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907

성경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속성 분류

성경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속성 분류 성경 속에 나타난 하나님의 속성 분류 속성 정의 성경구절 단일성 하나님은 한분이시다. 신 6:4 무한성 하나님은 제한도 종료도 없으시다. 왕상 8:27, 행 17:24 영원성 하나님은 영원하시고 끝이 없으시다. 창 21:33, 시 90:2 영성 하나님은 보이시지도 나눠질 수도 없다. 요 1:18, 딤전 1:17 불변성 하나님은 존재에 있어서 불변하시다. 말 3:6, 약 1:17 주권성 하나님은 어느 것에도 종속되지 않는 최고의 통치자이시다. 엡 1:21 전지성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신다. 시 147:4-5, 마 11:21 전능성 하나님은 모든 것을 하신다. 마 19:26, 계 19:6 편재성 하나님은 모든 곳에 계신다. 시 139:7-12, 렘 23:23-24 사랑 ..

레위기의 5대 제사

레위기의 5대 제사 레위기는 여호와께 드려야 할 5 대 제사의 규례로서 시작된다. 그런데 이러한 레위기의 시작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왜냐하면 건축된 성막의(출40:17) 주된 목적이 제사였고, 따라서 성막이 완성된 지금 그곳에서 드려질 제사의 규례가 주어지는 것은 당연한 논리요 순서이기 때문이다. 제사의 종류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5 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하고 6 대 제사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는 제사장의 위임식 때 거행하는 위임제를 여기에 포함시키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른 차이인데, 여기서는 5 대 제사만을 거론할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제사장의 위임식 때 행해진 위임제는 모든 이스라엘에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제사장의 위임에만 관련된 것으로 보고, 모든 이스라엘이 행해야 할 나머지 5 대 제사..

종말에 관한 교훈

종말에 관한 교훈 또한 너희가 이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으니 이는 이제 우리의 구원이 처음 믿을 때보다 가까웠음이라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으니 (w/ra hjdh uJma" ejx uJpnou ejgerhnai; 호라 에데 휘마스 엑스 휘프누 에게레나이) 성경 속에서 '잔다'는 개념은 곧 영적으로 침체된 상태를 가리켜 신앙의 겨울을 말한다. 바울은 이 귀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상기시켜 그가 다시 오실 날이 급히 가까웠으므로 성도는 영의 잠에서 깨어나 신앙의 경각심을 갖어야 할 것임을 촉구하고 있다. 바울이 여기서 말하는 '때'라는 (w/ra: 호라)는 세상의 끝날에 대한 지칭임에 학자들은 이견이 없다. 이 '때'가 벌써 되었다고 표현한 바울의 어구는 그리스도의 재림이 사실상..

복음서 이해

복음서 이해 1. 복음서 이해 1) 4 복음서 복음서는 신약성경 첫째 그룹에 속한 것으로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그리고 요한복음으로 나눈다. 이 4권의 책들은 모두 '복음'이라는 말로 불리는데 더 구체적으로 말해 '...가 전한 복음'이란 뜻이다. 즉 마태가 전한 복음, 요한이 전한 복음 등으로 말할 수 있겠다. 각각의 명칭은 기록자의 이름으로 한다. 2) 공관복음서 4복음서 중에서 특별히 요한복음을 뺀 나머지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을 공관복음서라 부른다. 그 이유는 각 기록자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사역을 같은 관점에서 기록했기 때문이다. 즉 각 복음서에 동일한 사역과 가르침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각 사건과 표적도 유사하다. 2. 복음서의 특징 1) 오직 하나의 복음 복음서란 복음이 기..

성도의 고난과 시험의 의미

성도의 고난과 시험의 의미 들어가기 신앙생활하면서 가장 많은 혼란과 고민에 빠지는 것이 있다면 신앙인에게 다가오는 시험과 고난이다. 이 문제로 인하여 신앙을 등지거나 깊은 영적 침체에 빠지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므로 이 문제에 대한 성경적인 명백한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이제 성도의 고난과 시험의 의미를 살피고 함께 은혜를 나누자 ​ 1. 성도에게 고난과 시험이 오는가? ​자신의 삶 가운데 고난을 당하지 않은 그리스도인은 없다. 그렇다면 모든 성도에게 이러한 고난이 오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실 이 질문은 우리들 뿐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직접 계시를 받은 선지자들에게도 동일하였다. 합 1:3, 합1:13, 렘15:18 이 질문은 모든 성도에게 있어 매우 의미심장한 질문이다. 얼마나 많은 성도들이 자신들..

여섯 종류의 사망

여섯 종류의 사망 아담이 하나님과의 계약을 파기하고 선악과를 따 먹었을 때 불순종하므로 인류 가운데 사망이 들어왔고 그렇게 들어온 사망은 점점 더 커지고 확장되어 지금 이 순간도 온 우주를 덮고 있다. 이 사망은 일반 사람들이 생각하는 육신의 죽음뿐 아니라 우리의 영혼과 우주 만물과 그 가운데 있는 공간에 이른다. 아담의 범죄는 아담 개인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모든 후손들과 동물들과 식물들과 공간까지에도 저주의 사망의 그늘을 드리웠다. 그리하여 이 땅의 모든 생명체에게 죽음을 가져왔고 땅은 저주받아 가시와 엉겅퀴를 내었고 동물들은 사나와지고 변형되고, 해충과 바이러스들이 해악을 끼치는 존재들이 된 것이다. 이러한 사망을 성경을 통하여 여섯 가지로 정리해 본다. ​ 먼저, 육체의 죽음으로서..

율법의 5가지 역할

율법의 5가지 역할 1. 통치적 역할: 율법은 피조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의로운 통치법칙이다. 내 백성이여 내게 주의하라 내 나라여 내게 귀를 기울이라 이는 율법이 내게서부터 발할 것임이라 내가 내 공의를 만민의 빛으로 세우리라(사51:4) 2. 경고적 역할: 율법은 죄가 하나님의 영광을 침해하며, 타락한 인간은 심판 아래 놓인 죄인임을 알게한다.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롬3:20) 3. 예표적 역할: 율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얻는 의를 증거한다.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구원받으라’는 말의 의미

‘구원받으라’는 말의 의미 ◈율법에서 속량 받으라 ‘구원을 받으라’는, 사실 ‘율법에서 속량(redemption, 구원)받으라’는 말에 다름 아니다. 이는 죄의 심판이 율법으로 말미암았기에(롬 7:8), 죄인이 율법에서 속량을 받으면 심판에서 구원을 받기 때문이다. 율법이 없다면 죄도 없고, 죄가 없으면 심판(죽음)도 없다. “사망아 너의 이기는 것이 어디 있느냐 사망아 너의 쏘는 것이 어디 있느냐 사망의 쏘는 것은 죄요 죄의 권능은 율법이라(고전 15:55-56)”. 그러나 ‘율법에서 속량 받는다’는 것은 ‘율법을 무시한다’거나 ‘율법을 의식하지 않는다’는 말이 아니다. 그렇게 한다고 율법이 그 사람과 무관해지지 않는다. 율법에 대한 그의 생각이 어떻든 율법은 여전히 그를 상관하여 그에게 ‘심판’을 선..

<창세기 개관> 주제, 구원사 요약, 역사, 개요

<창세기 개관> 주제, 구원사 요약, 역사, 개요 '창세기'(Genesis)라는 제목은 '기원'을 의미하는 70인역의 창세기 제목 '게네시스'를 번역한 것이다. 이제목은 매우 적합한 것이다. 왜냐하면 창세기는 모든 것의 기원 또는 시작에 대한 책이기 때문이다. 곧 창세기는 세상, 인류, 죄 및 이스라엘 백성의 기원에 대해서 알려준다. 히브리어 성경에서 창세기의 제목은 '베레쉬트'로서, '태초에'를 뜻한다. 이것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맨 첫 번째 책의 맨 첫 번째 어구('베레쉬트')를 그대로 표기한 것이다. ​ 창세기는 주전(BC) 이천 년대에 유래되었다는 것을 잘 반영해 준다. 모세는 주전 1500년대나 또는 1300년대에 살았다. 예를 들면, 홍수에 대한 이야기는 아트라하시스와 길가메시 서사시와 수메르의..

스크랩 신약성경 4복음서 알아보기

신약성경 4복음서 알아보기 복음서라 함은 신약성경 처음 부분을 이루는 마태, 마가, 누가, 요한복음을 가리키는 말로 '사복음서'(四福音書)라고도 합니다. 이중에 '마태, 마가, 누가복음'은 비슷한 관점에서 기록했다고 하여 〈공관복음서〉로 불립니다. 복음서의 주된 내용은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과 그 행적이며, 그 핵심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에서의 죽으심과 부활입니다. 복음서가 추구하는 바는, 세상의 모든 인생들에게 하나님이시요 인간으로 오신 구주 예수를 믿게 하고 그로 인해 하나님이 예비하신 복과 은혜를 누리게 함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마태, 마가, 누가, 요한 등 복음서 기자들은 각각의 고유한 시각과 시점에서 기록했는데, 이러한 고유함은 불일치와 모순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공생애와 메시지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