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자료

에스라 시대의 바사(페르시아) 왕들

열려라 에바다 2024. 1. 8. 14:34

에스라 시대의 바사(페르시아) 왕들

 

페르시아 (바사) 연대표

에스라, 느헤미아, 에스더서의 배경이 되는 페르시아 시대의 연대표는 다음과 같다.

연대 성경 본문 사건
    고레스의 통치(539-529)
539-538 단 5:31 분봉왕 다리오 바벨론 통치
538 스 1:1,2 고레스의 1차 귀환 조서
538 단 9:20-27 다니엘의 70이레
538 단 6:1-28 다니엘의 사자굴
538 스 2:1-70 1차 귀환(스룹바벨)
536 스 3:8-13 성전 재건 작업 1차 시작
536 스 4:4 성전 재건 1차 방해
536 스 4:23 성전 재건 작업 중단
530   다니엘사망
    캄비세스의 통치(529-523)
526   애굽 정복
    스메르디스의 통치(523-522)
    다리오 1세의 통치(522-485)
520 학 1:1; 슥 1:1 학개, 스가랴의 사역
520 스 5:1 성전 재건 작업 재개
520 스 5:3-17 성전 재건 2차 방해
520 스 6:6-12 다리오 왕의 성전 재건 승인 조서
    아하수에로의 통치(485-464)
? 스 4:6 성전 재건 3차 방해
483 에 1:3 아하수에로의 잔치
(480-479)   그리스의 바사 침공(살라미스 해전)
479 에 2:12-18 왕후로 간택된 에스더
478 에 2:21 아하수에로 암살 음모
474 에 3:1-15 하만의 책략
473 에 9:20-32 부림일 제정
    아닥사스다 1세의 통치(464-424)
458 스 7:11-26 2차 귀환 조서
458 스 7:1-10 2차 귀환(에스라)
? 스 4:7 성곽 재건 1차 방해
? 스 4:8-22 성곽 재건 2차 방해
? 스 4:23 성곽 재건 중단 조서
? 느 1:1-3 성곽 재건 작업 중단
445 느 1:4-11 느헤미야의 탄원
445 느 2:1-8 3차 귀환 조서
445 느 2:9-11 3차 귀환(느헤미야)
444 느 2:17,18 성곽 재건 작업 재개
444 느 2:19,20 신발랏, 도비야, 게셈의 성곽 수리 1차 방해
444 느 4:7,8 성곽 수리 2차 방해
444 느 6:2-4 성곽 수리 3차 방해
444 느 6:5-7 성곽 수리 4차 방해
444 느 6:10-14 성곽 수리 5차 방해
444 느 6:15 성곽 수리 필역
444 느 7:5-69 느헤미야의 1차 인구 조사
444 느 12:27-47 성곽 낙성
433 느 2:6; 13:6 바벨론으로 돌아간 느헤미야
432 느 13:6,7 느헤미야의 2차 귀국
435-425   말라기의 활동
?   그리심 산 성전 건립
    다리오 2세의 통치(423-405)
404   아테네 함락
    아닥사스다 2세의 통치(404-359)
    아닥사스다 3세의 통치(359-338)
343   애굽 정복
    아르소의 통치(338-335)
    다리오 3세의 통치(335-331)
331   바사(페르시아) 멸망

페르시아 역대 왕들

고레스로부터 시작하는 페르시아 역대 왕들은 다음과 같다.

페르시아 왕들 재위연대(주전) 성경 연관성
고레스 (키루스) 1세
Cyrus I
  - 고래스의 아버지
- BC7세기말 활동한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
고레스 (키루스) 2세
Cyrus II
Cyrus the Great
550-530

- 페르시아 제국의 건설자
컴비세스 1세의 아들. 카루스 대왕 (Cyrus the Great), 고레스 왕이라고 함
이때에 1차 포로귀환, 세스바살을 포함한 유대인이 예루살렘에 귀환함
캄비세스 2세
Cambyses II
530-522 고레스의 아들
이집트를 정복함
바르디야
Bardiya
522 (6개월) 고레스의 동생이자 캄비세스2세의 동생으로, 실질적으로는 가우마타가 통치함
다리우스 1세 [대왕]
다리오
Darius I
522-486 스룹바벨과 예수아에 의한 성전재건 BC520-515(다리우스 2년~6년 아달월)의 배경
크세르크세스 1세
아하수에로
Xerxes 1
485-465 에스더에 나오는 페르시아 왕 약 BC477에 일어난 일, 에스더 왕후 책봉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아닥사스다
Artaxerxes I
464-424 2차 에스라 포로귀환,
3차 느헤미야 포로귀환
크세르크세스 1I세
아하수에로
Xerxes 1I
424  
소그디아누스
Sogdianus
424-423  
다리우스 2세 423-405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 므네몬
아닥사스다
Artaxerxes II
404-358  
아르타크세르크세스 3세 오쿠스
아닥사스다
Artaxerxes III
358-338  
아르타크세르크세스 4세 오쿠스
아닥사스다
Artaxerxes IV
338-336  
다리우스 3세 335-331  

유대인의 세 차례에 걸친 예루살렘 귀환

 

페르시아 고레스왕의 칙령에 의해 3차에 걸친 예루살렘 귀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차 제2차 제3차
성경 언급 에스라 1-6장 에스라7-10장 느헤미야1-13장
연 대 주전 538년 주전.458년 주전 444년
지 도 자 스룹바벨, 예수아 에스라 느헤미야
페르시아(바사) 왕 고레스(키로스) 아닥사스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아닥사스다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
칙령의
내 용
돌아가기를 원하는 사람만큼 돌아갈 수 있고 성전이 재건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국고의 지원을 받았다. 그릇들이 돌려졌다. 돌아갈 수 있을 만큼 돌아갈 수 있고 국고 지원이 마련되었다. 자신들이 문관을 갖도록 허용되었다. 성벽 재건이 허용되었다.
귀환자 수 42,360명, 종7,337명 등
총 49,697명
남자 1,500명과 레위인 38명, 조력자 220명 미상
사 건
업 적
문 제
성전 공사가 시작되고 제사를 드렸으며 장막절을 지킴. 사마리아인의 방해로 작업이 19년간 중단되었으며, 성전은 B.C.516년에 완공 통혼의 문제 산발랏, 도비야 및 게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성벽이 52일만에 재건됨. 성벽이 봉헌되고, 율법이 낭독됨.

에스라서의 전체적인 구조

 

에스라 서는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제 1차 예루살렘 귀환과 성전 재건 완성 (스룹바벨 총독. 1-6장), 2. 제2창 예루살렘 귀환 (에스라 학사 겸 제사장. 7-8장). 3. 귀환한 남 유다 백성들의 패역함과 에스라와 그 백성들의 회개를 통한 영적 부흥 (9-10장)

주전 538년 주전 458년
1장 2장 3장 4장 5장 6장 7장 8장 9장 10장
각 장의 요약 정리 바사 왕
고레스 예루살렘 귀환 칙령
제 1차 예루살렘 귀한
포로민들의 목록
예수아와 스룹바벨 제단 구축모세 율법에 따라 번제와 여호와의 전 지대를 놓음 성전 건축 방해하 세력등장. 선지자 학개와 스가랴와 스룹바벨과 예수아를 중심으로 성전 건축재개 성전 재건을 다리오 왕이 허락.
선지자 학개와 스가랴의 권면함으로 완성(봉헌식).
에스라가 예루살렘에 이름. 제 2차 예루살렘 귀환. 에스라와 함께 돌아온 족장들과 그들의 계보 영적 리더 중심으로 이방 백성과 결혼하여 하나님 앞에 큰 죄를 범함, 백성들이 에스라와 함께 죄를 자복하며 이방 아내와 소생을 다 내보내기로 하나님과 언약을 세우고 율법대로 행할 것을 맹세.
재임 왕 고레스 고레스 고레스 고레스 – 다리오 – 아하수에로 – 아닥사스다 (삽입 본문) – 다리오 다리오 다리오 아닥사스다 아닥사스다    

 

느헤미아서의 전체적인 구조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Artaxerxes I)가 등극하고 20년이 되었을 때인 445년에부터 사역을 시작한다. 
당시 메가비주스(강 서편의 총독)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왕과 화해를 한다. 이 반란은 정복한 애굽 왕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는 문제에서 발단이 되었다. 애굽을 접경한 유다와 예루살렘이 자연히 불안할 수밖에 없었고 유다와 평온한 관계를 유지하
는 것이 페르시아 왕으로서는 중요한 정책이 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예루살렘으로 오게 된 느헤미아가 성벽을 재건하고 언약을 갱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구분 예루살렘 성곽 재건 신앙 부흥 운동
내용 성벽 재건 준비 성벽 재건 사역 언약 갱신 언약에 따른 개혁 조치들
구절 1-2장 3-7장 8-10장 11-13장

 

 

에스더서의 전체적인 구조

에스더서는 정연한 플롯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롯은 다른 모든 요소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하며 상황이나 등장인물이나 주제는 플롯에 의해 존재하게 되고, 다른 요소들과 적절한 관계를 지니게 된다.  에스더서의 플롯은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단계 본문
1 발단 1-2장
2 분규, 절정, 결말 3장 1절 ~ 9장 19절
3 부림절 부록 9장 20절 ~ 32절
4 결언 10장

 

1. 발단 : 포로로 끌려온 유대인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어떻게 왕궁에 들어가서 유력한 지위에 오를 수 있었는지를 묘사함으로써 앞으로 감당할 역할이 무엇인지를 예시함

2. 분규, 절정, 결말 : 하만이 모르드개는 물론 그의 민족 유대인을 모두 멸하고자 함. 하만의 유대 말살 계획은 에스더와 모르드개를 통해 반전으로 전개됨. 

3. 부림절 부록 : 부림절이 어떻게 생기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며 역사적 기초를 제시한 다움, 부림절 절기의 날짜를 설정하고 절기를 지키는 방식을 제시함.

4. 결언

 

/출처ⓒ† : http://cafe.daum.net/cgsbong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제사장의 계보.  (0) 2024.01.11
헤브론  (0) 2024.01.08
갈대아의 위치  (0) 2024.01.08
성경에 나온 식물, 가라지(Tares, weeds)  (0) 2024.01.08
신약성경 출현의 과정.  (1) 2024.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