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665

서원이란 무엇인가?

서원이란 무엇인가? 바울은 더 여러 날 유하다가 형제들을 작별하고 배 타고 수리아로 떠나 갈쌔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도 함께 하더라 바울이 일찍 서원이 있으므로 겐그레아에서 머리를 깎았더라. (행 18:18) 1. 시작하는 말 한국교회는 한동안 부흥의 황금기를 맞이하여 교회가 급성장하는 시절이 있었다. 성령운동이라 해서 교회마다 부흥의 불길이 타오를 때가 있었을 뿐 아니라, 수려한 산기슭 마다 세워진 기도원에서 열리는 부흥회가 끊일 줄을 모르고 대성황을 이루는 시절이 있었다. 그 시절 소위 부흥사들이나 은혜를 충만히 받았다는 열성 있는 성도들에게서 자주 들을 수 있었던 말 중에 하나가 ‘서원’이라는 말이다. 대부분의 부흥사들이나 교회 지도자들은 사명자가 되거나 축복을 받으려면 하나님께 ‘서원’을 해야 한다고..

그리스도인(christian)에 대한 이해

그리스도인(christian)에 대한 이해 1. 그리스도인(christian). 교회의 머리되신 그리스도를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로 믿고(벧전4:16;마16:16), 그 분을 생명의 구세주로 자신의 중심에 모신 사람을 말한다(롬8:9). '그리스도인'이란 단어가 최초로 쓰인 곳은 안디옥이었다(행11:26).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구원하기로 미리 작정하시고, 뽑으시고, 부르셔서, 의롭다고 칭하셨다. 그래서 그리스도인을 하나님께서 ‘자기 피로 사신’ 소유(행20:28)라고 말한다. 또는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분이라고 말한다(고전12:27;엡1:23). "만나매 안디옥에 데리고 와서 둘이 교회에 일년간 모여 있어 큰 무리를 가르쳤고 제자들이 안디옥에서 비로소 그리스도인이라 일컬음을 받게 되었더라”(행11:2..

성경을 이해하기 위한 4가지 요소

성경을 이해하기 위한 4가지 요소 성경의 전체적인 구조, 혹은 틀을 이해하기 위해서 4가지를 알아야 합니다. ①하나님의 창조목적과 계획 ②하나님의 언약 ③구속사 ④예수 그리스도 어느 하나로만이 아니고, 서로 분리할 수 없이 모두 연결해서 이해하고 있어야만 합니다. 덧 붙여서 이스라엘의 역사와 지리도 중요하고, 일반역사나 성경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도 어떤 경우에는 오히려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물론 성경을 믿고 알고, 알고 믿기 위해서는 저자이신 성령님의 도우심과 조명이 첫째입니다. 우선 하나님의 창조목적과 계획이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나라 완성이라면 구속사는 결국 역사라는 무대와 시간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구속사의 주인공이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알수가 있으며 성경, 즉 구약은 예수 그리스도가 오실..

사도행전은 어떤 책인가

사도행전은 어떤 책인가 사도행전은 신약성서의 다섯 번째 책입니다. 예수께서 하늘로 승천하신 후의 초기 기독교 교회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 책은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우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 및 기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활동을 기술합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사도 베드로와 요한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부분은 사도 바울에 관한 것입니다. ​ 베드로와 바울의 사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사도행전 내용 가운데 베드로의 사역은 주로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에 있는 유대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고, 바울의 사역은 로마 제국 전역의 이방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사도행전은 2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장까지는 예수가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만난 사건과 바울이 예수를..

야고보서 서론

야고보서 서론 야고보서는 공동서신의 하나로서 신약성경 중에서 가장 유대교적인 서신이다. 야고보서는 그리스도에 대한 두세 번의 언급을 제외한다면 차라리 구약에 적합한 책이다. 야고보서가 권면하는 생활은 모든 면에 있어서 율법을 준수하는 아주 경건한 유대인의 생활이다. 사실 야고보서에 대한 평가는 이외에도 매우 혹독한 비난만이 난무할 뿐이다. 예를 들어 '루터'(Luther)는 야고보서를 '지푸라기 서신'이라고 혹평하였다. 물론 그는 야고보서와 바울서신간의 화해할 수 없는 갈등을 발견하고, 특히 바울의 '오직 믿음'의 교리에 배치되는 서신이라고 평가하였는데, 그의 혹평은 바로 이 갈등에 기인한다. 그러나 야고보서와 바울서신 사이에는 어떤 상충점도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상호 보완적이라는 견해가 최근에 대두되..

레위기 요약(정리, 내용, 대제사장, 제사장 아론 등)

레위기 요약(정리, 내용, 대제사장, 제사장 아론 등) 레위기 레위기는 구약성서의 제3부인 레위기서의 한 챕터로, 제7장에서 제20장까지 어어지는 긴 말씀입니다. 이 챕터는 제사장들의 의무와 제사의 종류, 그리고 이를 행하는 방법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레위기는 이스라엘 제사장들이 하나님 앞에서 제사를 드리는 방법과 그 제사의 종류, 그리고 제사장들이 지켜야 할 규율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의 제사와 제사장들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그들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어떤 제사를 드려야 하는지를 가르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레위기는 또한 이스라엘의 성결과 깨끗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과 규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말씀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

야고보서의 저자

야고보서의 저자 신약성서에서 사도행전과 바울의 여러 서신을 통해 초대교회의 역사를 살펴보았고, 다음은 예수님의 제자들 중에서 수제자라 할 수 있는 베드로의 행적 그리고 베드로전서와 후서를 통해 초대교회의 역사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예수님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다는 사도 요한 과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요한계시록을 살펴보았다. 이제는 신약성서에 나오는 야고보서와 그 저자로 알려진 야고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야고보서의 저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굉장히 난해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왜냐하면 신약 성경에 등장하는 “야고보”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은 총 3명이며, 성경이 누구를 집어서 야고보서의 저자라고 말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중 누가 야고보서의 저자인가를 알기 우해서는 철저..

히브리서 서론

히브리서 서론 한글 개역 성경에서 히브리서는 바울의 13개 서신들과 공동서신들 사이에 위치하며, KJV를 비롯한 영역 성경에서도 이 순서는 같다. 불가타(Vulgata)에서도 같은 순서로서 신약성경의 19번째 책으로 수록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헬라어 사본에서는 데살로니가후서와 디모데전서 사이에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히브리서는 비록 서신이라 불리지만 저자의 이름이나 수신인도 나타나지 않으며, 기록상의 어떤 특별한 동기나 목적도 발견되지 않는다. 히브리서는 처음부터 본격적인 신학적 논문으로 시작되지만 인사말로 종결짓는다. 따라서 본 서신에는 어떤 규칙도 발견되지 않는다. 때문에 본 서신은 바울서신에서 제외되었으며, 구성과 내용, 형식과 목적, 저자, 수신지, 기록 연대 등에 대한 많은 의혹을 사고 있다..

갈라디아서 서론

갈라디아서 서론 갈라디아서는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보낸 서신으로서 그 중요성에서 훨씬 더 긴 로마서나 고린도서에 필적한다. 그래서인지 많은 학자들은 본 서신을 가리켜 '짧은 로마서'라고 부른다(Luther, Duncan, Cartledge, Thiessen, Tenney, Allan, Barclay). 사실 연대적으로 살펴볼 때 로마서는 갈라디아서를 확대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모두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교리와 사랑의 복음은 결실인 윤리적 명령을 대담하게 가르쳤다. 한편 갈라디아서는 종교개혁자들에게 성경적 진리의 자유와 부흥의 선언서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루터'는 갈라디아서에서 자신의 신앙과 생활을 위한 힘과 개혁 사업을 위한 튼튼한 병기를 발견하였..

바울서신 서론

바울서신 서론 신약성경에서 저자를 바울로 칭하는 서신들(Epistles)은 모두 13개이다. 정경화 과정에서 히브리서는 처음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고 동방 정교회에서, 그리고 4세기 이후에는 서방 교회에서도 바울서신으로 생각하였지만, 최근에 와서 바울의 기록으로 보는 학자는 드물다. 또한 목회서신, 곧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는 바울서신 중에서도 특수한 부류에 속한다. 그리고 옥중서신, 곧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등은 바울이 수감되어 있는 동안에 기록되었다. 그런데 수신자별로 분류해 본다면 빌레몬서와 목회서신들을 제외한 모든 바울서신들은 초대교회 공동체에 보내어진 것들이다. 한편 이들 바울서신들에 대한 극심한 비평이 19세기 초 이후 튀빙겐 학파(Tuebingen School)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