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으로 읽는 성서 및 성경 공부 900

레위기 요약(정리, 내용, 대제사장, 제사장 아론 등)

레위기 요약(정리, 내용, 대제사장, 제사장 아론 등) 레위기 레위기는 구약성서의 제3부인 레위기서의 한 챕터로, 제7장에서 제20장까지 어어지는 긴 말씀입니다. 이 챕터는 제사장들의 의무와 제사의 종류, 그리고 이를 행하는 방법 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레위기는 이스라엘 제사장들이 하나님 앞에서 제사를 드리는 방법과 그 제사의 종류, 그리고 제사장들이 지켜야 할 규율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스라엘의 제사와 제사장들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그들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어떤 제사를 드려야 하는지를 가르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레위기는 또한 이스라엘의 성결과 깨끗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과 규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말씀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

야고보서의 저자

야고보서의 저자 신약성서에서 사도행전과 바울의 여러 서신을 통해 초대교회의 역사를 살펴보았고, 다음은 예수님의 제자들 중에서 수제자라 할 수 있는 베드로의 행적 그리고 베드로전서와 후서를 통해 초대교회의 역사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예수님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다는 사도 요한 과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요한계시록을 살펴보았다. 이제는 신약성서에 나오는 야고보서와 그 저자로 알려진 야고보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야고보서의 저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굉장히 난해하고 어려운 문제이다. 왜냐하면 신약 성경에 등장하는 “야고보”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은 총 3명이며, 성경이 누구를 집어서 야고보서의 저자라고 말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중 누가 야고보서의 저자인가를 알기 우해서는 철저..

히브리서 서론

히브리서 서론 한글 개역 성경에서 히브리서는 바울의 13개 서신들과 공동서신들 사이에 위치하며, KJV를 비롯한 영역 성경에서도 이 순서는 같다. 불가타(Vulgata)에서도 같은 순서로서 신약성경의 19번째 책으로 수록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헬라어 사본에서는 데살로니가후서와 디모데전서 사이에 수록되었다. 뿐만 아니라 히브리서는 비록 서신이라 불리지만 저자의 이름이나 수신인도 나타나지 않으며, 기록상의 어떤 특별한 동기나 목적도 발견되지 않는다. 히브리서는 처음부터 본격적인 신학적 논문으로 시작되지만 인사말로 종결짓는다. 따라서 본 서신에는 어떤 규칙도 발견되지 않는다. 때문에 본 서신은 바울서신에서 제외되었으며, 구성과 내용, 형식과 목적, 저자, 수신지, 기록 연대 등에 대한 많은 의혹을 사고 있다..

갈라디아서 서론

갈라디아서 서론 갈라디아서는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 교인들'에게 보낸 서신으로서 그 중요성에서 훨씬 더 긴 로마서나 고린도서에 필적한다. 그래서인지 많은 학자들은 본 서신을 가리켜 '짧은 로마서'라고 부른다(Luther, Duncan, Cartledge, Thiessen, Tenney, Allan, Barclay). 사실 연대적으로 살펴볼 때 로마서는 갈라디아서를 확대한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바울은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모두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교리와 사랑의 복음은 결실인 윤리적 명령을 대담하게 가르쳤다. 한편 갈라디아서는 종교개혁자들에게 성경적 진리의 자유와 부흥의 선언서가 되었다. 그 중에서도 '루터'는 갈라디아서에서 자신의 신앙과 생활을 위한 힘과 개혁 사업을 위한 튼튼한 병기를 발견하였..

바울서신 서론

바울서신 서론 신약성경에서 저자를 바울로 칭하는 서신들(Epistles)은 모두 13개이다. 정경화 과정에서 히브리서는 처음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고 동방 정교회에서, 그리고 4세기 이후에는 서방 교회에서도 바울서신으로 생각하였지만, 최근에 와서 바울의 기록으로 보는 학자는 드물다. 또한 목회서신, 곧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는 바울서신 중에서도 특수한 부류에 속한다. 그리고 옥중서신, 곧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등은 바울이 수감되어 있는 동안에 기록되었다. 그런데 수신자별로 분류해 본다면 빌레몬서와 목회서신들을 제외한 모든 바울서신들은 초대교회 공동체에 보내어진 것들이다. 한편 이들 바울서신들에 대한 극심한 비평이 19세기 초 이후 튀빙겐 학파(Tuebingen School)에..

믿음이란 무엇인가? (믿음의 뜻과 의미)

믿음이란 무엇인가? (믿음의 뜻과 의미) 믿음 (Faith, Faithfulness) 1.히브리어로는 ‘헤에민’, ’바타흐’, ’하싸’ '아만 '이다. ●‘헤에민’은 '확증하다', '지지하다'의 의미이다 (사 7:9; 합 2:4; 시 78:22). ● ‘바타흐’는 ‘속마음을 터놓다', '의지하다', '신뢰하다' (시 25:2), ‘확신하다’(사 12:2), ‘신임하고 기대하다’(시 4:6)는 뜻이다. ● ‘하싸’는 피난처를 구하다의 뜻이다(시 57:1, 2:12, 25:20). ● '아만'이다. 원뜻은 ‘견고하다’, ‘안정되다’, ‘영구적이다’, ‘확실하다’, ‘틀림없다’로서, ‘믿고 의지(의뢰)하며 소망함’(민 12:7; 사 8:2), ‘확실하고 틀림없는 것’(호 5:9), ‘영속적이고 불변한 것’(시..

칭의(의로다 하심)에 대한 이해

칭의(의로다 하심)에 대한 이해 1) 칭의 어원 (1) 구약의 [히츠띠크=의롭다함]는 대다수의 경우에서 사람의 신분이 율법의 요구에 조화된다는 것을 재판적으로 선고함을 의미한다(출23:7;신25:1;잠17:15;사5:23). (2) 신약의 [디카이오=의롭다 한다]는 구약의 [히츠띠크]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사람을 의롭다고 선언함'이라는 뜻이다. 2) 칭의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의를 하나님의 택하신 자들에게 전가(轉嫁)시켜 죄인에 대한 모든 요구가 완전히 만족된 것을 선언하시는 하나님의 재판적 행위이다. 의롭다 하심은 하나님의 의로우심(시89:16;롬1:16-17)과, 그 기쁘신 뜻(롬8:30)과, 하나님의 사랑(요3:16-17)에 의거하여 은혜로 정하신 것인데, 저가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시고..

양자에 대한 이해

양자에 대한 이해 양자(養子, adoption) 1) 양자(養子, adoption)의 의미 죄 아래 매였던 사람을(마3:7;요8:44;엡2:3)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자기(自己)의 구주(救主)로 믿는 자들에게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확고(確固)한 지위(地位)와 특권(特權)을 주시는 것이다(요1:12;롬8:17). 양자로 삼는 것이 무엇인가? 하나님의 값없는 은혜로 정하신 것인데 이로써 우리를 하나님의 자녀의 수효 중에 들게 하시고 그 모든 특권을 누리게 하시는 것이다(요일3:1,2;요1:12;롬8:17). 2) 성경의 근거 성부의 영원 전 선택에 의하여(엡1:5) 약속에 따라(롬9:8;갈3:29;엡3:6) 성자의 대속으로(요1:12,3:3-5,16;갈4:4-5;엡1:5;히2:10,11,12) 삼위일체 ..

견인에 대한 이해

견인에 대한 이해 견인(堅忍, perserverance) 1) 견인(堅忍, perserverance)의 의미 성부에 의하여 선택되어 한 번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성화의 과정에서 일시적 방황은 있을 수 있으나 멸망하지 않고 결국 구원에 이르게 됨을 말한다. 이는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일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으로써 그리스도의 속죄 사역과 중보 사역을 절대 신뢰하는 데 그 출발점을 둔다(요10:27-29;롬11:29;빌1:6) 2) 성경의 근거 (1) 주께서 너희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날에 책망할 것이 없는 자로 끝까지 견 고케 하시리라(고전1:8) (2) 예수께서 세상에 있는 자기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시니라(요13:1) (3) 저(예수)가 한 제물로 거룩하게 된 자..

고린도전서의 배경

고린도전서의 배경 고린도전서 1. 들어가는 말 고린도서신을 보다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린도교회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통해서 고린도서신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배경을 탐구하지 않고서는 고린도서신을 정확히 분석할 수 없다. (독자로서의) 우리는 바울로부터 직접 그가 고린도서를 쓰면서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를 물을 수도 없고 그의 답변을 들을 수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가 본문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린도 교회의 역사적 사회-문화적 탐구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다시 말해, 1세기 고린도교회의 사회-문화적 콘텍스트에서 고린도서가 의미했던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현대 교회의 사회-문화적 콘텍스트에서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