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900

하나님에 대한 교리

하나님에 대한 교리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1:1). 이는 우리가 믿는 하나님에 관한 위대한 신앙고백이요 선언이다. 이 신앙고백 속에는 적어도 하나님에 대한 존재와, 시간과, 공간 위에, 천지창조라는 절대적(絶對的)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하나님은 절대자로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만물을 지으신 분이요, 지금도 다스리시고 섭리하시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막연한, 추상적인 신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인격적(人格的)이며, 자존적(自存的)이며, 자의식적(自意識的)이신 분이시다. 만물의 근원이시며, 만복의 근원이 되신다. 모든 것이 하나님에게서 시작되고 끝이 난다. 이것은 기독교 신앙이 맹목적인 허상이 아니라, 확실한 증거에 기초한 신앙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면, 어떻게 하나님이 계신 것을..

성경에 관한 교리

성경에 관한 교리 1. 용어 ①성경(聖經) 곧 바이블(Bible)은 ‘두루마리’라는 뜻을 가진 헬라어인 비블로스(파피루스)에서 나온 비블리온(작은 책)이라는 말로, ‘거룩한 책’을 뜻한다. ②신약(新約) · 구약(舊約)의 ‘약(約)’은 약속(Testament), 언약(言約, Covenant), 곧 ‘계약(契約)’의 뜻이다. ③신약과 교회 교부들의 문서에 나오는 성서(聖書, Scripture)라는 용어도 헬라어 ‘그라피이’(문서 기록)에서 나왔다. ④신약에서는 영감된 구약의 책들을 가리키는 말로도 사용되었다(딤후3:16-17). (벧후1:21)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2)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하게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할 능력을..

하나님에 대한 교리

하나님에 대한 교리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1:1). 이는 우리가 믿는 하나님에 관한 위대한 신앙고백이요 선언이다. 이 신앙고백 속에는 적어도 하나님에 대한 존재와, 시간과, 공간 위에, 천지창조라는 절대적(絶對的)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하나님은 절대자로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만물을 지으신 분이요, 지금도 다스리시고 섭리하시는 분이시다. 하나님은 막연한, 추상적인 신이 아니라, 구체적이며, 인격적(人格的)이며, 자존적(自存的)이며, 자의식적(自意識的)이신 분이시다. 만물의 근원이시며, 만복의 근원이 되신다. 모든 것이 하나님에게서 시작되고 끝이 난다. 이것은 기독교 신앙이 맹목적인 허상이 아니라, 확실한 증거에 기초한 신앙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면, 어떻게 하나님이 계신 것을..

성경에 등장하는 13번의 기근

성경에 등장하는 13번의 기근 기근 -(창 12:10) “그 땅에 기근이 들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거류하려고 그리로 내려갔으니 이는 그 땅에 기근이 심하였음이라.” 이삭 -(창 26:1) “아브라함 때에 첫 흉년이 들었더니 그 땅에 또 흉년이 들매 이삭이 그랄로 가서 블레셋 왕 아비멜렉에게 이르렀더니” 야곱 -(창 41:54-42:5) “54 요셉의 말과 같이 일곱 해 흉년이 들기 시작하매 각국에는 기근이 있으나 애굽 온 땅에는 먹을 것이 있더니” 사사시대 -(룻 1:1) “사사들이 치리하던 때에 그 땅에 흉년이 드니라 유다 베들레헴에 한 사람이 그의 아내와 두 아들을 데리고 모압 지방에 가서 거류하였는데” 다윗의 때 -(삼하 21:1) “다윗의 시대에 해를 거듭하여 삼 년 기근이 있으므로 다윗이 여호..

순종(Obedience),불순종(不順從, Disobedient)

순종(Obedience),불순종(不順從, Disobedient) 순종(Obedience) 말하는 대로 따르는 것을 말한다. 성경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따르는 의미로 많이 쓰였다(창 26:5). 구약에는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의 청중으로 나오며 ‘들으라’는 외침 후에는 순종하며 행해야 할 계명이 더불어 나온다(신 6:4; 27:9 등). 하나님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대리자(모세, 여호수아 등)의 말을 듣는 것도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했다(민 12장; 16장). 또한 여호와의 말씀을 들으라는 요구의 이면에는 오직 여호와 한 분만을 섬기라는 요구가 들어 있다(신 11:13과 11:16, 27-28을 비교). 즉 여호와의 음성을 듣는다는 것은 다른 신들의 음성은 듣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민수기

민수기 1. 이스라엘 12지파의 의미 (민 2:3-31) 이스라엘의 12 지파는 야곱의 12 아들로부터 구성된 것으로 12 지파가 성막을 중심으로 배치되고 행진한 것은 구약 교회의 배치요 행진이다. 이 12 지파가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향한 것은 오늘날 신약 교회 성도들이 천국을 향해 나가는 모습의 상징이다. ☞ 성경에는 12 의 숫자가 자주 등장한다. 1) 계21:12-14 = “크고 높은 성곽이 있고 열 두 문이 있는데 문에 열 두 천사가 있고 그 문들 위에 이름을 썼으니 이스라엘 자손 열 두 지파의 이름들이라 동편에 세문, 북편에 세문, 남편에 세문, 서편에 세 문이니 그 성에 성곽은 열 두 기초석이 있고 그 위에 어린 양의 십 이 사도의 열 두 이름이 있더라.” ① 열 두 문의 열 두 천사 = 하..

시편 연구의 방법

시편 연구의 방법 시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세가지 기본적인 방법이 있다. ①책별 연구 ②저자별 연구 ③주제별 연구 1. 책별(각각 송영으로 끝난다) 1) 제 1 권(시1-41편, 창세기에 해당) (1) 중심이 되는 말 :사람 (2) 발췌 "복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좇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시 1:1). "사람이 무엇이관대 주께서 저를 생각하시며 인자가 무엇이관대 주께서 저를 권고하시나이까"(시 8:4). "여호와를 경외하는 자 누구뇨 그 택할 길을 저에게 가르치시리로다"(시 25:12). "너희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맛보아 알찌어다 그에게 피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시 34:8). "생명을 사모하고 장수하여 복받기를 원하는 사람이 누구뇨"(시 34:12..

예수님의 산상수훈 내용

예수님의 산상수훈 내용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산에 올라가 앉으시자 제자들이 곁으로 다가왔다. 예수께서는 비로소 입을 열어 이렇게 가르치셨다. 1. 참된 행복(八福) 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구원받아서 천국 백성이 되는 사람들의 8가지 특징, 8복입니다 . (마 5:3)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 (마 5:4)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를 받을 것임이요 (마 5:5)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마 5:6)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배부를 것임이요 (마 5:7) 긍휼히 여기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긍휼히 여김을 받을 것임이요 (마 5:8)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 (마 5:9..

서문이 있는 복음, 누가복음서

서문이 있는 복음, 누가복음서 1. 저자 누가복음서는 저자의 이름은 말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이 복음서를 누가복음이라 부르는 것은 어디에서부터 비롯된 것입니까? 분명한 유래는 찾기 힘들지만 가장 오래된 사본(P75) 끝부분에 누가복음(카타 누가)이라 나오며, 2세기 말부터 교회 기록들(무라토리안 정경과 말시온주의자에 대한 반박 서문, 이레니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그리고 오리겐과 터툴리안의 저작)에 등장하기 때문이며 이것을 거부할 어떤 분명한 증거도 없기 때문입니다. 2. 장르 탈버트(C.H.Talbert)는 누가복음서가 전기 문학과 가장 유사하다고 말합니다. 그는 고대 헬라 서문에 나타난 7가지 요소들과 누가복음서를 비교해 연구하면서 이런 주장을 합니다- 1)앞선 저자의 부족함 2)주제..

성경의 땅, 베들레헴

베들레헴은 아주 오래된 도시로서 창세기 35장 19절에 야곱의 시대에서 이미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베들레헴이라는 도시의 이름은 이스라엘의 수도인 예루살렘보다 오래 되었습니다. 예루살렘이라는 이름의 등장은 여호수아서 10장 1절에 등장하지만 베들레헴은 창세기 35장 19절에 이미 등장합니다. 베들레헴은 인구가 매우 작은 소도시이지만 기독교에 있어서 그 역사와 중요성은 예루살렘만큼이나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베들레헴의 명칭 베들레헴은 히브리어로 베틀레헴(בית לחם)이라고 하고 아랍어는 베틀라흠(بيت لحم)이라고 합니다. 베들레헴이라는 이름은 집을 의미하는 ‘Beth’ 혹은 ‘Beit’와 고기, 빵을 의미하는 ‘Lehem’이 합쳐진 말로서, 그대로 풀이하면 “빵집”이 됩니다. 2. 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