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900

신약 정경의 기준

신약 정경의 기준 아래의 다섯 가지 조건에 부합이 되는 책들이 신약 정경에 포함되었습니다. *사도성(apostolicity): 만일 어떤 저술이 사도에 의해서 기록되었다고 믿어진다면 그 책은 정경으로 받아들여졌습니다. *정통성(orthodoxy): 비록 사도들의 저작이 아니라 할지라도 그 내용의 사실 여부와 품격에서 사도들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며, 사도들의 후계자를 통해 교회 안에서 전승된 것이라면 정경으로 인정되었습니다. *고대성(antiquity): 사도시대에 기록된 책이어야 했습니다. *보편성(catholicity): 정경으로 인정받으려면 교회의 예배와 가르침에 널리 사용되어야 했습니다. *영감성(inspiration): 어떤 저술이 영감에 의해 저술되었는지 알아내기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

사도행전은 어떤 책인가

사도행전은 사도행전은 신약성서의 다섯 번째 책입니다. 예수께서 하늘로 승천하신 후의 초기 기독교 교회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 책은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고 교회를 세우는 사도 베드로와 바울 및 기타 초기 그리스도인들의 활동을 기술합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부분은 사도 베드로와 요한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부분은 사도 바울에 관한 것입니다. ​ 베드로와 바울의 사역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사도행전 내용 가운데 베드로의 사역은 주로 예루살렘과 사마리아에 있는 유대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고, 바울의 사역은 로마 제국 전역의 이방인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사도행전은 28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2장까지는 예수가 제자들과 마지막으로 만난 사건과 바울이 예수를 만나고 회심..

예수님은 왜 로마 시대에 태어나셨나요?

예수님은 왜 로마 시대에 태어나셨나요? “때가 차매 하나님이 그 아들을 보내사 여자에게서 나게 하시고 율법 아래에 나게 하신 것은”(갈 4:4). 이 구절은 하나님 아버지께서 그분의 아들을 “때가 차매” 보내셨다고 선언합니다. 서기 1세기가 되니 적어도 사람이 보기에는 그리스도께서 오시기에 이상적인 많은 일들이 발생하고 있었습니다. ​ 1) 그 당시 유대인 사이에는 메시아가 오실 것이라는 큰 기대가 있었습니다. 유대인들은 로마 제국의 압제 때문에 메시아가 오시기를 간절히 고대하고 있었습니다. ​ 2) 로마 제국의 통치는 다양한 지역에 일체감을 부여하면서 세계의 많은 부분을 통합시켰습니다. 또한 제국이 비교적 평화로웠고 여행이 가능했기 때문에 초대 그리스도인들은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그러한 ..

사울이 바울이 된 이유

사울이 바울이 된 이유 사울의 회심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는 사항이 하나 있다. 그것은 이 회심 사건을 기점으로 그의 이름이 사울에서 바울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도행전에서 이 부분까지는 사울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지만 그다음부터는 바울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그렇게 되었는지를 궁금해한다. 사울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나고 나서 인생이 완전히 바뀌었는데 이런 극적 변화를 그런 이름의 변화로 표현한 것일까? 아니면 다른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일까? ​ 우선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있다. 그것은 사도행전에서 바울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된 것은 사도행전 9장의 바울의 회심 직후가 아니라, 바울이 1차 전도여행을 하는 중간인 13:9절이라는 사실이다. 사도행전 9장은 사울이 ..

성경 속에 나타난 죄의 종류

성경 속에 나타난 죄의 종류 1. 원죄(Original sin) 이 죄는 아담과 그의 아내 하와가 하나님의 말씀을 거역하고 지은 불순종의 죄입니다. 이죄는 에덴동산에서 다시 말하면 천국에서 인간이 지은 최초의 죄입니다. 그러면 그 당시에 아담과 하와는 대체 무슨 죄를 저질렀습니까? 지금 우리가 보기에는 아담은 살인하지 않았고 흉악하고 추악한 죄를 범하지도 않았습니다. 그저 먹으면 죽으니 따먹지 말라는 선악나무의 과실을 따먹었을 뿐입니다. 그러나 아담과 하와가 범한 이 죄는 그들과 하나님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고리를 끊어버리는 엄청난 문제를 가져왔던 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은 피조물인 아담이 자기 위치에서 순종하기를 바라셨지만 아담은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주신 것이 최상의 것이라는 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하나님..

율법과 예수 그리스도 (마 5:17~20)

율법과 예수 그리스도 (마 5:17~20) 율법은 하나님의 가르침이다 우리말로 번역된 율법을 히브리어로 “토라(תּוֹרָה)” 라고 합니다. 어근 야라(ירה)의 파생명사로, 기본적으로 '가르침'과 '교훈'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토라의 뜻은 '인도'(guidance), '교훈' (instruction), '명령' 혹은 '법'이라는 의미입니다. 모세오경(모세五經, תּוֹרַת־מֹשֶׁה) 창, 출, 레, 민, 신명기를 가리키는 말이다. 신약의 헬라어로는 '노모스'(νομος)인데, 일반적으로 구약의 모세 5경을 가리킨다. 그러나 율법과 율법주의는 엄연히 다르다. 율법은 하나님의 말씀 그 자체를 의미하고, '율법주의'는 인간이 자기들의 원하는 방향에서만 율법을 해석하고, 그렇게 행동하는 성향을 말..

율법의 마침(완성)이 되심

율법의 마침(완성)이 되심 “그리스도는 모든 믿는 자에게 의를 이루기 위하여 율법의 마침이 되시니라” (롬 10:4, 개역한글) “τέλος γὰρ νόμου Χριστὸς εἰς δικαιοσύνην παντὶ τῷ πιστεύοντι.” (롬 10:4, BHSSBL) “For Christ is the fulfillment① of the law for righteousness to everyone who believes. ▷ ①or, completion, or end” (롬 10:4)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 (롬 10:13) “Πᾶς γὰρ ὃς ἂν ἐπικαλέσηται τὸ ὄνομα κυρίου σωθήσεται.” (롬 10:13) “For, “Whoever wi..

노아의 방주와 관련된 궁금한 것

노아의 방주와 관련된 궁금한 것 노아 방주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성경에는 노아 방주의 크기(장(長, 길이), 광(廣, 너비), 고(高, 높이)만 나와 있다. 무리한 상상력을 발휘하기보다는, 성경의 기록만으로 그 외형을 스케치하면 장방형의 목조 구조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인천 송도 센트럴 파크에서 열리고 있는 ‘바이블 엑스포(The Bible Expo) 2010’에 전시된 실제 크기의 노아 방주 모형과도 비슷하다. ​1. 방주의 재료(잣나무, 고페르 나무, Cypress) 하나님은 노아에게 잣나무로 방주를 지으라고 명령하셨다. 잣나무(고페르 나무, Cypress)는 측백나뭇과의 이태리 편백을 가리킨다. 키가 30m 정도까지 자라나며 백향목에 견줄만한 좋은 재목감이다. 잣나무로 관을 쓰면 시신이 썩지 ..

복음서와 야고보서에 나타난 율법의 역할

복음서와 야고보서에 나타난 율법의 역할 율법에 대한 이야기는 끝이 없습니다.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거나 혹은 오해가 많아서 바로 잡고 있습니다. 간략하게 문제점들을 짚어 보면서 해결했으면 합니다. 1. 율법은 무엇인가? 하나님의 말씀으로 선하시고 거룩하신 하나님의 의도를 드러냅니다(시119편). 율법은 아무에게나 주어지지 않고, 오직 언약을 맺은 백성에게만 주어집니다. 율법준수는 언약의 효력의 기준이 됩니다. * 이로 보건대 율법은 거룩하고, 계명도 거룩하고 의로우며 선하도다(롬7:12) * ...(이방인들은 구약 시대에) 약속의 언약들에 대하여는 외인이요...(엡2:12) 2. 율법은 누구에게 주어졌는가? 첫 사람 아담에게 주어졌습니다만 그가 언약을 배반함으로 깨어졌습니다(호6:7). 그 후 계속해서 ..

민수기 : 하나님께서는 불신앙을 징벌하신다

민수기 : 하나님께서는 불신앙을 징벌하신다 민수기는 광야의 두 세대에 대해 기술한다. 이전 세대는 불신앙의 완고한 마음을 품어 광야에서 유랑하다 죽었으며(히 3:7-12), 그 다음 세대는 40년 동안 하나님의 공급을 받으며 살다가 약속의 땅에 안전하게 당도했다(민 14:31). 그들의 운명을 결정짓는 사건이 가데스 바네아에서 일어났다. 그들이 가나안 땅을 정탐했던 열두 명의 정탐꾼들의 보고를 듣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겁에 질린 정탐꾼들의 보고를 들은 이스라엘의 구세대들(당시 20세 이상)은 선택을 해야만 했다. ‘계속 진군하여 가나안 땅을 달라고 믿음으로 구할 것인가?’ 결국 그들은 하나님 믿기를 거부하여 구세대와 신세대 모두 40년 동안 광야에서 방황하게 되었다. 가데스 바네아에서의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