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신서의 명칭과 분류
1. 서신서의 명칭
‘서신서’(the Epistles) 는 초대 교회의 지도자들이 로미 제국 전역에 흩어져 있던 여러 지역의 초대 교회 공동체 또는 특정한 일개인에게 신앙의 도움을 주기 위해 써 보낸 편지 들 중에서 초대 교회 성도들 뿐아니라 오고오는 세대의 모든 성도들의 신앙의 근거가 되게 하시고자 특별하게 영감(靈感)하신 편지들로서 훗날에 신약의 정경(正經)으로써 채택된 로마서에서 유다서까지의 21권의 책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27권의 성경이 기록된 시기는 A.D.50년 -100년 여간이나 이것들이 공교회(公敎會) 의 공식적정경으로 인정된 것은 대략 300년이 지난 A.D.397년의 칼카타 공회(Councile of Cartageo)에서였다. 또한 이 27권의 책이 ‘서신서’로 불리우게 된 것은 알렉산드리아의 교부 제롬(Jerome , A.D.346-420년 ) 에 의해서였다. 즉 제롬은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는데 바로 이것이 ‘벌게이트 역’(Vulgate)이다. 이 ‘빌게이트 역’ 성경에서 제롬은 로마서에서유다서까지를 한 부류로 묶어 이름을 붙였는데 그것이 바로 ‘서신서’였다. 그리하여 A.D.150년경의 순교자 져스틴(Justin Martyr) 이 4 복음서를 가리켜 명명한 ‘복음서’(the Gospels) 란 명칭과 마찬가지로 ‘서신서’란 명칭은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의 모든 교회에서 통용되는 명칭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서신서는 성도들이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교회의 일원이며 여호와의 자녀로서 마땅히 가져야 할 삶의 원리와 지침들을 제공해 주는 책일 뿐 아니라 기독교의 근간이 되는 교리인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구원론 , 교회론, 종말론 전반을 다른 어떤 성경의 어떤 부분들보다도 직접적으로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상이 크다. 한편 복음서와 사도행전이 주로 예수의 공생애와 복음의 확장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증거한 것이라면 서신서는 그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성도의 삶과 연결하여 구체적으로 적용시킨 책이라고 볼 수 있다.
2.서신서의 분류
가. 저자별 분류
서신서를 분류하는 일반적이고도 전통적인 방법은 저자별(著者別)로 분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신서는 바울의 저작 로마서에서 빌레몬서까지의 13권과 익명(匿名)의 저작인 히브리서 1권, 야고보의 저자 야고보서의 1권, 베드로의 저작 베드로 전서와 후서 2편, 그리고 사도 요한의 저작 요한일서, 이서, 삼서, 3권과 유다의 저작 유다서 1권으로 분류된다.
한편 바울이 저술한 서신들은 바울 서신서라 부르며, 그리고 그 이외의 저자들이 저술한 서신들은 통칭하여 공동 서신서라 부른다. 그러므로 서신서는 그 저자를 기준으로 하면 일단 크게 둘로 분류할 수 있다. 그것은 곧 로마서에서 빌레몬서까지 13권의 '바울 서신'과 바울 외의 사도들이 기록한 히브리서에서 유다까지 8권의 '공동 서신'이다. 이제 이와 같은 분류를 한 눈에 알아 볼수 있께끔 간략히 도표화 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바울 서신은 수신자 또는 수신 지역의 이름을 따서 그 책의 제목이 니어진 반면, 공동 서신은 수신자를 반영한 이름인 히브리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 책의 저자의 이름을 따라 그 제목이 붙여진 것을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책 이 름 | 저자 이름 | 기록 연대 | |
바울 서신 |
로 마 서 | 바 울 | A.D.57년 |
고린도전서 | 〃 | A.D.55년55년 | |
고린도후서 | 〃 | A.D.56년 | |
갈라디아서 | 〃 | A.D.61-62년 | |
에 베 소 서 | 〃 | A.D.62-63년 | |
빌 립 보 서 | 〃 | A.D.62-63년 | |
골 로 새 서 | 〃 | A.D.62-63년 | |
데살로니가전서 | 〃 | A.D.51년 | |
데살로니가후서 | 〃 | A.D.51년 | |
디 모 데 전 서 | 〃 | A.D.63-65년 | |
디 모 데 후 서 | 〃 | A.D.66-67년 | |
디 도 서 | 〃 | A.D.66년 | |
빌 레 몬 서 | 〃 | A.D.62년 | |
공동 서신 |
히 브 리 서 | 미 상 | A.D.60년대 후반 |
야 고 보 서 | 야 고 보 | A.D.46-49년 | |
베 드 로 전 서 | 베 드 로 | A.D.64년 전후 | |
베드로후서 | 베 드 로 | A.D.64년 전후 | |
요 한 일 서 | 요 한 | A.D.90년 | |
요 한 이 서 | 요 한 | A.D.90년 | |
요 한 삼 서 | 요 한 | A.D.90년 | |
유 다 서 | 유 다 | A.D.70-80년 |
나. 특징별 분류
서신서를 분류하는 또 다른 기준은 각 서신이 지니는 내용이 용도 및 기록 배경상의 특징이 있다. 그런데 이런 특징별 분류는 전통적이기는 하나 서신서 전체를 일관되게 한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공통된 특징을 함께 가진 몇몇 서신을 함께 묶어 통칭하는 성격의 분류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에 서신서를 각 특징에 따라 구분하는 대표적 실레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교리 서신(敎理書信)
다른 서신들도 교리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특별하게 기독교의 구원론, 기독론, 교회론 등의 주요 교리들을 집중으로 다루면서 그 교리들의 실생활에서의 적용 문제까지 다루고 있는 서신들을 가리킨다. 로마서,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갈라디아서, 이 4권이 이에 포함된다. 한편 데살로니가전서와 후서는 기독교의 종말론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교리 서신적 성격을 지니고 있으나 동시에 예수님의 재림과 관련된 사항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따로 '재림 서신' 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옥중 서신(獄中 書信)
바울이 기록한 서신서 중에서 특별하게 바울이 로마 감옥에 갇혀 생활함으로써 기록한 서신서를 말한다.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이 4권이 해당된다.
3) 교회 서신(敎會 書信)
바울이 로마, 고린도, 갈라디아, 에베소, 빌립보, 골로새 , 데살로니가 이 7개 교회에 보낸 서신을 가리킨다. (로마서에서 데살로니가후서까지). 이 서신들은 이미 계시된 구속의 원리를 자세히 풀어 설파(說破)하는 가운 데 각 교회 성도들을 때로는 기독교의 기본 교리로 교훈하며, 또 때로는 임박한 예수님의 재림에 대비하여 성도들의 안이한 또는 잘못된 신앙생활을 시정 하도록 책망하며 바르게 이끌기 위해 교육하는 서신서들이다. (딤후 3:16).
4) 목회 서신(牧會 書信)
바울 당시 에베소 교회와 그레데 교회의 목회를 담당하고 있던 디모데와 디도에게 보낸 3편의 서신서를 가리킨다. (딤전,후, 딛). 이 서신들은 분명하게 일 개인에게 보낸 것이기는 하다. 그러나 그 내용은 교회 전체와 괸련된 문제 곧 교회 직분자의 자격 및 거짓 교사에 대한 경계, 공중(公衆) 예배와 교회의 질서 유지 등과 같은 귀중한 목회 지침 등을 담고 있다. 그러므로 이는 디모데나 디도는 물론 모든 신약 교회의 모든 시대의 목회자와 더 나아가 모든 성도들이 읽어야 할 서신서이다.
5) 회람 서신(回覽 書信)
처음부터 여러 사람들이 돌아가며 읽을 것을 염두에 두고 쓴 서신서를 말한다. 골로새서와 갈라디아서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특별하게 골로새서에는 편지를 받은 자가 이 편지를 라오디게아 교회에도 전하여 그들이 함께 볼 수 있게 하라는 지시가 명기(銘記) 되어 있다.(골 4:16). 그리고 갈라디아서는 초대 교회 전체에서 가장 큰 논란이 되었던 문제 곧 율법과 복음과의 관계에 대하여 다루고 있으니 여러 사람들이 돌려 가며 읽었으리라는 것은 전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 밖에도 비록 서로 돌려가며 일을 것을 지시한 특별한 언급은 나와 있지 않으나 로마서와 에베소서 역시 회람 서신으로 간주하고 있다. 왜냐하면 여호와의 은혜로 말미암은 성도의 구원을 성찰(省察)한 다음 예수님의 지체(肢體)된 성도가 마땅히 행해야 할 덕목들을 역설하고 있는 이 서신서들은 많은 성도들이 널리 돌려 볼 필요가 있었음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6) 추천 서신(推薦 書信)
로마인들이 '에피스틀라 콤멘다티아(epistula commendaticia), 즉 '천거(薦擧)의 편지'라고 일컸던 것이다. 이는 편지를 전하는 사람을 소개하거나 그 신분을 보증하기 위해 작성한 서신을 가리킨다. 서신서 중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빌레몬서와 요한 삼서가 있다. 이 중 빌레몬서는 주인 빌레몬의 재산을 훔쳐 달아났다가 바울을 만나 회심(回心)한 오네시모를 위하여 바울 이 빌레몬에게 보낸 편지로 오네시모를 용서해 줄 것을 요청하는 글이다. 그리고 요한 삼서는 요한이 가이오에게 보낸 편지로서 가이오의 선하고 신실한 행위를 칭찬하는 가운데 그 서신을 전하는 데메드리오를 천거하는 글이다.
7) 답변 서신(答辯 書信)
이것은 어떤 문제에 대하여 대화 형식을 빌어 스스로 질의응답(質疑應答) 하거나 수신자로부터 받은 물음의 편지에 대하여 담하는 내용을 적어 보낸 서신을 가리킨다. 고린도전서와 후서와 빌립보서가 이에 해당하는데 전자, 즉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 보낸 두 편지는 교회 내에서의 파당(派黨) 문제, 죽은 자의 부활 문제, 구제 헌금 등에 관하여 질의 응담한 답신서이다. 그리고 빌리보서는 빌립보 교인들이 옥중에 있던 바울을 위하여 보내준 헌금에 대하여 감사하며, 자신의 근황을 알린 글이라는 측면에서 답신서이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호수아서(Joshua, Jehoshua書) (0) | 2023.08.22 |
---|---|
복이란 (0) | 2023.08.21 |
역대상 장별 요점정리 (0) | 2023.08.18 |
에스더서 (0) | 2023.08.17 |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 100가지!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