 치마와 좋아하는 장식과 생화로 몸을 치장한다. 그리고 아침 일찍 불교사원에 가 불상에게 절을 하는데 이때 미리 준비한 제물을 드리기전 물을 뿌리는 의식을 행한다. 이는 집안의 축복을 위한 의미이다.
그리고 난 후 젊은이들은 먼저 노인들을 위해 물을 뿌리며 축복을 빌며, 자유롭게 서로를 위해 물을 뿌리며 축복을 빈다. 물을 뿌릴때 한편으로 노래를 부르면서 "水-水-水"라는 소리를 내면서 물을 뿌린다.
꽌먼지에(關門節)(따이력 9월15 : 양력 7월 중순)
꽌먼지에(關門節)는 양력 7월부터 시작해 10월의 카이먼지에(開門節)에 이르는 이른바 3개월동안 지키는 불교절기이다.
꽌먼지에(關門節)가 시작하는 첫날에 사람들은 불교사원에서 이루어지는 행사에 참석하여 절하는 의식을 갖는다. 이때 미리 준비한 음식과 생화 그리고 돈등을 불상에게 봉헌하고 그 앞에서 경을 읽고 물을 뿌린다. 그리고 난 후 앉아서 불교에 대한 강의를 듣는데, 이는 행복한 삶을 기원하는 의미이다.
말씀의 내용은 대부분 불교사상에 관한 것이지만 이밖에 따이족의 신화, 천문학, 의학, 역사, 문화등 다방면에서 강의를 듣는다.
꽌먼지에(關門節) 기간 중 7일마다 한번씩 오래된 신도들은 사원안에서 경을 통독하며, 불상을 향해 물을 뿌리는데 이는 경건하고 정성스러움을 표현하는 것이다.
특히 꽌먼지에(關門節) 기간 중에는 불교활동 이외에 일체 다른활동을 할 수 없다. 예를들면 남녀가 연애는 할 수 있지만 결혼은 할 수가 없고, 그리고 다른 곳으로 외출 할 수도 없다. 이유는 불상에 대한 경건을 표현하는 동시에 죽은 후 자기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 갈 수 있다는 믿음의 표현이다.
카이먼에(開門節)(꽌먼지에(關門節)가 끝나는 10월중순)
카이먼지에(開門節)은 일명 '츄와(出窪)라고 부르는데, 3개월 동안의 불교활동을 마치면서 지키는 절기로서 모든 사람들이 모여 성대한 축제를 연다. 북치는 경연대회가 열리고 밤에는 폭죽등 여러 가지 행사가 진행된다.
특히 사람들은 사원에 가서 불상에게 기도하고 일년동안 지은 죄악에 대해서 참회를 한다. 이때 그동안 금지되었던 다른 모든 활동도 재개가 된다.
교 통
* 시쐉빤나(西雙版納) 따이족지역 - 항공편: 쿤밍(昆明) - 징홍(景洪), 40분 소요 - 버스편: 쿤밍(昆明) - 징홍(景洪), 20시간 소요
* 더홍(德宏)따이족지역 - 항공편: 쿤밍(昆明) - 망스(芒市), 40분 소요 - 버스편: 쿤밍(昆明) - 망스(芒市), 24시간 소요
* 진핑(金平)따이족지역 - 버스편: 쿤밍(昆明) - 진핑(金平), 15시간 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