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900

멜기세덱(Melchizedek)

멜기세덱(Melchizedek) 예수 그리스도와 멜기세덱 '의(義)의 왕'이란 뜻. 살렘(예루살렘)의 왕이며 제사장. 부모도, 족보도, 출생일도 알 수 없고, 생명도 끝이 없어 신적 존재를 방불케 하는 자다(히 7:3). 가나안 북방 연합군들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온 아브라함을 환대하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이름으로 아브라함을 축복했다. 이에 아브라함은 그에게 전리품의 십분의 일(십일조)을 바쳤다(창 14:18-20). 시편 기자는 이 멜기세덱을 다윗 계통의 한 왕으로 영원한 제사장이라 칭하고 있고(시 110:4), 히브리서 기자는 영원한 대제사장이며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라고 말한다(히 5:6-10; 6:20; 7장). 아브라함과 멜기세덱 아브라함은 북부 가나안 동맹군의 침략을 격퇴하..

스크랩 율법의 5가지 역할

율법의 5가지 역할 1. 통치적 역할: 율법은 피조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의로운 통치법칙이다. 내 백성이여 내게 주의하라 내 나라여 내게 귀를 기울이라 이는 율법이 내게서부터 발할 것임이라 내가 내 공의를 만민의 빛으로 세우리라(사51:4) 2. 경고적 역할: 율법은 죄가 하나님의 영광을 침해하며, 타락한 인간은 심판 아래 놓인 죄인임을 알게한다.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롬3:20) 3. 예표적 역할: 율법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얻는 의를 증거한다.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스크랩 예수 시대의 무덤

예수시대의 무덤 1. 매장과 무덤 󰡒아리마태아 사람 요셉은 예수님의 시체를 가져다가 깨끗한 고운 베로 싸서 바위를 파서 만든 자기의 새 무덤에 모신 다음 큰 돌을 굴려 무덤 입구를 막아놓고 갔다󰡓(마태 27,58-60). 동산에 있던 이곳은(요한 19,41) 󰡒아무도 장사지낸 일이 없는 무덤󰡓 으로, 여러 사람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넓었다(루가 24,3). ⇒이 짧은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유다 땅의 매장 방식이나 무덤 모양은 우리나라와 사뭇 다르다. 2. 死後의 삶 *예수께서 돌아가신 뒷날은 장사지내는 일이 금지된 안식일이면서 과월절. 그래서 저녁때가 되었지만 예수님께서는 그날로 묻히셨다. ⇒이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죽은 이를 당일에 묻는 것이 일반적 관습. 더운 지방이어서 시신이 빨리 부패하고..

스크랩 성령의 열매와 성령의 은사

성령의 열매와 성령의 은사 성경은 우리에게 성령의 열매와 은사에 대해서 말씀해 줍니다. 그런데, 성령의 열매와 은사를 잘 이해하지 못하면 교회 내에서 분란을 가져올 수 있고, 신앙생활도 혼란해지게 됩니다. 성경은 성령의 은사와 열매에 대해서 어떻게 말씀하고 있습니까? 1. 성령의 은사 (고전 12:4-11, 28-31) 먼저, 성령의 은사(gifts)는 여러 가지이지만, 그것을 주시는 성령님은 같다고 말씀합니다.(4절) 그리고 고린도전서 12장에서는 그 은사가 다음과 같다고 말씀합니다. 1) 지혜의 말씀 (the message of wisdom, 8절) 2) 지식의 말씀 (the message of knowledge, 8절) 3) 믿음 (faith, 9절) 4) 병 고치는 은사 (gifts of heal..

다윗의 고난을 대표하는 두 곳 : 아둘람[Adullam], 엔게디[En Gedi] *아둘람 공동체

아둘람[Adullam] ‘은신처’, ‘피난처’란 뜻. 유다 영토로, 베들레헴 남서쪽 약 20㎞지점에 위치한 평지(저지대) 성읍. 아주 오래된 도시로, 야곱의 아들 유다가 이곳 출신 히라와 친구 관계였다(창 38:1, 12, 20; 수 15:35). 훗날 여호수아가 31명의 소왕국 왕들을 물리쳤는데 그중 한 명이 이곳 출신이다(수 12:15). 가나안 전쟁 후 유다 지파 기업이 되었고(수 15:35), 다윗이 사울을 피해 이곳 근처 여러 석회암 동굴에 몸을 숨기기도 했다(삼상 22:1; 대상 11:15). 르호보암은 이곳을 요새화했고(대하 11:7), 그 성읍의 아름다움으로 인해 ‘이스라엘의 영광’이라 불렸다(미 1:15). 바벨론 포로에서 귀환한 후 유다 지파 사람들이 다시 이곳에 거주했다(느 11:30..

모세오경이란 무엇인가요?

모세오경이란 무엇인가요? 모세오경은 대부분의 보수적인 성경학자들이 모세가 기록했다고 믿고 있는 성경 첫 다섯 권의 책을 일컫는 명칭입니다. 모세오경의 책들이 직접 저자를 명확하게 밝히지 않더라도, 모세가 저자이거나 모세가 한 말(출애굽기 17:14, 24:4-7, 민수기: 33-12, 신명기 31:9-22)이라고 볼 수 있는 구절들이 많이 있습니다. 모세오경의 저자가 모세라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증거는 예수님께서 직접 구약성경의 이 부분을 “모세의 율법” (누가복음 24:44)이라고 언급하셨다는 것입니다. 모세오경에는 모세가 아닌 다른 사람이 추가한 것으로 보이는 구절이 몇 개 있지만 – 예를 들어 모세의 죽음과 장례를 묘사한 신명기 34:5-8의 경우 – 대부분의 학자들은 모세가 이 책들을 쓴 ..

창세기의 이해

창세기는 누가, 언제, 왜 썼을까 (도서출판 지와 사랑) 중에서 성경(Bible)은 그리스어로 ta biblia라고 하는데 “책들 the Books”이라는 뜻이다. 66권의 작은 책들이 한 권으로 엮어져 있기 때문이다. 성경은 한 해 평균 3천만 권이 팔린다고 하는데 구텐베르그(Gutenberg)가 1453년 인쇄기를 발명한 이래 약 1천5백억 권을 발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성경을 책 중의 책 the Book of Books이라고 한다. 성경은 286개 국어로 번역되었으므로 전 세계 사람 누구에게나 친숙한 책이다. 일본은 인구의 1% 미만이 크리스천이지만 근래 일본에서 팔린 성경은 1억 5천만 권에 달한다. 그러므로 성경을 구할 수 없어 읽지 못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성경은 언제나 우리 가까이 ..

내적 죄성은 어떻게 유전되게 되었을지 궁금합니다

내적 죄성은 어떻게 유전되게 되었을지 궁금합니다 [질문] 내적 죄성은 어떻게 유전되게 되었을지 궁금합니다 목사님, 질문드립니다. 아담이 죄를 지음으로 원죄를 물려받은 인간에게는 죄의 본성이 존재한다는 얘기는 상식처럼 듣는 말 중의 하나입니다. 인간에게 본성으로 주어진 내적 죄성은 어떻게 유전되게 되었을지 궁금함을 느낌니다. 죄성을 하나님께서 심겨 두신 것인지 사단에 의해 심겨진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답변] 먼저 아담에게 죄가 침투하여 더려워지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인류의 대표자로 하나님의 언약을 받은 아담이 하나님께 범죄(언약 파기)하자, 하나님은 그에게 회개도 소용없는 영원한 저주를 선고하셨습니다. 그때 아담에게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이 임했습니다. 1)법적인 죄인이 되었습..

[로고스] λόγος , 요한복음에서의 말씀의 의미

[로고스] λόγος , 요한복음에서의 말씀의 의미 요한복음은 다른복음서와 달리 예수 그리스도를 태초부터 계신분으로 선언하고 시작한다. 공관복음을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메시아되심을 조심스럽게 증명하면서 점진적으로 계시한다. 반면 요한은 온 우주 창조의 시작을 선포하는 창 1:1을 연상시키는 '태초에'라는 단어로 장엄하게 시작한다. 본 구절을 매개로 하여, 요한은 구약과 일관된 흐름으로서의 신약의 복음서를 쓰고 있다. 즉 계시의 시작인 천지 창조의 기사로부터 시작하여 그리스도에 이르러 계시가 완성됨을 나타내야 한다. '태초'(아르케)라는 용어는 원래 '시간과 공간의 시초'를 의미한다. 따라서 고대 그리이스의 자연철학자들은 '만물의 시초(始初)'라는 뜻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는 처음 시간..

‘사울’을 ‘바울’로 지칭함은 성화론적 오해

‘사울’을 ‘바울’로 지칭함은 성화론적 오해 흔히 사도 바울을 말할 때 그의 본명은 ‘사울’인데 ‘다메섹’ 도상 회심 후 ‘바울’로 지칭된 것을 성화론(聖化論)적 변화의 결과로 이해하고 기도와 설교에서 중생의 교훈으로 인용하거나 복음송에 “사울이 변하여 바울이 됐네”로 작사된 것 등은 잘못이다. 성경에는 사울이라는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이 있는데 ‘에돔 왕 사울’(창 36:37), ‘시므온의 아들 사울’(창 46:10), ‘이스라엘 왕 기스의 아들 사울’(삼상 9:1-2), 그리고 ‘사도 바울’이다. 이 바울은 ‘길리기아 다소’에서 히브리인으로 태어나 벤냐민 지파에 속한 자로 유대교적 교육을 받은 정통 유대인이다. 따라서 그는 다메섹 회심 전까지는 그의 이름은 히브리식으로 사울이었다(행 7:58, 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