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자료

100년 대륙 선교에 빨간불… 中 정부, 한인 선교사 강제출국·입국거부 속출

열려라 에바다 2013. 8. 29. 19:36

 

100년 대륙 선교에 빨간불… 中 정부, 한인 선교사 강제출국·입국거부 속출

 

 

#1 선교사 A씨는 지난달 15일 주한 중국대사관으로부터 비자 연장 거부 통보를 받았다. 대사관 관계자는 “당신이 (중국에서) 뭘 하는지 당신이 더 잘 알지 않느냐”며 거부 사유를 밝혔다. 10년 넘게 힘써온 중국 선교가 끝나는 순간이었다.

#2 지난해 12월 25일 밤, 선교사 B씨는 중국 베이징의 한 건물에서 성탄절 예배를 드리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공안들이 들이닥치며 “불법 종교 집회를 중단하라”고 말했다. B선교사는 그날 공안 사무실로 끌려가 조사를 받았고 다음날 강제 출국됐다.

중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 선교사들이 강제 출국이나 입국 거부를 당하는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는 등 중국 선교에 빨간불이 켜졌다. 선교사들은 정확한 설명도 듣지 못하고 수년씩 헌신해온 선교현장을 떠나고 있다.

29일 주요 교단 선교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최근까지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은 선교사 15가정이 추방됐다. 같은 기간 예장 통합은 13가정, 기독교한국침례회는 4가정이 선교지를 떠났다. 예장 고신도 몇몇 가정이 중국 선교 현장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선교 관계자는 “불과 10개월도 안돼 비공식 선교사를 포함, 선교지를 등진 선교사들이 100가정은 될 것으로 추정된다”며 “중국 현지에서는 앞으로 300가정 이상 추방될 것이라는 말도 들린다”고 말했다.

중국은 한국 선교사들이 활동하는 10대 파송국 중 하나다. 1913년 한국교회가 최초로 해외선교사를 중국에 파송한 이후 현지 교회와 협력해 지도자 훈련, 북한 선교 등의 분야에 힘써 왔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자국 내 외국 선교사들을 주시해 왔다. 하지만 최근처럼 선교사들에 대해 대량 출국 조치를 취한 것은 이례적이다. 선교 관계자들은 이러한 중국 정부의 변화가 시진핑 국가주석 등장 이후 급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내 소수민족이나 탈북자, 대학생 선교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전언이다.

달라진 중국의 신(新)비자법도 걸림돌이다. 지난 7월 1일부터 시행 중인 중화인민공화국 출입국관리법에 따르면 180일 미만일 경우에는 ‘체류’, 180일 이상 있으면 ‘거류’로 구분해 외국인의 체류 개념을 분명히 했다. 이전에는 관광 목적의 ‘단기 비자’나 유학·사업을 위한 ‘장기 비자’로만 구분했었다. 불법 체류나 불법 취업에 대한 기준도 높아졌다.

예장 합동 소속의 한 선교사는 “중국의 비자정책은 비자 용도로만 사용하라는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해외 사역지 재배치를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몇몇 선교 단체들은 이미 재배치 논의를 진행 중이다. 주로 태국이나 대만, 필리핀 등으로 파송해 현지 화교를 대상으로 활동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선교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중국 상황이 바뀜에 따라 장기선교보다는 5∼10년 단위의 중단기적 접근 계획을 수립해 중국교회가 약한 부분만 돕도록 하자는 논의가 나오고 있다. 중국교회가 세계 최대 개신교 인구로 성장한 이상 중국에서 아예 철수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