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에스겔(Ezekiel) 요약

열려라 에바다 2023. 12. 9. 17:40

에스겔(Ezekiel) 요약             

에스겔:Ezekiel(인명)
(Ezekiel),  뜻 = 「하나님께서 강하게 하심」
제사장 부시의 아들이다(겔 1:3). 유다 왕 여호야긴(BC 593년, 3개월 10일 치세)과 더불어 바벨론에 사로잡혀 가기까지 제사장으로서 예루살렘 부근에서 살았다. 여호야긴이 사로잡혀간 후 5년부터 선지자로서활동하기 시작했다(겔 1:2).



그는 바벨론(갈대아)의 그발 강가에서 델아빕에 있던 유대인 포로들과 같이 살았다(겔 1:1,3,3:15). 결혼하고(겔 24:18) 자기 집을 가지고있었다(겔 8:1). 그가 예언 활동을 시작한 여호야긴 왕 5년(BC594년)을 '제30년'(겔1:1)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30년'은 레위인이 장막에서 봉사하기 시작하는 연령이 30세였기 때문에(민 4:3) 에스겔의 연령이라는 설과, 느부갓네살(BC 605-562년)의 아버지 나보볼라살(BC 625-605년)이 즉위한 때부터 기산(起算)한 연수라는 설이 있다.


그의 예언 활동은 예루살렘 멸망(BC 587 586년) 7년 전에 시작했다. 그는 포로의 땅 바벨론에 있으면서 자유로이 예언을 하였고, 포로민들은 그의 말을 듣기 위해 그에게 모였다(겔 8:1,14:1,20:1). 그러나 그들은 그의 말을 충실하게 듣지는 않았다(겔 33:30-33). 그의 사상 표현이나 용어는 선지자 예레미야와 비슷하므로 예레미야의 가르침을 이미 숙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예루살렘에 있었을 때 성전에서 예레미야의 설교를 잘 들었을 것이다.


에스겔 선지자 활동 당시의 날개달린 동물상아 조각품그 후 바벨론에 가서도 기록된 예레미야의 예언집을 읽었는지도 모른다(렘 29:1,36:32,단 9:2). 예를 들면, 끓는가마의 비유(렘 1:13-15,겔 11:2-11,24:3-14), 패역한 자매(렘 3:6-11,겔 23:1-49), 회개했을 때의 죄사함(국민으로서:렘 18:5 12, 개인으로서:겔 18:21 32), 다윗 왕조의 왕이 악한 목자로서 대신됨(렘 23:1-6,겔 34:124), "아비가 신 포도를 먹었으므로 아들들의 이가 시다"라는 격언에 의한 개인적 책임의 사상(렘 31:29,30,겔 18:2-31), 새로운 영적인 것(렘 31:33,34,겔 11:19,20,36:2529), 예루살렘에 잔류한 유대인이 아니고 포로 유대인이 장래의 소망인 것(렘 24:1-10,겔11:15-21,37:1-14) 등이다.


포로 후 제 27년이 그의 예언이 최후인 것처럼 기록되어있으며(겔 29:17), 최초가 포로후 제 5년이기 때문에(겔 1:2) 그의 예언 활동은 적어도 22년이었다.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다. 후대의 전설에 의하면, 그가 우상숭배를 비난했기 때문에 유다의 한 왕족에게 피살되었다고 한다.
----------------------
에스겔서(~書):The Book of Ezekiel
[영어] The Book of Ezekiel
구약성경의 1서. 선지서 중 이사야서, 예레미야서와 함께 3대 예언서의 하나로 되고 있다.



1. 본서의 명칭-
본서의 표제는 맛소라원 전에서는 [에헤즈켈- (yechezqel)]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본서의 저자인 선지자의 이름을 그대로 서명(書名)으로 쓴 것이다. 이 이름은 [하나님은 강하게 하신다]는 뜻으로서, 즉 동사 [하-자크 (chazaq)] (강해진다)의 미완료형에 [엘- ('el)](하나님)이 부과된 것이다.




2. 본서의 정전에 있어서의 위치-
본서는 히브리어 원전에서는 [후 예언자]에 속하는 글로서,그 세번째에 놓여져, [이사야]와 [예레미야]의 다음이 되고 있다. 한글역에서는 다른 근대역과 한 가지로 70인역의 순서에 따라, 본서 앞에 [예레미야 애가], 본서 다음에 [다니엘]이 배열되어 있다.




3. 통일성-
본서는 이전 통일성에 관하여 구약성서 중 가장 문제가 적은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최근에는 가장 문제가 많은 글(책)의 하나로 되어 있다. 본서 전체를 마카비시대의 위서(僞書), 둘 이상의 자료의 복합, 눈뭉치와 같이 가필확대된 것 등으로 보는 제설이 생겨나고있다. 그러나 본서중에 많은 중복이나 모순의 원인으로 된 후대의 편집의 자취는 인정되지않으며, 내용의 대부분이 에스겔 자신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보는 학자가 많고, 사실상 에스겔 자신에 의해 된 것으로 보아 틀림이 없으리라.




4. 본서 성립장소 및 연대-
에스겔의 활동장소와 관련하여, 바빌로니아설, 팔레스티나설 등이있는데, 에스겔이 전 597년에제1차로포로되어 바벨론으로 옮겨가서, 583년 소명(召命)을 받고, 그 직후 팔레스티나에 귀환, 587년경 다시 바빌로니아로 가기까지 그곳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585년에서 571년까지 바빌로니아에서 예원했다. 그 예언들은 바빌로니아에서 편집된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주로 심판의 예언은 팔레스티나에서, 회복의 예언은 바빌로니아에서 한 것으로 생각된다.




5. 본서의 목적-
본서는 이스라엘의 온 집을 포함하여(겔 37:11,15-24), 바벨론에 있는 포로된 백성을 위로하는데 있다. 에스겔은 여호와께서 그 백성을 포로의 백성으로 한 일의 정당성을 증시(證示)하고 있다(겔 8-13장).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과 한가지로 가증한 죄를 범한 여러 외국민을 벌하시는데, 하나님의 언약의 백성인 이스라엘에 대해서는 교정(矯正)하기 위해 징계를 주신다. 여호와 하나님이야 말로 그들의 하나님이심을 알게하기 위해서 이다.


이제 이스라엘의 멸망을 기뻐하고 있는 근린 여러 나라는 반드시 심판을 받고(에스겔서 25:1,32:32), 이스라엘은 다윗 왕가의 자손에 의해 부흥된다. [너희로 나를 여호와인 줄 알게 하려함이니라]는 귀절이 6장7절에서 39장 28절에 약 30회거듭되고있는것은본서의 목적의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6. 본서의 구조와 내용-
내용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제1부 소명체험(召命體驗 1-3장)
제2부 에스겔을 통하여 주어진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책망과 경고 심판(4-24장)
제3부 여러 외국에 관한 예언(25-32장)
제4부 이스라엘의 회복(33-39장)
제5부 새로운 성전, 성지(聖地), 공동체 성읍의 계획(40-48장)

 


 - 내용 분해 -
제1부 심판의 예언 1-32장
I. 예언자 에스겔의 소명(召命-序) .... 1:3-3:27
(1) 서언(序言) .... (1:1-3)
(2) 소명의 이상(異狀) .... (1:4-28)
(3) 소명의 말씀 .... (2:1-3:11)
(4) 예언자의 자세 .... (3:12-27)

 
II. 예루살렘 심판의 계시 .... 4:1-24:27
(1) 상징적 동작에 의한 계시(A1) .... (4:1-5:17)
1. 예루살렘의 포위 .... (4:1-3)
2. 백성의 죄 .... (4:4-8)
3. 포위기간중의 곤궁 .... (4:9-17)
4. 예루살렘 멸망의 예언 .... (5:1-4)
5. 상징적 동작에 의한 예언의 설명 .... (5:5-12)
6. 결언(結言) .... (5:13-17)

(2) 주의 선언에 의한 계시(B1) .... (6:1-7:27)
1. 우상 예배에 대한 심판 .... (6:1-14)
2. 종말의 선고 .... (7:1-27)

(3) 이상에 의한 유다의 죄에 관한 계시 .... (8:1-11:25)
1. 예루살렘 성전에서의 우상 예배 .... (8:1-18)
2. 예루살렘의 피처벌자들 .... (9:1-11)
3. 예루살렘 심판주의 보좌의 수레 .... (10:1-22)
4. 블라댜의 죽음과 그 의미 .... (11:1-25)

(4) 상징적 동작에 의한 계시(A2) .... (12:1-28)
1. 바벨론에의 포로 .... (12:1-16)
2. 예루살렘에 임하는 비참 .... (12:17-20)
3. 경고적(警告的) 보충 .... (12:21-28)

(5) 주의 선언에 의한 계시(B2) .... (13:1-24:27)
1. 거짓 예언자에 대한 심판 .... (13:1-23)
2. 거짓 예언자에 미혹되는 자들 .... (14:1-23)
3. 포도나무의 비유 .... (15:1-8)
4. 예루살렘의 반역의 역사 .... (16:1-63)
5. 두 마리 독수리의 비유 .... (17:1-24)
6. 개인적 죄책의 원리 .... (18:1-32)
7. 이스라엘을 슬퍼하는 애가 .... (19:1-14)
8. 이스라엘의 과거와 하나님의 취급 .... (20:1-21:32)
9. 예루살렘에 대한 경고 .... (22:1-31)
10. 오홀라(사마리아)와 오홀리바(예루살렘) .... (23:1-49)
11. 예루살렘의 최후의 날 .... (24:1-27)

 
III. 제 외국 심판의 계시 .... 25:1-32:32
(1) 근린제로에 대하여 .... (25:1-17)
(2) 두로와 시돈에 대하여 .... (26:1-28:26)
(3) 애굽에 대하여 .... (29:1-32:32)

 
제 2 부 종말과 희망의 예언 33-48장
I. 예루살렘의 종말 .... 33:1-39:29
(1) 예루살렘의 파수군 .... (33:1-33)
(2) 예루살렘의 목자 .... (34:1-31)
(3) 예루살렘의 악우(惡友) 에돔 .... (35:1-15)
(4) 예루살렘의 회복의 예언 .... (36:1-37:28)
(5) 예루살렘의 적(敵) 곡 .... (38:1-39:29)

 
II. 예수살렘의 희망 .... 40:1-48:35
(1) 성전의 이상 .... (40:1-42:20)
(2) 주의 영광의 귀환과 제단의 규정 .... (43:1-27)
(3) 성전과 예배의 규정 .... (44:1-46:24)
(4) 생명의 물 .... (47:1-12)
(5) 나라의 분할(分割) .... (47:13-48:35)





7. 본서의 중심사상-
이웃나라 사마리아(북 이스라엘)의 멸망과 앗수르 포로(전 722년)라는 참사에도 불구하고, 성도 예루살렘 및 그 성전에 대한 그릇된 낙관주의로 인해, 자기 의인(自己義認)에 빠져 있는 예루살렘 및 그 유다왕국의 백성에게, 예루살렘에서 예언자 예레미야가 예언하고 있었던 것같이 여호야긴의 치세 하인 전 597년에 바벨론왕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을 공격하여 불가침성을 주장하고 있던 성도 예루살렘이 멸망에의 한 길을 더듬고, 나라의 지도자 및 중견적인 시민은 여호야긴왕을 포함하여 바벨론에 포로되어가는 전후, 에스겔도 활동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에 남겨진 사람들은 계속 예루살렘의 불가침성을 주장하고, 자기들이야말로 장차 올 이스라엘이며, 하나님께 쓰일 자라고 오신하고 있었다.


에스겔은 그러한 성도 예루살렘에 대한 미신적인 불가침성에 기초한 그릇된 낙관주의를 바로잡고, 참된 이스라엘, 장래할 이스라엘은 바벨론에 포로되어 하나님의 심판을 경험하고 있는자들로부터 태어날 것이라 예언하고, 하나님을 잊어버리고 [예루살렘에 있다]는 것으로 인해서 하나님의 심판을 경시 또는 무시하고 있는 예루살렘 백성의 멸망과 성전의 파괴를 하나님의 심판으로서 예언했다.




8. 본서의 특색-
본서를 다른 예언서와 비교하는 때, 여러 가지 특색을 찾아볼 수가 있다.


제1로, 극히 신 중심주의적이고, 그 신관은 초월적이다.
하나님의 거룩하신 이름, 하나님의 영광, 하나님의 영의 역사(일)하심이 강조되는데, 이것은 포로라는 민족적 비운을 넘어서 이러한 초월적인 하나님만이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낸다는 신앙을 반영하는 것이다(36-37장).


제2로, 인간의 무력함과 죄성에 대한 깊은 통찰과(16, 20장, 22:30) 개인 죄책론(個人罪責論, 18장)이다.
이에 의해서 복음적 인간관에의 제1보가 진전되었다고 할 수 있으리라.


제3은, 구원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주도성(主導性)의 강조이다.
이스라엘의 구원은 개량이나 복고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총에 의한 새로운 이스라엘의 재창조라고 생각되어 있다(36-37장).


제4는, 성결 법전과의 유사, 40장 이하의 성전, 제의에의 깊은 관심이 보여지는 제사적 특색이다.
제5는, 그 문학적 특색으로서 현저한 상징주의가 말해지는데, 이것도 본서의 사상적 경향에서 오는, 필연적인 특색이라고 할 수 있으리라.


그리고 본서가 예언 문학임과 함께 묵시 문학적 요소를 갖추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묵시 문학은 구약서 중에서는 다니엘서에서 가장 전형적인 형태를 볼 수 있고, 구약외전에서는 [에스드라 제2서], 위전에서는 [바룩의 묵시록], 신약에서는 [요한 계시록]인 것은 주지(周知)의 일이다.

본서에 있어서 묵시 문학의 하나인 이상(異狀)(mar'eh)에 대해서는,

1. 바퀴 달린 보좌의 기사(1:1-26, 3:12-16, 10:9-17).
2. 예루살렘 성전의 부패에 대하여(8-11장)
3. 해골의 부흥(37장)
4. 새 예루살렘과 성전(40-48)에 기록되어 있다.


에스겔서는, 고(古) 이스라엘 종교에서 포로후의 교단적(敎團的) 유대교에의 중개(가교 架橋 laying a bridge across)가 되는 것으로서, 역사적으로도 사상적으로도, 예언서 중에서 아주 중요한 것의 하나이다.


9. 내용 요약
구약성서 속의 한 책인 《에제키엘서》의 저자. 에스겔이라고도 한다. BC 597년 바빌론으로 사로잡혀 간, 많은 유대인 포로들의 신앙지도자로서 신망을 한몸에 지닌 사제이다.


구약성서 속의 한 책인 《에제키엘서》의 저자. 에스겔이라고도 한다.
에제키엘은 BC 597년 바빌론으로 사로잡혀 간, 많은 유대인 포로들의 신앙지도자로서
신망을 한몸에 지닌 사제(司祭)였다.


포로생활 5년째 되던 날 바빌론의 그발강(江)가에서 야훼 신으로부터 예언자로서의
사명을 받고, 이스라엘 민족이 우상을 숭배한 죄의 대가로 예루살렘이 멸망할 것을 예언하였다.
그러나 유대인들은 죄를 회개하지 않았고, BC 587년에 그의 예언은 적중하였다.
그뒤 절망에 빠진 유대 민족을 위로하고, 하느님의 은혜와 영광이 빛나는 미래를 예언하였다.


에스겔은 부시의 아들로서 유대인의 제사장이며 4대선지중의 한 사람으로
유대왕 여호야긴과 같이 포로가 되어 갈대아땅 그발 하수가에 거주하는중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 에스겔서를 기록하 였다(겔1:1-3).
그 글에서 그의 비범한 인물 됨을 발견할 수 있고 기재를 나타냈으며 곧 목이 곧고 마음이
강팍한 그 백성들이 우상을 숭배하고 악을 행함을 담대히 공격한 기록에서 대선지자로서
적임자임을 보여 주었고 종신토록(20년간) 선지의 직무 에 진력한 것은 일대 특색이다.

예레미야 선지는 정신적 종교가임에 반하여 에스겔은 의식적, 형식적 방면에

중대한 관심을 보였다. 그의 예언의 요지는 예루살렘의 망할 것과 장래의 구원으로 본국이
회복될 것으로 포 로된 동포를 위로 하였다.
그의 죽은 시기는 알수 없으나 바벨론에서 같은 지도자에게 피살된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의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 근처의 한 건물을 가리켜 에스겔의 분묘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0) 2023.12.11
선지서 개론  (0) 2023.12.10
이사야 요약  (0) 2023.12.08
가나안 7족  (0) 2023.12.07
구약의 5대 제사와 4대 방법  (0)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