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678

히브리서 서론

히브리서 서론 한글 개역 성경에서 히브리서는 바울의 13개 서신들과 공동서신들 사이에 위치하며, KJV를 비롯한 영역 성경에서도 이 순서는 같다. 불가타(Vulgata)에서도 같은 순서로서 신약성경의 19번째 책으로 수록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헬라어 사본에서는 데살로니가후서와 디모데전서 사이에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히브리서는 비록 서신이라 불리지만 저자의 이름이나 수신인도 나타나지 않으며, 기록상의 어떤 특별한 동기나 목적도 발견되지 않는다. 히브리서는 처음부터 본격적인 신학적 논문으로 시작되지만 인사말로 종결짓는다. 따라서 본 서신에는 어떤 규칙도 발견되지 않는다. 때문에 본 서신은 바울서신에서 제외되었으며, 구성과 내용, 형식과 목적, 저자, 수신지, 기록 연대 등에 대한 많은 의혹을 사고 있다..

갈라디아서 서론

갈라디아서 서론 갈라디아서는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보낸 서신으로서 그 중요성에서 훨씬 더 긴 로마서나 고린도서에 필적한다. 그래서인지 많은 학자들은 본 서신을 가리켜 '짧은 로마서'라고 부른다(Luther, Duncan, Cartledge, Thiessen, Tenney, Allan, Barclay). 사실 연대적으로 살펴볼 때 로마서는 갈라디아서를 확대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모두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교리와 사랑의 복음은 결실인 윤리적 명령을 대담하게 가르쳤다. 한편 갈라디아서는 종교개혁자들에게 성경적 진리의 자유와 부흥의 선언서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루터'는 갈라디아서에서 자신의 신앙과 생활을 위한 힘과 개혁 사업을 위한 튼튼한 병기를 발견하였..

바울서신 서론

바울서신 서론 신약성경에서 저자를 바울로 칭하는 서신들(Epistles)은 모두 13개이다. 정경화 과정에서 히브리서는 처음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고 동방 정교회에서, 그리고 4세기 이후에는 서방 교회에서도 바울서신으로 생각하였지만, 최근에 와서 바울의 기록으로 보는 학자는 드물다. 또한 목회서신, 곧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는 바울서신 중에서도 특수한 부류에 속한다. 그리고 옥중서신, 곧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등은 바울이 수감되어 있는 동안에 기록되었다. 그런데 수신자별로 분류해 본다면 빌레몬서와 목회서신들을 제외한 모든 바울서신들은 초대교회 공동체에 보내어진 것들이다. 한편 이들 바울서신들에 대한 극심한 비평이 19세기 초 이후 튀빙겐 학파(Tuebingen School)에..

믿음이란 무엇인가? (믿음의 뜻과 의미)

믿음이란 무엇인가? (믿음의 뜻과 의미) 믿음 (Faith, Faithfulness) 1.히브리어로는 ‘헤에민’, ’바타흐’, ’하싸’ '아만 '이다. ●‘헤에민’은 '확증하다', '지지하다'의 의미이다 (사 7:9; 합 2:4; 시 78:22). ● ‘바타흐’는 ‘속마음을 터놓다', '의지하다', '신뢰하다' (시 25:2), ‘확신하다’(사 12:2), ‘신임하고 기대하다’(시 4:6)는 뜻이다. ● ‘하싸’는 피난처를 구하다의 뜻이다(시 57:1, 2:12, 25:20). ● '아만'이다. 원뜻은 ‘견고하다’, ‘안정되다’, ‘영구적이다’, ‘확실하다’, ‘틀림없다’로서, ‘믿고 의지(의뢰)하며 소망함’(민 12:7; 사 8:2), ‘확실하고 틀림없는 것’(호 5:9), ‘영속적이고 불변한 것’(시..

칭의(의로다 하심)에 대한 이해

칭의(의로다 하심)에 대한 이해 1) 칭의 어원 (1) 구약의 [히츠띠크=의롭다함]는 대다수의 경우에서 사람의 신분이 율법의 요구에 조화된다는 것을 재판적으로 선고함을 의미한다(출23:7;신25:1;잠17:15;사5:23). (2) 신약의 [디카이오=의롭다 한다]는 구약의 [히츠띠크]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사람을 의롭다고 선언함'이라는 뜻이다. 2) 칭의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에게 전가(轉嫁)시켜 죄인에 대한 모든 요구가 완전히 만족된 것을 선언하시는 하나님의 재판적 행위이다. 의롭다 하심은 하나님의 의로우심(시89:16;롬1:16-17)과, 그 기쁘신 뜻(롬8:30)과, 하나님의 사랑(요3:16-17)에 의거하여 은혜로 정하신 것인데, 저가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

양자에 대한 이해

양자에 대한 이해 양자(養子, adoption) 1) 양자(養子, adoption)의 의미 죄 아래 매였던 사람을(마3:7;요8:44;엡2:3)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자기(自己)의 구주(救主)로 믿는 자들에게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확고(確固)한 지위(地位)와 특권(特權)을 주시는 것이다(요1:12;롬8:17). 양자로 삼는 것이 무엇인가?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로 정하신 것인데 이로써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의 수효 중에 들게 하시고 그 모든 특권을 누리게 하시는 것이다(요일3:1,2;요1:12;롬8:17). 2) 성경의 근거 성부의 영원 전 선택에 의하여(엡1:5) 약속에 따라(롬9:8;갈3:29;엡3:6) 성자의 대속으로(요1:12,3:3-5,16;갈4:4-5;엡1:5;히2:10,11,12) 삼위일체 ..

견인에 대한 이해

견인에 대한 이해 견인(堅忍, perserverance) 1) 견인(堅忍, perserverance)의 의미 성부에 의하여 선택되어 한 번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성화의 과정에서 일시적 방황은 있을 수 있으나 멸망하지 않고 결국 구원에 이르게 됨을 말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일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써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과 중보 사역을 절대 신뢰하는 데 그 출발점을 둔다(요10:27-29;롬11:29;빌1:6) 2) 성경의 근거 (1) 주께서 너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끝까지 견 고케 하시리라(고전1:8) (2) 예수께서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요13:1) (3) 저(예수)가 한 제물로 거룩하게 된 자..

고린도전서의 배경

고린도전서의 배경 고린도전서 1. 들어가는 말 고린도서신을 보다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린도교회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통해서 고린도서신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배경을 탐구하지 않고서는 고린도서신을 정확히 분석할 수 없다. (독자로서의) 우리는 바울로부터 직접 그가 고린도서를 쓰면서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를 물을 수도 없고 그의 답변을 들을 수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가 본문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린도 교회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탐구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시 말해, 1세기 고린도교회의 사회-문화적 콘텍스트에서 고린도서가 의미했던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현대 교회의 사회-문화적 콘텍스트에서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요한복음 서론

요한복음 서론 '메릴 테니'(Merrill Tenney)는 요한복음을 이르러 '성경 4복음서 중에서 가장 독특하면서도 가장 가치 있는 복음'이라고 하였다. 그만큼 요한복음은 다른 공관복음과는 다른 독자적 노선을 가진 특징적 요소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공관복음에서와는 좀 다른 서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요한복음에서는 비유에 관한 기사들이 거의 없으며, 이적 기사도 몇몇 개만을 기록하고 있다. 또 공관복음서들은 하나님 나라의 가르침을 주로 말하고 있는 반면에 요한복음에서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그 믿음의 의미와 예수와 특정한 인물들의 대화 속에서 기독론을 중심한 여러 신학적 주제들을 개념적으로 잘 정리하고 있다. 그래서 흔히 제4복음서로 불리는 본서는 신약성경의 그 어떤 책보다도 초기 기독교 사상에 ..

바울의 옥중서신 -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바울의 옥중서신 -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옥중서신은 무엇인가? "옥중서신"은 일반적으로 사도 바울이 로마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있을 때 쓴 네 통의 편지를 가리킨다.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등 네 편의 서신은 특정 교회, 또는 빌레몬의 경우 개인에게 보낸 것이며, 바울은 1세기 기독교인과 교회의 특정한 필요를 다루기 위해 각 서신을 썼지만, 옥중 서신의 메시지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여전히 영향력 있고 교훈적인 성경이라 할 수 있다. 서신이란 무엇인가? "서신"이라는 단어는 "편지" 또는 "메시지"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epistole에서 파생되었다. 1세기의 서한은 단순한 개인적인 서신이 아니라, 흔히 더 교훈적인 내용이었으며, 일반적으로 교사나 지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