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894

장 유다의 마지막 왕

장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는 그의 치세의 시초에 바벨론 왕에게 충분한 신임을 받았고 선지자 예레미야를 믿을 만한 고문으로 삼았다. 바벨론 사람을 존경하는 노선을 따르고 예레미야를 통하여 하신 여호와의 말씀에 귀를 기울임으로 시드기야는 고위층에 있는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을 수 있었고 그들에게 참 하나님께 대한 지식을 전달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그로 인하여 이미 바벨론에 사로 잡혀 간 포로들은 유리한 위치에 처하여 많은 자유를 누릴 수 있었으며 하나님의 성호는 널리 영광을 받을 수 있었다. 유다 땅에 남아 있는 사람들도 그들에게 마지막으로 닥쳐올 무서운 재난들을 피할 수 있었다. 예레미야를 통하여 시드기야와 온 유다와 바벨론으로 잡혀간 사람들까지도 저희 정복자들의 일시적인 지배에 조용히 복종하라..

사도 바울과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로마서

사도 바울과 로마인들에게 보낸 편지 로마서 사도 바울 사도 바울(Paul, 고대 그리스어: Παῦλος 파울로스, 라틴어: Paulus 파울루스)는 초기 기독교의 사도로, 신약성경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는 바울서신을 저술한 인물이다.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따르면 그는 예수를 믿는 자들을 앞장서서 박해하였으나, 예수의 음성을 들은 이후 회심하여 이후 기독교의 초기 신앙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회심하기 전의 이름은 왕의 이름인 '요청받은 자'라는 뜻의 '사울'(שָׁאוּל)이었다. 고대 로마의 속주였던 소아시아 키리키아 지방(길리기아, 현재의 튀르키예)의 중심 도시 타르수스(다소) 출신이다. 사도 바울의 행적 연대 (주후) 성경구절 사역내용 장소 성경집필 5년 길리기아 다소 출생 16-2..

네 종류의 짐승에 담긴 교훈

네 종류의 짐승에 담긴 교훈 보라 내가 너희를 보냄이 양을 이리 가운데 보냄과 같도다 그러므로 너희는 뱀 같이 지혜롭고 비둘기 같이 순결하라’ ​ 사람들은 구원은 그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말하지만 성경은 우리가 보내심을 받기 위해 구원을 얻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 구원 자체에 의미를 두고자 하는 것은 순전히 사람본위의 견해이며 하나님조차 자신을 섬겨야 한다고 믿는 이기심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들에게 하나님이란 감상적이고 도구적인 존재일 뿐입니다. ​ 주님은 그들을 보내셔서 하나님을 나타내시기를 원하셨습니다. 제자들을 향해 적대적이고 위협적인 세상임을 걱정하시면서도 그들을 굳이 보내기를 마다하지 않으셨습니다. ​ 그들은 자기 자원으로 하나님을 변호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다만, 그들에게 주신 것으로 하나..

구약 성경이란 무엇인가?

구약 성경이란 무엇인가? 구약 성경은 성경 전서의 처음 부분이다. 구약 성경은 지금으로부터 약 3500년 전부터 약 천년의 세월에 걸쳐서 선지자와 왕, 제사장들에 의하여 기록된 39권의 단편들의 모음이다. 이 단편들의 기록자는 모두 히브리인들이었으며, 그들은 일부(에스라 4:8-6:19; 7:12-27, 예레미야 10:11, 다니엘 2:4하반절-7:28은 아람어로 기록되었음)를 제외하고는 히브리어로 구약을 기록하였다. 지금과 같은 하나의 묶음으로서의 구약 성경은 1388년의 위클리프가 구약을 번역하므로 처음 등장하였으며, 인쇄가 되어 보급되기로는 1535년 커버데일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1세기경의 유대인 역사가인 요세푸스는 구약 성경을 22권으로 보았다. 그렇다고 구약 성경의 내용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

신약 정경의 기준

신약 정경의 기준 아래의 다섯 가지 조건에 부합이 되는 책들이 신약 정경에 포함되었습니다. *사도성(apostolicity): 만일 어떤 저술이 사도에 의해서 기록되었다고 믿어진다면 그 책은 정경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정통성(orthodoxy): 비록 사도들의 저작이 아니라 할지라도 그 내용의 사실 여부와 품격에서 사도들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며, 사도들의 후계자를 통해 교회 안에서 전승된 것이라면 정경으로 인정되었습니다. *고대성(antiquity): 사도시대에 기록된 책이어야 했습니다. *보편성(catholicity): 정경으로 인정받으려면 교회의 예배와 가르침에 널리 사용되어야 했습니다. *영감성(inspiration): 어떤 저술이 영감에 의해 저술되었는지 알아내기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

사도행전은 어떤 책인가

사도행전은 사도행전은 신약성서의 다섯 번째 책입니다. 예수께서 하늘로 승천하신 후의 초기 기독교 교회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 책은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우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 및 기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활동을 기술합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사도 베드로와 요한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부분은 사도 바울에 관한 것입니다. ​ 베드로와 바울의 사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사도행전 내용 가운데 베드로의 사역은 주로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에 있는 유대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고, 바울의 사역은 로마 제국 전역의 이방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사도행전은 2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장까지는 예수가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만난 사건과 바울이 예수를 만나고 회심..

예수님은 왜 로마 시대에 태어나셨나요?

예수님은 왜 로마 시대에 태어나셨나요?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갈 4:4). 이 구절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분의 아들을 “때가 차매” 보내셨다고 선언합니다. 서기 1세기가 되니 적어도 사람이 보기에는 그리스도께서 오시기에 이상적인 많은 일들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 1) 그 당시 유대인 사이에는 메시아가 오실 것이라는 큰 기대가 있었습니다.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의 압제 때문에 메시아가 오시기를 간절히 고대하고 있었습니다. ​ 2) 로마 제국의 통치는 다양한 지역에 일체감을 부여하면서 세계의 많은 부분을 통합시켰습니다. 또한 제국이 비교적 평화로웠고 여행이 가능했기 때문에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그러한 ..

사울이 바울이 된 이유

사울이 바울이 된 이유 사울의 회심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는 사항이 하나 있다. 그것은 이 회심 사건을 기점으로 그의 이름이 사울에서 바울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도행전에서 이 부분까지는 사울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지만 그다음부터는 바울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궁금해한다. 사울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고 나서 인생이 완전히 바뀌었는데 이런 극적 변화를 그런 이름의 변화로 표현한 것일까? 아니면 다른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일까? ​ 우선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있다. 그것은 사도행전에서 바울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된 것은 사도행전 9장의 바울의 회심 직후가 아니라, 바울이 1차 전도여행을 하는 중간인 13:9절이라는 사실이다. 사도행전 9장은 사울이 ..

성경 속에 나타난 죄의 종류

성경 속에 나타난 죄의 종류 1. 원죄(Original sin) 이 죄는 아담과 그의 아내 하와가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지은 불순종의 죄입니다. 이죄는 에덴동산에서 다시 말하면 천국에서 인간이 지은 최초의 죄입니다. 그러면 그 당시에 아담과 하와는 대체 무슨 죄를 저질렀습니까? 지금 우리가 보기에는 아담은 살인하지 않았고 흉악하고 추악한 죄를 범하지도 않았습니다. 그저 먹으면 죽으니 따먹지 말라는 선악나무의 과실을 따먹었을 뿐입니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가 범한 이 죄는 그들과 하나님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고리를 끊어버리는 엄청난 문제를 가져왔던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은 피조물인 아담이 자기 위치에서 순종하기를 바라셨지만 아담은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주신 것이 최상의 것이라는 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하나님..

율법과 예수 그리스도 (마 5:17~20)

율법과 예수 그리스도 (마 5:17~20) 율법은 하나님의 가르침이다 우리말로 번역된 율법을 히브리어로 “토라(תּוֹרָה)” 라고 합니다. 어근 야라(ירה)의 파생명사로, 기본적으로 '가르침'과 '교훈'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토라의 뜻은 '인도'(guidance), '교훈' (instruction), '명령' 혹은 '법'이라는 의미입니다. 모세오경(모세五經, תּוֹרַת־מֹשֶׁה) 창, 출, 레, 민, 신명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신약의 헬라어로는 '노모스'(νομος)인데, 일반적으로 구약의 모세 5경을 가리킨다. 그러나 율법과 율법주의는 엄연히 다르다. 율법은 하나님의 말씀 그 자체를 의미하고, '율법주의'는 인간이 자기들의 원하는 방향에서만 율법을 해석하고, 그렇게 행동하는 성향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