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폴더

아멘"이라는 단어의 개념

열려라 에바다 2023. 5. 1. 07:25

아멘"이라는 단어의 개념

원래 이 단어의 히브리어적인 개념은 "신빙성이 있는, 확실한, 진정한"의 형용적인 의미, 혹은 "그것은 신빙성 혹은

진정성이 있다"의 형용적인 동사로 되어 있다.

관련된 동사 "아만"은 "부양하다, 지지하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어근에서 "신임하다, 지속하다, 확실하다"를 의미하며, 다른 어근에서 어떤 대상을 "신뢰할 만한, 혹은 참되고 진정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믿는다"는 개념으로까지

나아간다.

이 말에서 생긴 "아멘"은 송영이나 법령의 말미에 붙이는 공식적인 용어로서 "참으로 그렇게 되옵기를 바라나이다"라는 동의의 개념을 의미한다.

즉 성경에서 아멘은 상대방의 견해에 대한 단순한 동의로는 표현되어지지는 않는다.

아멘이라는 단어는 언약성취에 대한 확신, 맹세, 서약, 기도와 송영에 사용되었다.            

 

특별히 구약에서는 하나님 말씀에 대한 경고와 그것을 어겼을 때의 저주에 대해서 "아멘"이라고 화답하는데,

그 의미는 "하나님과의 언약을 맹세한다"는 뜻이 되어지기 때문이다.

(특히 신명기 27장은 저주에 대한 아멘의 용어가 많이 등장한다.)    

 

장색의 손으로 조각하였으나 부어 만든 우상은 여호와께 가증하니 그것을 만들어 은밀히 세우는 자는 저주를

받을 것이라 할 것이요 모든 백성은     응답하여 아멘 할지니라(신27:15, 참고: 16절,17, 19...26)

 

우리가 특히 부흥회같은 곳에 가면, 목회자나 강사가 청중에게 동의를 구하기 위하여 "아멘"을 유도하는 것을

흔히 볼 수가 있다.

물론 그러한 것이 정상적인 경우에도 나쁘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대부분 "아멘"이란 "설교자의 견해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용어"로 알려져 있는데, 그러나 "아멘"은 단순히 설교자가

동의만을 구하는 용어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하며, 성경에서 "아멘"은 단순한 동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성취에

대한 확신의 의미와 서약, 맹세의 의미로 사용되어졌기 때문이다.

물론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는 목회자나 강사의 설교에 대해서 "설교대로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하나님의

언약성취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에는 당연히 "아멘"이라고 동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강사가 청중에게 "아멘"이라는 말을 유도할 때에, 전적으로 성경과 관계가 없는 개인적인 견해에 대해서도

아멘을 유도하는 경우에는 아멘의 남용이라고 보아야만 한다.            

 

"하나님의 약속은 얼마든지 그리스도 안에서 예가 되니 그런즉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아멘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되느니라." (고후1:20)

 

위에 인용한 고후 1:20은 하나님의 언약성취에 대한 "아멘"의 용법으로 "그렇게 될 줄로 믿습니다.

진실로." 라는 의미이며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어짐을 믿습니다"라는 의미가 된다.

예수님은 아멘이라는 단어를 주로 말끝이 아니라 말의 시작에 사용하셨는데, 개역성경은 그 단어를  "진실로"라고

번역하였다.

그 의미는 하나님께 맹세한다는 개념과 하나님의 성취에 대한 개념이 혼합된 "하나님께 맹세코..."라는

의미가 되어지는데, 개역성경은 대부분 "진실로"라고 번역하였다.  

 

"내가 또 너희 열조에게 한 맹세 곧 그들에게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주리라 한 언약을 이루리라 한 것인데

오늘날이 그것을 증거하느니라 하라  하시기로 내가 대답하여 가로되 아멘 여호와여 하였노라." (렘11:5)

 

이 구약성경의 렘11:5의 "아멘"도 언약성취에 대한 확신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 하나님을 찬양하며 경배하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시41:13, 72:19, 98:52, 106:48)

또한 성경에서는 맺는 말(히13:21. 벧후3:18). 송영(롬11:36). 축사(롬15:33)로 사용되었으며, 특별한 경우이지만,

하나님의 이름(계3:14)으로도 사용되었던 것이다.  

 

"라오디게아 교회의 사자에게 편지하기를 아멘이시요 충성되고 참된 증인이시요 하나님의 창조의 근본이신 이가

가라사대"(계3:14)

 

구약 이사야에서도 여호와 하나님을 아멘의 하나님(개역성경에서는 진리의 하나님이라고 번역되어짐)으로

언급하고 있으므로 하나님의 이름에 사용되었다.  

 

"이러므로 땅에서 자기를 위하여 복을 구하는 자는 진리의(아멘) 하나님을 향하여 복을 구할 것이요 땅에서

맹세하는 자는 진리의(아멘) 하나님으로 맹세하리니 이는 이전 환난이 잊어졌고 내 눈 앞에 숨겨졌음이니라"(사65:16)

 

즉 아멘이라는 단어는 어떠한 견해에 대해서 단순한 동의나 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루어지게 해달라"는 하나님의 언약성취에 대한 확신의 개념이 포함되어진 것이며, 아울러 하나님의 이름을

포함하는 맹세의 개념인 것이다.

우리는 아멘이라는 말을 남용하여서도 안되지만, 다른 면에서 볼 때에는, 너무나 아멘이라는 용어에 너무 인색한

경우도 있다.

이루어져야만 하는 좋은 말씀에는 아멘으로 화답하자....


아멘이란?

아멘 은 ' 그렇게 ', ' 그렇게 '라는 의미입니다. 어떤 맥락에서 그것은 또한 '진실하다'또는 '확실히'를 의미한다. 유대교, 기독교 및 이슬람과 같은 많은 종교에서 확인 및 확인 공식으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가장 빈번한 전례 찬사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기도를 마치는 공식으로 사용됩니다.

 

'아멘'이라는 단어의 유래

이 단어는 āmēn 으로 발음 된 히브리어 @ ( @ truly ','확실히 ')에서 온 것입니다. 이 단어의 뿌리는 단단함과 안전을 나타내며, 히브리어에서는 '믿음'이라는 단어의 뿌리와 일치합니다. 또한 그것은 아람어와 같은 셈어 언어에서 나올 수 있다고합니다. 나중에, 그것은 그리스어 ἀμήν 와 그로부터 라틴어 아멘 으로 유래했다. 원래는 유대교에서 사용되었으며, 기독교와 이슬람과 같은 다른 종교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기독교의 아멘

기독교에서는 문장을 결론 짓는 공식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신약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그의 연설의 시작 부분에서이 단어를 두 번 ('아멘, 아멘') 사용하여 소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진실하고 진실'로 번역됩니다. 예를 들어, ``진실로 진실로 당신 에게 말하는데, 나를 믿는 사람은… '' (요 14:12). 그것은 또한 예수 그리스도가 '아멘'이라고 불릴 때 계시록에 나타난다: ' 아멘, 충실하고 참된 증인, 하나님의 창조의 시작을보십시오.' (계시 3:14).

 

유대교의 아멘

히브리어 성경에서이 단어는 반복해서 나타납니다. 문장의 시작 또는 끝에서 사용됩니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축복에 대한 응답으로 그리고 선언 전에 긍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탈무드에서 '아멘'이라는 단어는 '신뢰할 수있는 하느님, 왕'으로 번역 될 수있는 약어입니다.

이슬람의 아멘

이슬람에서 (사용 된이 단어 آمين 의미와 문장의 끝에서 아랍어)는 '그럴 그것을 또는'이렇게 ''을 확인 및 긍정을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아멘'이라는 단어의 다른 용도

이 단어를 종교적인 공식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아멘'이라는 단어는 다른 상황에서 스페인어로 사용됩니다. 구어체 언어에서는 다양한 표현으로 나타납니다.

  • '모든 것을 아멘.' 그것은 모든 것을 느끼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아멘'이라는 단어는 '예', '시간 내에'또는 '말하는 아멘'으로 대체 될 수 있습니다. 그것은 짧은 기간을 의미합니다. 첫 번째 경우, 산티 엔 (Santiamén)은 라틴어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에서 자신을 교차시키기 위해 공식에 사용 된 마지막 단어에서 형성됩니다. 아멘 '순간'또는 '순간'과 같은 다른 표현과 동일합니다. 이 경우, '아멘'이라는 단어는 복수형에 사용되었습니다. 그것은 당신이 무언가를 마칠 때 도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멘'이라는 단어는 또한 '추가'라는 의미의 전치사 '와'과 함께 사용됩니다. 예: '보고서 외에도 송장을 작성해야합니다.' 이 사용은 공식 언어의 전형입니다.


아멘의 뜻을 알아보자

아멘의 사전적 뜻은

"그러하다, 긍정적이다, 확실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멘의 영어표기 Amen

보통 아멘을 에이멘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영어발음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Amen의 경우 원어에서 음만 따서 부르는 단어이기 때문에 단어 자체의 의미가 없고, 발음 또한 '아멘'이 더 원어에 가까워 '에이멘'이라 읽으면 안된다는 해석도 있다.

헬라어 아멘 [ἀμήν]

'진실로 그러하도다'라는 뜻으로 해석되어 있다. '확실한, 확고한, 신실한, 진실한'라는 뜻을 가지고 으며, 히브리어 단어인 '아만'에서 유래하였다.

히브리어 아멘 [אָמֵן]

아멘[אָמֵן]의 유래는 아만[אמן]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사실 히브리어 글자 하나하나가 헷갈려 정확한 단어를 표기한게 맞는지 더 확인이 필요함)

아만은 칼형으로 '확증하다, 뒷받침하다'란 뜻을 가지고, 니팔형으로는 '확립되다, 신실하다, 확실하다, 믿을만하다'를 뜻하며, 히필형으로는 '확고하다고 알다, 믿다, 확신하다'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히브리어 원어는 생각보다 상당히 체계가 어려웠다. 더욱 정확하고 구체적인 공부는 각자 해보길 바란다.)

아멘이란 단어는 성경속에 얼마나 등장할까?

아멘이란 단어를 성경(개역한글)을 찾아보았다.

구약에서는 약23번 등장하였다.

신약에서는 약 97번 등장하였다.

(직접 새었기 때문에 오차가 있을 수 있음)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