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한 곡식에 감사 ( 추석 감사 예배 1 )
◎ 조용한 기도 : 다 같이
◎ 찬 송 : 559 장
◎ 기 도 : 가족 중에서
◎ 성 경 : 눅 12장 16~21절
◎ 말 씀 선 포 : 맡 은 자
( 추석 감사 예배 1 )풍성한 곡식에 감사
추석이 되면 모든 음식이 풍성해집니다. 새로 추수한 햇곡식으로 송편도 빚고 한국의 고유한 음식도 장만하고 서로 가족이나 친지들을 만나 서로의 안부를 전하는 아름다운 풍습이 있습니다. 또 오랫동안 찾아뵙지 못하던 고향의 부모님도 찾아뵙고 인사를 드리는 계절입니다. 특별히 그리스도인들은 풍성한 곡식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하나님께 예배하는 계절로 삼아야 합니다.
1. 어리석은 부자의 비유
오늘의 본문은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어리석은 부자의 비유입니다. 신약성경에서 비유를 '알레고리' 라고 하는데 이것은 제3의 뜻이 담겨있습니다. 포도나무의 비유는 포도나무 농사법을 가르쳐 주신것이 아니고 이스라엘 백성을 비유하신 것입니다. 잃은 양의 비유는 생명을 건지시고 영혼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열정을 나타냅니다.
본문을 보면 한 부자가 농사를 지었는데 풍성한 소출을 거두었습니다. 부자는 풍성한 곡식의 소출을 거둔 후 다음과 같은 일을 했습니다. 첫째는 많은 수확을 거두어 곡식을 쌓을 곳이 없으니 현재의 곡간을 헐었습니다. 둘째는 새로운 창고를 지었습니다. 셋째는 스스로에게 말하길 " 내 영혼아 여러 해 쓸 물건을 많이 쌓아 두었으니 먹고 마시고 즐기자" 고 했습니다. 여기서 부자의 잘못이 무엇입니까?
2, ① 부자의 첫 번째 잘못은 '나' 였습니다.
오늘의 본문에서 부자는 '나'라는 말을 여섯 번이나 반복해서 하고 있습니다. 농사를 잘 지었다는 것입니다. 성도 여러분! 농사도 내가 잘 지은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결실이 잘 맺어지도록 축복하신 것입니다. 잠언 16잘 9절에 "사람이 마음으로 자기의 길을 계획 할지라도 그 걸음을 인도하는 자는 여호와시니라" 고 했습니다. 여러분! 여러분의 모든 일들이 여러분의 계획대로 되는 것을 보셨습니까? 절대로 아닙니다. 우리의 계획대로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인도대로 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생각을 바꾸어야 합니다.
우리가 열심히 노력해서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능력을 주셔서 가능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돈도 벌게 하신 것입니다. 우리 모두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② 부자의 두 번째 잘못은 쾌락주의 사상입니다.
하나님이 주시는 물질은 먹고, 마시고, 즐기라고 주신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여러분들은 하나님이 주시는 물질을 어디에 쓰고 있습니까?
하나님이 우리에게 물질을 주실 때에는 나를 위해서도 사용해야 하지만, 이웃과 함께 나누라고 주시는 것입니다. 물질의 사용에는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첫째는 먹는 양식이며, 둘째는 심을 씨앗이며, 셋째는 저축하고 이웃을 위해 구제하고 선교하는 일에 사용해야 합니다.
③ 세번째 잘못은 오늘밤 그 영혼을 거두어 가시는 것을 생각지 못한 것입니다.
부자는 여러 해 쓸 물건을 쌓아 두고 여러해 평안히 살 것을 생것하고 준비하고 있었으나 하나님은 오늘밤에 네 영혼을 거두어 가면 이 모든 것이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고 하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에겐 오늘 밤이 있습니다. 만일 하나니님이 계획하시면 내 영혼도 오늘 밤이 나의 마지막 날일 수 있습니다. 온 천하를 주고도 바꿀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목숨입니다.
부자의 잘못을 깨달아 이제은 주님이 주시는 은혜에 감사하고 더 풍성한 복을 누리는 한가위 되시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기도 : 좋으신 하나님, 즐거운 추석 명절을 허락해 주시니 감사합니다. 감사가 넘쳐서
더욱 풍성한 한가위가 되게하여 주시옵소서. 하나님의 은혜를 다시금 깨달을수
있는 기회가 되게하시고, 가족들이 협력하여 선을 이루는 귀한 축복의 장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 주기도문 : 다 같 이
'기독교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감, ‘세습방지 조항’ 채택 (0) | 2012.09.27 |
---|---|
(추석감사예배)감사드리는 사람들 (0) | 2012.09.25 |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성공 (추석 감사 예배2) (0) | 2012.09.25 |
[박한배의 말씀으로 푸는 건강] 고산병 (0) | 2012.09.02 |
[박명룡 목사의 시편] 예수 믿는 궁극적 목적은? (0) | 201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