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신분계층의 분류 개관사회신분계층에 대한 분류에 여러 가지 논란이 대두되는 것은 비단 조선시대만의 특이한 현상이 아니라 어느 시대에나 존재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의 사회신분계층은 양반 · 중인 · 양인(평민 · 상민) · 천인으로 나누어 설명한다.[註] 신량역천(身良役賤)이라는 양인과 천인의 중간신분층은 조선초기의 양인확대정책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었을 뿐 독립된 신분은 아니었기 때문에 당시의 중간신분층은 역시 양인에 속하는 신분층으로 보아야 한다.[註] 앞의 일반적 분류에 따른 4계층간의 신분상 특징과 상하관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반계층이란 지배계급(Ruling Class)으로서 조선시대 신분계층 구조상 최상위를 형성하였던 현직관료 · 전직관료 그리고 선대(先代)의 관료경력이 4대를 넘지 않는 그 자손들을 총칭하여 일컬었다. 양반은 원래 관료직의 문관과 무관을 함께 부르는 계층이었으나 대체로 성종대 이후부터는 사림(士林), 즉 유가적(儒家的) 엘리트를 지칭하게 되었다. 양반이라도 4대를 넘어서까지 관직에 이르지 못하게 되면 양반의 지위를 상실하여 상민으로 전락하고 만다.[註] 그렇기 때문에 양반의 자격에는 혈통만이 아니라 4대 내에 관직에 등용된다는 실적주의적(實績主義的) 관점(Merit System)도 있었던 것이다. 둘째, 양반과 상민 사이에는 중인이 있다. 중인에는 기술관을 비롯하여 서얼, 중앙과 지방의 서리(중앙 : 녹사(錄事) · 서리, 지방 : 호장 · 육방향리층), 군교 · 토관 등이 이에 속한다. 이들은 잡과를 통해서 통역 · 법률 · 의료 · 천문 등의 실무에 종사하였다. 이러한 직책은 그 후손들에게 세습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중간계층으로서 중인 외에 지방관아의 행정업무에 종사하는 이서신분(吏胥身分)으로서 향리[외위전 (外衛前)]가 있다. 세습적인 향리는 임기제인 수령을 괴롭히는 경향이 많았으며 이들의 부정부패로 인해서 조선사회가 혼탁해지기도 했다.[註] 세째, 양인은 피지배계급(Ruled Class)으로써 평민 또는 상민계층을 일컫는다. 농민이 주축이 되었으며 이들은 과거라는 법제적 보장을 통해서 신분상의 격상이 가능하였다. 사회가 혼란했던 조선후기에는 과거를 통하지 않고도 신분상의 격상을 바라는 농민들의 숫자가 증가하기도 했다. 농민보다 지위가 좀 낮은 평민계층으로서 상인에 속하는 보부상(褓負商)은 조선후기 상업의 발달과 함께 신분상의 격상을 한 계층이다.[註] 이들은 한말에는 보부상조직을 통해서 정치적 사건에 관여한 일도 있다.[註] 끝으로 천민계층으로는 공사노비(公私奴婢) · 승려 · 기생 · 무당 · 진척(津尺) · 재인(才人) · 백정(白丁) [註] 등을 들 수 있다. 이 천민집단은 조선시대의 정치체제 내에서 어떠한 형태로도 정치참여가 허용되지 않았던 최하위의 신분계층이었다. |
'상식과교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남자에게 채일 여자? 끌릴 여자? (0) | 2011.10.26 |
---|---|
당신의 이름에 숨겨진 비밀!! (0) | 2011.10.26 |
동물 이름 짖기 - (0) | 2011.10.26 |
감기에 좋은 각종 음식 소개 (0) | 2011.10.26 |
우리 애기(강아지)는 몇 살일까요? (0) | 201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