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900

잃어버린 열 지파: 누가 유대 민족인가?

잃어버린 열 지파: 누가 유대 민족인가? ​ ​ 현대 이스라엘을 부정하는 것은 성경 속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대체신학(Replacement Theology)’이라고 불리는 이 이론은 타나크(Tanakh, 구약)에 나오는 이스라엘에 대한 모든 약속들을 교회로 이양시키고 하나님의 경륜에 따라 교회가 이스라엘을 대신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스라엘에 대한 말씀은 알레고리적 해석(allegorical interpretation, 성경을 문자 그대로가 아닌 비유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으로 이해하는 반면, 그들의 목적에 부합하는 말씀에 대해서는 문자 그대로 해석(literal interpretation)하여 받아들입니다. 구원에 대한 모든 말씀은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유독 ..

예수와 유대교 4대 종파 비교

예수와 유대교 4대 종파 비교 (바리새파, 사두개파, 열심당, 에센파) 예수와 유대교 예수는 유대인으로서 유대교의 전통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예수를 이해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예수와 유대교의 관계를 조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과제이다. 버미스(G. Vermes)를 비롯한 일부 신약성서학자들은 유대인으로서 예수를 새롭게 조망하려고 한다. 이들은 예수와 유대교의 차이점보다도 그 공통점을 더 강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다음 몇 가지 이유로 그 문제점이 드러난다. 첫째로 예수 시대의 유대교는 아주 다양하였다는 점이다. 요세푸스는 「유대전쟁사」와 「유대고대사」에서 예수 시대를 전후하여 유대교 내에는 적어도 대표적인 4대 종파(hairesis) 즉 사두개파, 바리새파, 에센파, 열심당이 ..

아바 아버지 하나님

아바 아버지 하나님 하나님의 마음을 아는 것( 고전 2:11)(막 14:36/ 롬 8:15/ 갈 4:6) 하나님을 기다리시는 아버지라고 할 때, 유의할 점은 그분이 지니신 사랑과 용서의 태도가 결코 연약하거나 쉽게 지배당함을 의미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누구보다도 강하시고 능력있는 분이시다. 그분의 사랑에는 엄청난 힘이 있다. 그분이 죄를 싫어하시는 마음은 두 마음을 품은 자들을 결코 참지 않으시는 것으로써 나타난다. 그러나 하나님은 당신의 긍휼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끝없는 긍휼을 베푸신다. 하나님은 우리 중심을 보시며 우리 내면의 생각을 알고 계신다. 성경은 기다리시고 계시는 아버지의 성품을 여러 면에서 묘사하고 있다. 성경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하나님의 성품은 다음과 같다. 1.창조주(Creat..

거룩에 관한 성경연구(엡4:24)

거룩에 관한 성경연구(엡4:24) 에베소서 4장 24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데살로니가전서 3장 13 너희 마음을 굳게 하시고 우리 주 예수께서 그의 모든 성도와 함께 강림하실 때에 하나님 우리 아버지 앞에서 거룩함에 흠이 없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데살로니가전서 4장 3 하나님의 뜻은 이것이니 너희의 거룩함이라 곧 음란을 버리고 4 각각 거룩함과 존귀함으로 자기의 아내 취할 줄을 알고 1. 거룩과 관련된 하나님의 명령 1) 거룩할 것(레11:44,45, 레19:2, 레20:26, 민15:40, 고후7:1, 살전4:3,4,7) 2) 완전할 것(창17:1, 신18:13) 3) 성결할 것(사52:1, 사52:11) 4) 공의와 겸손으로 행할 것(미6:8, 습2:3)..

신약성경 마지막 책 요한계시록

신약성경 마지막 책 요한계시록 요한계시록/요한의 묵시록(그리스어: ἀποκάλυψις ἀπο, 라틴어: Apocalypsis Beati Joannes Apostoli, 영어: Book of Revelation, 개신교: 요한계시록(―啓示錄), 가톨릭: 요한묵시록(―默示錄)은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으로, 유일한 예언서입니다. 계시록으로 줄여 부르기도 합니다. 예수님의 계시록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책 서두에 소개하고 있는 요한입니다 요한 복음과 요한 서신들을 기록한 예수님이 사랑하셨던 제자 요한을 가리킬 수도 있고, 유대인 그리스도인 예언자로서 순회하며 초대 교회에서 가르쳤던 다른 요한일 수도 있는데요 어느 요한이든 그는 서두에서 이 책의 저자를 요한이라고 분명히 밝힙니다 먼저 그는 이 책을 계시 또는 묵시라고..

옥중서신 -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옥중서신 -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옥중서신은 무엇인가? "옥중서신"은 일반적으로 사도 바울이 로마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있을 때 쓴 네 통의 편지를 가리킨다.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등 네 편의 서신은 특정 교회, 또는 빌레몬의 경우 개인에게 보낸 것이며, 바울은 1세기 기독교인과 교회의 특정한 필요를 다루기 위해 각 서신을 썼지만, 옥중 서신의 메시지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여전히 영향력 있고 교훈적인 성경이라 할 수 있다. 서신이란 무엇인가? "서신"이라는 단어는 "편지" 또는 "메시지"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epistole에서 파생되었다. 1세기의 서한은 단순한 개인적인 서신이 아니라, 흔히 더 교훈적인 내용이었으며, 일반적으로 교사나 지도자로 여겨..

사도행전은 어떤 책인가

사도행전은 어떤 책인가 사도행전은 사도행전은 신약성서의 다섯 번째 책입니다. 예수께서 하늘로 승천하신 후의 초기 기독교 교회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 책은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우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 및 기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활동을 기술합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사도 베드로와 요한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부분은 사도 바울에 관한 것입니다. ​ 베드로와 바울의 사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사도행전 내용 가운데 베드로의 사역은 주로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에 있는 유대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고, 바울의 사역은 로마 제국 전역의 이방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사도행전은 2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장까지는 예수가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만난 사건과 바..

야곱의 자녀들과 이스라엘 12지파

야곱의 자녀들과 이스라엘 12지파 야곱의 자녀들 야곱은 고향을 떠나 하란(Haran)에서 20년동안 외삼촌 곧, 어머니 리브가의 오라버니인 라반의 집에서 일했습니다. 라반에게는 두 딸이 있었는데 첫째딸은 레아(Leah)이고 둘째딸은 라헬(Rachel)입니다. 야곱은 인물이 좋았던 동생 라헬을 사랑했습니다. 야곱은 외삼촌 라반에게 7년동안 일해 줄 테니 동생 라헬을 달라고 요청합니다. 라반은 승낙했습니다. 야곱은 약속한 7년 동안 열심히 라반을 위해 일했고 마침내 라헬과의 결혼을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라반은 잔치를 베푼 다음 밤에 야곱의 방에 라헬이 아닌, 레아를 들여 보냅니다. 야곱은 라반에게 속았다는 것을 알고 항의합니다. 라반은 큰 딸을 시집보내지 않고 작은 딸을 먼저 보내는 것은 있을수 없다면서 7..

기독교 기본교리.구원의 확신과 구원의 3단계

기독교 기본교리.구원의 확신과 구원의 3단계 A. 구원의 확신 1. 구원 전의 상태(죄인) (1) 만물보다 거짓된 마음으로 죄를 물먹듯 먹고 마시는 가운데 하나님의 생명과 영광에서 멀리 떠나 있을 뿐 아니라 하나님과 원수가 되어 있음. (렘17:9) 만물보다 거짓되고 심히 부패한 것은 마음이라 누가 능히 이를 알리요마는 (엡4:18) 저희 총명이 어두워지고 저희 가운데 있는 무지함과 저희 마음이 굳어짐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생명에서 떠나 있도다 (2) 허물과 죄로 말미암아 영혼이 죽어있고 사탄의 권세아래서 죄의 종노릇하고 있음. (엡2:1-3) 너희의 허물과 죄로 죽었던 너희를 살리셨도다 그 때에 너희가 그 가운데서 행하여 이 세상 풍속을 좇고 공중의 권세 잡은 자를 따랐으니 곧 지금 불순종의 아들들 가..

유대교의 경전과 기독교의 정경

유대교의 경전과 기독교의 정경 “베레쉬트 바라 엘로힘 에트 하샤마임 베에트 하아레츠 ( 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베레쉬트(태초에), 바라(그가 창조하였다), 엘로힘(하나님), 에트(을), 하샤마임(그 하늘), 뵈에트(그리고), 하아레쯔(그 땅을). “태초에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이와 같이 시작하고 있는 성서(구약 성서)는, 유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성서와 기독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구약 히브리 성서는 약간의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편집되어진 순서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기독교의 구약 성서에 해당하는 유대교의 성서(경전)는 “타나크(히브리어: תנ”ך Tanakh)”라고 불리는데 이 와 같이 불리는 것은 경전을 구성하는 세 분류명 ( תורה 토라, נב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