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십자가의 일곱 말씀 (架上七言)
< The Seven Last Words from the Cross >
성 경 : 누가복음 23장 26절–37절(2025.3.30 고난주일 오전예배)
설 교 : 전 원 준 목사 (산상교회 = http://cafe.daum.net/ssbbc )
< 찬송 = 196 마음에. 197 나 속죄함. 204 죄에서 >
(특송 = 가시관을 쓰신 예수)
/////////////////////////////////////////
(눅 23:26-38) 『[26] 그들이 예수님을 끌고 가다가 시골에서 오고 있는 시몬이라는 구레네 사람을 붙잡아 그에게 십자가를 지워 주고 그가 예수님 뒤에서 그것을 지고 가게 하였더라.
[27] 백성과 또 그분으로 인해 슬피 울며 애통하는 여자들의
큰 무리가 그분을 따라오더라.
[28] 그러나 예수님께서 그들을 향해 돌이키시며 이르시되,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해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들을
위해 울라.
[35] 백성은 서서 지켜보는데 치리자들도 그들과 함께 그분을
비웃으며 이르되, 그가 남들을 구원하였으니 만일 그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 곧 그리스도이면 자기도 구원할 것이라, 하더라.
[36] 또 군사들도 그분을 조롱하면서 그분께 나아와 식초를 바치며
[37] 이르되, 네가 만일 유대인들의 왕이거든 네 자신을 구원하라, 하더라.
[38] 그분 위에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와 히브리어로
이 사람은 유대인들의 왕이라 쓴 글도 있더라.』
////////////////////////////
매년마다 부활절 예배를 준비하면서, 십자가의 일곱 말씀을
묵살합니다.
우리 성도들이 잊어버리지 말아야 할 십자가의 신앙은
무엇입니까 ?
1. 십자가의 정신은 용서의 신앙입니다.
(눅 23:34) 『그때에 예수님께서 이르시되, 아버지여, 저들을 용서하여 주옵소서. 저들은 자기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알지 못하나이다, 하시더라. 』
@ 찬송가 = 예수앞에 나오면 모든죄 사하고.
주의 품에 안기여 편히쉬겠네.
%% 일만 달란트 빚진 자 와 백 데나리온.
(마 18:24-28) 『[24] 결산할 때에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25] 갚을 것이 없는지라 주인이 명하여 그 몸과 아내와 자식들과 모든 소유를 다 팔아 갚게 하라 하니 [26]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이르되 내게 참으소서 다 갚으리이다 하거늘 [27] 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
[28]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료 한 사람을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이르되 빚을 갚으라 하매』
(엡 4:32) 『서로 친절히 대하며 상냥한 마음을 품으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로 인하여 너희를 용서하신 것같이 하라.』
0 용서는 십자가의 정신입니다.
용서는 십자가의 신앙입니다.
우리는 서로 용서하고 마음으로 다정하게 안아주는 신앙되시기를 축복합니다.
2. 십자가의 정신은 구원의 신앙입니다.
(눅 23:43) 『예수님께서 그에게 이르시되, 진실로 내가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1) 자신의 죄를 깨닫지 못하는 강도는 주님에게 비난을 하였습니다.
(눅 23:39)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이르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2) 그러나 한 다른 강도는 -
(눅 23:40)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이르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아니하느냐』
(눅 23:42-43) 『[42] 이르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기억하소서 하니 [43]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
주님의 약속 -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구원받은 모든 사람, 우리도 -
이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살아가는 신앙되시기 바랍니다.
(요 14:3) 『가서 너희를 위하여 처소를 예비하면 내가 다시 와서
너희를 내게로 영접하여 나 있는 곳에 너희도 있게 하리라.』
3. 십자가의 정신은 효의 신앙입니다.
(요 19:26-27) 『...여자여, 보소서, 당신의 아들이니이다! 하시고 [27] 그 뒤에 그 제자에게 이르시되, 보라, 네 어머니라! 하시니
그때부터 그 제자가 그녀를 자기 집에 모시니라.』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의 얼굴은 땀과 피범벅이 되어있어서
눈을 바로 뜨기도 어려웠습니다. 쓰라림을 참으시며
눈을 뜨신 예수님께 어머니 마리아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제자들은 다 도망갔지만 어머니는 떠날 수 없었습니다.
죽더라도 함께 죽겠다는 것이 어머니의 마음 아닙니까?
25절 = 보면 예수님의 십자가 곁에는 그 모친과 이모와
클로바의 아내 마리아와 막달라 마리아 등 네 여인이 울고
있었습니다.
이때에 예수님은 울고 있는 어머니를 바라보면서
"여자여 보소서 아들이니이다" 하시고
요한에게 "보라 네 어머니라"고 하면서 부탁하였습니다.
효 = 십계명 중 5계명 인간 관계에서 제일 먼저 효를 말씀하심.
불신자들은 성도들을 비난합니다.
제사를 지내지 않으니 부모에게 불효한다고....
= 돌아가시고 난 후에 잘하는 것 보다,
살아계실 때 성도들 부모님께 잘 해 드리세요....
( 우리 자녀들이 있으니, 좀 거시기 하지만, 맞는 말아닙니까 ?
(신 5:16) 『주 네 하나님이 네게 명령한 대로 네 부모를 공경하라.
그리하면 주 네 하나님이 네게 준 땅에서 네 날들이 길고 네가 잘되리라.』
= = = 부모님 잘 섬기면 하나님이 더욱 축복해 주십니다.
4. 십자가의 정심은 고뇌의 신앙입니다. =
(마 27:46) 『아홉 시쯤에 예수님께서 큰 소리로 외쳐 이르시되,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하시니 이것은 곧 나의 하나님이여,
나의 하나님이여,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하는 뜻이라.』
인간의 죄를 홀로 지시고 하나님께 버림을 당하시는 순간
주님으로서는 매우 심각한 세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순간은 인간의 죄를 사하는 순간입니다.
(벧전 2:24) 『친히 나무에 달려 그 몸으로 우리 죄를 담당하셨으니 이는 우리로 죄에 대하여 죽고 의에 대하여 살게 하려 하심이라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너희는 나음을 얻었나니』
5. 십자가의 정신은 목마름의 신앙입니다. =
(요 19:28) 『이 일 후에 예수님께서 이미 모든 일이 이루어진 줄 아시고 성경 기록을 성취하시려고 이르시되, 내가 목마르다, 하시니』
## 우물가의 여인 =
(요 4:14) 『누구든지 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결코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내가 주는 물은 그 사람 속에서 솟아나는 우물이 되어
영존하는 생명에 이르게 하리라.』
% 지금 주님은 우리를 향하여 목 말라하시는 것입니다.
지금 우리 중앙 교회를 보시면서 주님은 목말라 하십니다.
(고전 16:18) 『또 나와 너희의 영을 시원하게 하였음이니 그러므로 너희는 이러한 사람들을 인정하라.』
6. 십자가의 정신은 사명을 다하는 신앙입니다.
(요 19:30) 『그러므로 예수님께서 식초를 받으신 뒤에 이르시되,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여 숨을 거두시니라.』
원문의 '텔레오'는 "완수하다, 결론짓다, 완전히 하다, 청산하다"의
뜻이 있습니다. 모든 것이 끝났습니다.
아직도 우리에게는 주님이 맡겨주신 사명이 있습니다.
바로 산상교회입니다.
좀 어렵고 힘들다고 도망가는 비겁한 성도는 되지 말아야 합니다.
내게 주신 주님의 사명, =
산상교회를 끝까지 지키며 열심히 섬기는 성도되시기를 바랍니다.
(딤후 4:7) 『 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은즉』 아멘 !
7. 십자가의 정신은 신뢰하는 신앙입니다.
(눅 23:46) 『예수님께서 큰 소리로 외치시고 이르시되, 아버지여,
내 영을 아버지의 손에 맡기나이다, 하시고 이렇게 말씀하신 뒤에
숨을 거두시니라.』
## 눅 15장 = 탕자가 객지에 가서 다 잃어버렸습니다.
그가 죽을 지경이 되어서, 마지막으로 생각한 것은 다름 아닌
아버지 집입니다. 아버지 집으로 돌아가리라.
(요 14:1)
『너희는 마음에 근심하지 말라. 하나님을 믿으니 또 나를 믿으라』
찬 송 = 가시관을 쓰신 예수
'설교말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를 중심으로 살아봐요 = 누가복음4;31-37(250330) (0) | 2025.03.27 |
---|---|
부모 공경과 여호와 경외 (0) | 2025.03.27 |
스크랩 십자가에 숨겨진 은총(사순절) (0) | 2025.03.27 |
스크랩 내일 일을 위하여 염려하지 마라(마태복음 6:25~34) (0) | 2025.03.25 |
스크랩 행복을 만드는 사람 (벧전 3:10-12) (0) | 2025.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