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과교제

절반의 진실을 파헤친다...등푸른 생선 이야기!

열려라 에바다 2012. 11. 24. 13:04

절반의 진실을 파헤친다...등푸른 생선 이야기!

 

오늘의 주제? 두뇌에 좋다는 등푸른 생선...


생선 조림... 육류만큼 단백질이 풍부하나 칼로리는 낮고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
하여 심장병이나 암에까지 좋고 더불어 아이들 건강과 두뇌에 좋다
는 등푸른 생선! 과연? ①위는 눈다랑이 뱃살, ②위는 고등어!



오늘 그 절반의 진실을 파헤쳐 봅니다. 알아야 제대로 먹습니다.


어떤 현상인가?


실험1. 서울과 여수에 있는 초등학교 한 학급식 어린이들의 머리카락을 검사
수은의 감염여부를 측정해 보니 서울 초딩은 한명도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으나 여수초딩의 학급 5명이 수은 감염이 기준치를 넘었다.

- 이들은 이틀에 한번꼴로 등푸른 생선을 먹었다. 생선섭취가 주원인!





실험2. 미국에서 참치캔과 물만 먹었는데 수은 함량이 처음엔 4.0 ppb
10일후 8.9 ppb
20일후 17.2 ppb
17.2 ppb이면 권고치의 3배를 초과하는 것! 즉시 실험 중지!
40ppb를 초과하면 어지럼증이 발병하기 시작한다.


실험3. 부산사는 임신부... 고등어를 무척 좋아하여 거의 매일 먹는다.
6~7개월된 임산부인데 엄마들은 0.851ppm/0.868ppm으로 수은중독이
심했다. 허용치는 0.5ppm 이하이다.


실험4. 일본 미나마타현에서 수은 중독으로 2세가 기형아로 태어난 이 곳은
수은 중독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50년전 심각한 수은 중독으로 사지가
뒤틀리며 죽은 사람들, 그리고 태아성 수은중독...

이름하여 '미나마타병'이라 불리우는 이 곳!

- 서울에서 이틀에 한번꼴로 생선을 먹는 주부들의 모발을 수거 일본
미나마타 연구소에 의뢰했더니 수은 중독은 10명중에 5명으로 심각,
특히 뱃속의 태아는 임산부의 두배 이상이다.



실험5. 14마리의 임신한 쥐에게 수은을 매일 일정량 투입한 후 정밀 검사를 해보니
탯속의 새끼 쥐들이 어미쥐의 수은 중독의 약 2배이다.


실험6. 덴마크 파로군도에는 결혼의식중에 고래고기를 즐겨 먹는데 스테이크로
만들어 감자, 당근과 함께 먹는다. 특히 결혼한 부부들...

- 덴마크의 팔웨이 박사는 1986년 포경이 금지되기 전에 낳은 아이들의
수은 중독 여부를 하바드대학연구진과 20여년간 공동으로 조사했다.

7살에는 22.5㎍/L, 14살에 9.1㎍/L, 21살에 0.75㎍/L... 14살이 되어
정상으로 돌아 왔다. 고래고기를 먹지 않았기 때문.



→ 당시에 아이들은 거의 어머니가 고래고기를 자주 먹어 태아들이 정상적이지
않았다. 당시의 아이들끼리 비교해 보면 모르지만 최근에 아이들과 비교하면
차이가 많이 난다.

언어능력, 인지 능력, 기억력에 대해 현저히 정상적인 아이들보다는 낮다는 것!


왜 생선에 메틸 수은이?


★ 메틸 수은중독이 심하면 손발이 마비가 되고 시야가 좁아지면 신경계의 마비가
온다.뿐만아니라 태아들은 중독되지 않은 아이들보다 인지 능력이 떨어진다.

육지에서 유입된 수은은 작은 물고기가 섭취하므로 메틸수은화 되어 축적되어
지는데 이 작은 고기를 큰 고기가 먹으면서 수은이 더 축적되어진다.



- 눈다랭이, 황새치 등 큰 물고기의 축적이 심각하다.
- 참치캔에 사용되는 가다랑이는 크기가 작아 한국에서는 참치캔에 허용된다.
(외국에서는 참치캔에 큰 참치가 사용되니 더욱 조심)


그렇다면 수은 중독에서 탈피하려면?


앞에서 언급한 여수초등학교의 감염된 어린이들을 두달동안 이틀에 한번 먹던 생선
을 거의 자제 시켰더니 0.988에서 평균 0.811로 약 20% 감소하였다.

- 한번 축적된 수은을 배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성인보다는 두뇌가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 특히 임산부는 일주일에 두번 이하로
생선섭취를 줄이고 큰 생선보다는 가능한 칼치, 고등어 등 작은 생선위주로 섭취

- 임신부가 특히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 태반은 몸에 나쁜 물질은 거부
하고 엄마의 영양소만 통과시킨다고 했으나 실험 결과 메틸 수은은 태반이 여과
없이 통과시킴을 알 수 있음. 보통 엄마의 두배 중독된다고 보면 됨.



실험결과 메틸 수은을 배출시키는데 비타민 C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비타민 C와 함께 생선을 먹으니 메틸수은 배출이 3배나 증가하였다.
즉, 비타민 C가 많은 야채와 함께 생선을 먹으면 좋다 하겠다.


★참고... 옥돔, 왕고등어, 참치보다는 고등어, 갈치, 명태, 조기 등이 수은 중독에
보다 적게 중독 될 수 있으나 작아도 자주 먹으면 체내에 메틸 수은이 축적
되기는 마찬가지! 적게 먹고 야채와 함께...

우리나라 사람이 미주, 유럽인보다 6배나 수은 중독이 심하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